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차 개정 교육과정에서 영어 교과는 세계화 시대에 생존할 수 있는 의사소통 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의사소통 능력을 갖추기 위해 중요한 것은 그 골격을 이루...
7차 개정 교육과정에서 영어 교과는 세계화 시대에 생존할 수 있는 의사소통 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의사소통 능력을 갖추기 위해 중요한 것은 그 골격을 이루는 어휘이다. 외국어에 대한 노출이 제한된 우리나라와 같은 EFL 환경에서는 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와 같은 다른 기능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우연히 일어나는 어휘 학습으로는 필요한 어휘를 습득하기 불충분하며, 모든 학습자와 교사가 공유하고 있는 동일한 모국어를 배제한 채 외국어를 습득하는 것에도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이 가능한 자연스러운 어휘 학습을 설계하고, EFL의 제한적인 환경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교사가 모국어를 병행하여 지도함으로써 보완할 수 있다는 가설을 설정하고 형태-의미 연결에 관한 연구와 실험을 통해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 상위권 학습자 78명을 실험 참여자로 하여 문맥에서 목표 어휘의 의미를 추론한 후, 교사가 개입하여 새롭게 접한 어휘의 형태를 한 집단은 모국어로 개념 형성을 하고 다른 집단은 목표어로 개념 형성을 하도록 하였다. 이후, 실험 직후에 실시된 사후 단기 검사와 일주일 후에 실시된 사후 장기 검사를 통해 각 집단의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 집단 간 검사 결과에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는지 확인해 보았다. 이와 같이 실시된 실험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맥에서 영어 어휘의 의미를 추론한 후 모국어로 의미를 형성한 집단이 영어로 의미를 형성한 집단보다 어휘의 의미를 단기적으로 기억하고 출력하는데 효과적이었다.
둘째, 문맥에서 영어 어휘의 의미를 추론한 후 모국어로 의미를 형성한 집단이 영어로 의미를 형성한 집단보다 어휘의 의미를 장기적으로 기억하고 출력하는데 효과적이었다.
셋째, 각 집단 내에서 사전 검사와 사후 장, 단기 검사 점수를 비교해 본 결과 두 집단 모두 점수가 향상하였기 때문에 공통적으로 설계된 실험인 문맥 중심 어휘 학습법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검증할 수 있었다. 또한, 사전 검사와 사후 장, 단기 검사의 향상 폭을 비교해 보았을 때에도 모국어로 의미를 형성한 집단이 영어로 의미를 형성한 집단보다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가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영어 수업과 영어 교사에게 시사하는 바는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 우리나라 교육 현장과 같은 EFL 환경에서는 영어 어휘 지도시 영어로만 수업하는 것보다 모국어를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왜냐하면 학습자는 영어 어휘를 습득할 때 새로운 인지 구조를 형성하기보다 이미 형성되어 있던 모국어 개념에 영어 형태를 연결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영어에 노출될 기회가 적은 한국의 학습자들에게 영어로 영어 수업을 진행하되 어휘의 경우 모국어를 배제하는 것 보다는 적절히 활용할 때 오히려 효과가 극대화 될 것이다.
둘째, 영어 어휘 학습을 학습자의 몫으로 한정하지 않고 교사가 적절히 개입하여 어휘 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문맥 중심 학습법이 자연스러운 어휘 습득에 효과적임에도 불구하고, 학습자들은 짧은 시간 안에 많은 양의 어휘를 소화하기 위하여 정의 중심 학습법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교사가 형태-의미 연결 방식을 어휘 습득 전략으로 활용하여 어휘 수업을 진행한다면 학습자로 하여금 진정성 있는 어휘를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방법이 될 것이다.
The Role of the First Language and Contexts in the Form-meaning mapping Connections of Second Language Vocabulary: A Case of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Cho, Eunae
English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
The Role of the First Language and Contexts in the Form-meaning mapping Connections of Second Language Vocabulary: A Case of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Cho, Eunae
English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f Korea set the main purpose of English subject as educating the prospective global leaders who have competent communicative skills. In order to achieve this aim, building vocabulary of target language is significant since words are frameworks of communication.
EFL circumstances such as English classroom of Korea are not sufficient for acquiring vocabularies. Students do not have enough opportunities to be exposed English and English speakers outside the classroom. In addition, the teacher and students share the same first language which they cannot exclude completely when they learn Eng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signing the desirable vocabulary lesson model that can help vocabulary acquisition naturally with using the first language and contexts.
This study selected 78 high school students of Korea as participants and all of them were the advanced learners of English.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first language group and target language group. Both groups read the texts and inferred the meaning of target vocabularies. And then, the teacher helped them to check the correct meaning and make a connection between form and meaning. In this process, first language group received the meaning in Korean while target language group received in English. The participants took the immediate post-test right after the experiment to evaluate short-term memory and production skill. After a week, they took the delayed post-test to estimate long-term memory and production skill. The tests result and analysis are following.
First, the first language group which made a form-meaning connection using Korean produced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than the target language group which made a form-meaning connection using only English at the immediate post test. Thus, it means using the first language in vocabulary learning is more effective than using the target language only.
Second, the first language group which made a form-meaning connection using Korean produced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than the target language group which made a form-meaning connection using only English at the delayed post test, too.
Lastly, as the result of comparing the scores among pre-test and two post-tests within each group, both groups’ scores increased. It means that context-based vocabulary learning which was the common design for two groups was proved to be effective way of vocabulary acquisition. And again, the first language group’s scores gap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s greater than the target language group’s and it proved that using the first language in vocabulary language is effective.
This study gives English teachers and English classroom of Korea two suggestions.
First, it is more effective for EFL learners to teach English vocabularies using Korean at the same time rather than using English only. Because learners of foreign language tend to connect the target language form with their first language meaning or concept which is already existed in their cognitive structure.
Second, the teachers should instruct the vocabulary with form-meaning connection strategy during the class. The reason why students in Korea prefer to memorizing the one-to-one list of English and Korean is that it is effective and less time consuming. This method, however, is not appropriate to learn natural usage of language. If the teacher facilitate vocabulary lesson, it will help students to learn and acquire authentic vocabularies.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