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학사정관제의 도입 취지를 살리고 제도를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여러 관련 당사자들의 노력이 필요하며, 일선에서 입학시험을 지도하는 교사들의 대응 행동 또한 중요한 변수라고 할 수 ... 입학사정관제의 도입 취지를 살리고 제도를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여러 관련 당사자들의 노력이 필요하며, 일선에서 입학시험을 지도하는 교사들의 대응 행동 또한 중요한 변수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입학사정관제 도입 이후 일반고 교사들의 대응전략 및 그 맥락, 대응전략이 입학사정관제 도입 취지달성에 미치는 결과를 탐색하여 이를 바탕으로 입학사정관제의 정착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일반고 교사들은 입학사정관제 도입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가? 둘째,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교사들의 대응이 교육현장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교사들이 현장에서 느끼는 어려움은 어떠한 것이 있는가? 셋째, 교사들이 경험한 입학사정관제 대응 과정에서 느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정책 방안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위하여 인천광역시 내의 일반고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다중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고등학교 교사들은 그들이 처한 맥락에 따라 입학사정관제를 적극 활용하려는 정도에 있어서 선도형 전략으로부터 소극형 전략, 현실 안주형 전략에 이르기까지 상이한 반응을 보였다. 교사들의 대응 전략의 결과는 학생 참여형 수업과 과정형 평가로의 변화, 창의적 체험활동의 활성화, 진로지도 활성화, 주관적 평가의 중요성 인식 등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입학사정관제의 도입 취지 달성과 입학사정관제의 정착에 영향을 주었다. 그들이 정책의 기대효과가 나타나도록 통일된 행동을 보이지 않고 상이한 전략을 취하게 하는 맥락 요인들은 관리자의 방향제시와 지원 미흡, 교육 여건의 부족, 대학선발 기준에 대한 공정성 의심,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영향력이 크다는 인식, 업무 과중, 변화에 대한 정보 부족, 정책 지속성에 대한 불신, 공정성과 신뢰성에 대한 판단, 정책 지속성에 대한 신뢰도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입학사정관제 도입으로 학교 현장에서 공교육의 정상화, 다양한 인재의 양성이라는 정책 목표가 일부 달성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입학사정관제 정착을 위해서는 교사들이 수업 변화, 학생 수준에 맞는 프로그램 개발, 실효성 있는 진로 지도를 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고, 관리자의 새로운 리더십 연수, 교사 업무 경감을 위한 노력, 대학 선발의 간명화와 투명화 등이 요구된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