문화가 시대적 패러다임이 된 지금의 시대는 문화가 곧 일상이고 문화경쟁력을 갖춰야 세계화의 흐름에 발맞출 수 있다. 맥락 속에서 문화예술정책이 가지는 위상과 위치는 아주 중요한 시... 문화가 시대적 패러다임이 된 지금의 시대는 문화가 곧 일상이고 문화경쟁력을 갖춰야 세계화의 흐름에 발맞출 수 있다. 맥락 속에서 문화예술정책이 가지는 위상과 위치는 아주 중요한 시점이라 하겠다. 그중에서도 특히 1995년 지방자치시대를 맞이하면서 문화예술 정책과 관련된 지방자치단체의 자율권의 확대와 발맞춰 중앙 집중적이던 문화예술정책은 지역문화예술중심적인 특성화와 다양화의 변화에 부응하는 전환점을 맞이하였다. 제주도는 2006년 7월 지방분권화의 결과로써 특별자치도로 전환되었으며 ‘지역 간의 문화격차의 해소와 함께 지역이 가진 특색 있는 고유한 문화의 발전을 위하는 것’이 목적이 되는 지역문화진흥법이 2014년에 제정되면서 제주특별자치도의 문화예술정책은 더욱더 그 추진이 가속화되었다. 제주특별자치도도 더 이상 대한민국의 변방이 아닌 문화적 중심지로서의 면모를 갖추어 나가며 문화예술의 뜨거운 장으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최근 몇 년간 인구의 급격한 유입과 한해에 일천만 명 이상의 관광객 유입은 기존의 제주도가 만들고 시행해온 문화예술정책에 대한 전반적인 점검과 발전방안을 모색해야할 시점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로 제주지역 문화예술정책의 흐름을 통해 지역문화예술정책을 전반적으로 탐색하고, 실증연구인 국내외 섬 지역의 문화예술정책의 사례분석을 통해 특히 민선6기의 ‘문화예술의 섬’ 정책을 분석하고, ‘문화예술의 섬’의 설문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고 제언을 하고자 한다. 지역문화예술정책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사례연구와 설문을 통해 문화예술의 섬의 정책의 과제와 제언을 몇 가지로 추려보고자 한다. 정책의 과제로 첫째는 문화예술의 섬 비전의 특성 부재이다. 둘째는 문화예술의 섬 사업 간의 상호 연계성 부족이다. 셋째는 문화예술의 섬 사업 파급효과의 부족이다. 넷째는 지속성을 갖춘 문화 향상 프로그램의 부족이다. 다섯째는 문화민주주의 개념을 도입한 사업의 설계 및 추진이다. 위와 같은 ‘문화예술의 섬’ 정책이 가지고 있는 현시점의 과제에 대한 정책제언으로는 첫째, 지역주민에 의한 정책의 완성과 예술참여기회 확대이며 둘째는 문화예술의 섬 제주 홍보 마케팅 강화와 셋째는 문화예술 인프라 구축, 넷째는 최근 두드러진 증가추세에 있는 천삼백만 관광객시대의 제주문화예술정책의 방향과 다섯째로 문화예술의 섬 제주 정책의 방향성을 제언하려 한다. 제주특별자치도 ‘문화예술의 섬’ 정책의 완성을 위해서는 민주적이고 현실적인 지역문화정책인 거버넌스 구축을 통해 공급자 중심의 정책에서 소비자 중심의 정책과 문화민주주의에 입각한 능동적이고 소통 중심에 선 문화행정을 완성시켜야 하며, 문화예술은 그 자체가 문화예술 정책의 목표점이 되어야 한다는 점을 이해하면서부터 정책이 출발해야할 것이다. 문화예술을 통한 다양한 파급효과 및 관광산업 효과 등은 목적이 아니라 문화예술의 건전한 발전을 통해 부수적으로 얻어지는 효과이기 때문이다. 문화예술과 관련된 다양한 정책과 사업들은 문화예술 그 자체의 발전을 위한 목적성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이러한 목적성을 가지고 다양한 문화예술 분야를 담보하고, 시민들이 주도하는 자발성이 마련될 때 올바른 문화예술의 섬 제주의 비전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免费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