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도서관에서 어린이들은 자신의 가족이 처한 경제적 여건 등에 관계없이 성장에 필요한 정보를 얻고 및 독서에 대한 동기 부여를 받을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공도서관 어린이실 설... 공공도서관에서 어린이들은 자신의 가족이 처한 경제적 여건 등에 관계없이 성장에 필요한 정보를 얻고 및 독서에 대한 동기 부여를 받을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공도서관 어린이실 설치가 일반화되면서 어린이 사서의 전문성에 관한 연구도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어린이 사서의 전문성과 서비스 사이에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실증적으로 밝혀 어린이 사서의 전문성 강화를 언급하는 연구는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 사서의 전문성과 어린이 프로그램 운영 사이의 연관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는 공공도서관 어린이 프로그램과 어린이 사서의 전문성에 관하여 살펴보았으며, 어린이 사서의 전문성에 관해서는 각국 도서관협회의 기준과 선행연구를 참조하되 미국도서관협회 어린이서비스분과(Association for Library Service to Children: ALSC)의 「공공도서관 어린이 사서 역량」(Competencies for Librarians Serving Children in Public Libraries, 2015)에 수록된 내용을 주로 참고하였다. 설문조사에 사용한 설문지는 어린이 사서의 전문성, 프로그램 운영, 응답자의 배경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어린이 사서의 전문성 부문에서는 어린이에 대한 이해, 정보 서비스 제공, 어린이 자료에 대한 이해, 지역사회 연계 및 홍보, 도서관 경영 및 전문성 계발로 나누어 질문을 구성하였다. 전문직으로서의 사서직을 구성하는 요건인 전문 지식과 기술, 직업윤리 및 태도, 자격 제도, 교육 훈련, 전문직 단체, 업무 수행의 자율성은 전문성 계발에 포함되도록 구성하였다. 어린이 프로그램 운영 부문에서는 기획과 진행의 두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프로그램 기획과 관련된 사항은 도서관의 사명과 목적, 지역사회와 이용자 요구 분석, 장서와의 연관성, 프로그램을 통한 도서관 이용 활성화, 프로그램 운영 공간 마련 여부, 프로그램 운영 지침 보유 여부, 프로그램 평가 및 반영 여부를 살펴보았다. 프로그램 진행과 관련된 사항은 어린이 프로그램의 유형별 운영 여부, 프로그램 유형별 사서가 생각하는 중요도 및 실제 편성 비중, 사서에 의한 프로그램 진행 여부를 기준으로 알아보았다. 여기서 어린이 프로그램 유형은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책 소개 프로그램, 책 읽기 프로그램, 독후활동 프로그램, 독서교실, 독서동아리 운영 등 독서관련 프로그램과 이용자교육 프로그램,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 학습 및 진로연계 프로그램, 문화예술 프로그램으로 구분하였다. 설문지는 총 3번의 사전 조사를 거쳐 수정하였다. 설문 대상 도서관은 어린이실이 설치된 공공도서관 중 정규직 사서가 5명 이상 근무하는 도서관으로 하였고 2015년 12월 31일까지 현황을 반영한 2016년 국가도서관 통계에서 기준에 부합하는 도서관은 어린이도서관 6개관을 포함한 총 293개관이었다. 이 중에 설문 발송을 거절한 31개관을 제외한 총 262개관의 어린이 프로그램 담당자에게 전자 우편으로 설문을 발송하였고, 회신은 전자 우편과 팩스로 받았다. 총 152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고, 회수율은 약 58%였다. 이 중 응답이 불충분한 설문지 2부를 제외한 총 150부의 설문지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 분석은 PASW Statistics 18.0을 활용하여 현황 파악을 위한 빈도분석, 기술통계, 다중응답분석을 사용하였고, 어린이 사서의 전문성과 프로그램 운영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과 T검증을 이용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 응답 사서의 연령은 대체로 2·30대로 도서관 근무경력 5년 미만, 어린이서비스 담당 경력 3년 미만인 신입사서가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린이 사서의 전문성 중에서는 지역사회 연계 및 홍보와 도서관 경영 및 관리 영역의 전문성 평균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특히 지역사회 연계 및 홍보의 경우, 영역을 불문하고 지역사회의 요구를 고려하는 것과 관련된 역량의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정보 서비스 제공 및 전문성 계발 영역의 평균은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영역 내 역량 간 점수 차이가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전문성 계발 영역의 경우 전문직 구성 요건 중에 직업윤리 및 태도에 해당하는 역량 수준은 높게 나타난 반면, 전문직 구성 요건 중 자기 평가 및 계속 교육, 최신 정보 숙지, 전문직 단체 가입 및 활동 역량은 비교적 낮은 수준을 보였다. 전문직 단체 가입 및 활동 역량 수준은 어린이 사서의 전문성을 구성하는 모든 역량 중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상관관계 분석과 T검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어린이 사서의 전문성과 프로그램 운영에는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어린이 프로그램 기획과 어린이 사서의 전문성에 속하는 모든 역량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프로그램 진행 여부와 어린이 사서의 전문성은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으나, 프로그램 유형별로 진행 여부에 따른 전문성 차이가 유의한 관계에 있는 프로그램과 그렇지 못한 프로그램이 있었다. 유의한 관계에 있는 프로그램들은 공통적으로 어린이 사서의 전문성 계발과 유의한 관계에 있었으며, 전문성 계발 영역에 속하는 자기 평가 및 계속 교육에 관한 역량은 가장 여러 프로그램의 진행 여부와 연관성이 있었다. 한편 독서 관련 프로그램은 어린이서비스 계획 수립 역량과 공통적으로 연관성이 있었다. 어린이 프로그램 기획과 어린이 사서의 전문성에 속하는 모든 역량이 관계가 있다는 것은 특정 어린이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기술적인 측면보다는 어린이 사서 전문성 전반에 걸친 기본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프로그램 운영에 바로 적용이 가능한 실무 교육에 대한 현장 사서들의 요구를 고려하되 어린이서비스의 이념 등 업무의 본질에 가까운 내용의 교육도 함께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한편 어린이 사서의 역량 중 평균보다 낮은 수준에 있으나 프로그램 운영과 연관성이 있는 역량들은 프로그램 질 제고를 위해 우선 강화되어야 하는 역량으로 볼 수 있다. 이 같은 역량에는 어린이에 대한 이해, 도서관 경영 및 관리 영역에 속하는 모든 역량과 전문성 계발 영역의 역량 중 전문 지식과 기술, 교육 훈련, 전문직 단체 등 전문직 요건과 관계있는 역량이 있다. 도서관 경영 및 관리 영역의 전문성은 어린이서비스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므로, 신입사서를 배정한다면 계속교육 등을 제도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이 병행될 필요가 있다. 또한 어린이 사서의 전문성과 프로그램의 운영의 연관성은 도서관에서 운영하는 어린이 프로그램을 다른 기관에서 운영하는 문화 프로그램과 차별화시키는 요소로 볼 수 있다. 어린이서비스는 사회적 약자로 간주되었던 어린이를 하나의 인격체로 존중하며, 편견과 차별을 배제하고 다양성을 이해하는 어린이 사서직의 직업윤리를 기초로 한다. 이는 사회·경제·문화적 배경에 관계없이 지역사회의 모든 구성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성장을 지원하는 공공도서관의 공공성과도 맞닿아 있다. 내용과 구성이 동일한 프로그램이라도 이러한 직업윤리를 숙지한 어린이 사서의 역량에 따라 질적으로 다른 프로그램이 운영된다는 점은 어린이 사서에 의한 공공도서관 어린이 프로그램 운영의 의의이자 차별성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어린이 사서의 전문성과 프로그램 운영의 연관성은 어린이 사서의 전문성 제고를 통해 양질의 어린이 프로그램 제공이 가능하다는 논의의 근거가 될 수 있다. 공공도서관 어린이 프로그램이 어린이 사서의 전문성 중 어린이에 대한 이해, 도서관 경영 및 관리, 전문성 계발 역량과 연관성이 있다는 의미 발견으로서도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 사서의 전문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미국 ALSC의 기준을 주로 참고하여, 어린이 사서의 전문성에 관한 우리나라의 기준이 마련된다면 그에 근거한 보완이 필요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어린이 사서의 전문성의 핵심인 어린이 사서로서 열정 등이 충분히 논의되지 못했으므로, 이를 반영하여 어린이 사서의 전문성과 서비스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된다면 보다 발전적인 논의가 이루어질 것으로 생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