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엄 소장품 운영 개선 연구 : 사립박물관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In Korea, cultural desire has significantly increased as level of national income and spare time have improved through economic development. Furthermore implementation of 5 Workdays system and cultural promotion policy since 2000, the number of museum...

In Korea, cultural desire has significantly increased as level of national income and spare time have improved through economic development. Furthermore implementation of 5 Workdays system and cultural promotion policy since 2000, the number of museums has doubles. And now, there is a discussion about the quality of the museum beyond the quantitative growth of the museum. In order to increase the quality level of museums, the 'Collections' becomes important element in museum. The collections management is the key activity of all the museums, the museums produce common value bringing cultural experience and education to public through their collections. Because of this point, collections of every museums have properties of public goods and it needs to be protected in the society as cultural heritages. Notwithstanding the importance of museums collections, inadequate management problems of collections are constantly being raised in the private museum(excluded art museums). Previous studies were focusing on analysis of museum promotion act or registration act, on museum accreditation & assesment to improve quality of museums and collections management were treated as secondary in this process. None of the previous studies conduct directly to consider problematic issues of collections management and operatio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priority services required to manage and operate museum collections adequately in a macroscopic museum environment by experts Interviews, survey and AHP. As the result of expert interview, collections management problems appeared across various areas such as Resource, Legal environment, Perception, Technology(expert knowledge), main issues are Infrastructure insufficiency and gap, Considering and maint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private museum collections and Recognition of the property of the collections. Based on these issues, improvement measures were derived and the importance among those factors was calculated. The factors priorities of AHP follow: in parent factors, 1st, Funding support(0.330), 2nd, Manpower training(0.173), 3rd, Improving the legal system(0.149), 4th, Knowledge(Consulting)(0.127), 5th, R&D(0.076)/ in sub-factor, 1st, Expanded labor costs support for stable employment(0.192), 2nd, Preservation and management training of existing workforce(0.101), 3rd, Collection maintenance/repair costs support(0.089), 4th, Facility improvement support(0.075), 5th, Increasing funding through securing financial transparency(0.051). Interpreting the meaning of the weight of the calculated factors follows: first, although the top of parent factor was funding support, the 1st and 2nd sub-factors related to employment stablilzaion and cultivation of the professional workforce. It is shown that securing the professional manpower resources is the most urgent problem to perform properly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collection. And Facility improvement support ranked in 4th in sub-factor shows that the infrastructure support is inevitable because facilities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influx of visitors and consequently on the survival of the museum. However, it is necessary to revise and supervise the museum law to establish museum equipped the minimum facility infrastructure and operating conditions as a kind of restrictions of establishing the museum in order to fundamentally solve the problem of insufficient facilities in current overall situation of private museums. Also, 5th factor of Increasing funding through securing financial transparency imply the possibility to raise society's awareness of the properties of private museum collections that is regarded as public goods and to acquire the foundation of public support for the collections. This study aimed to enhance the importance of museum collections and to explore the ways to improve quality of collections management through more objective methodology than general case study. And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established the factors for improvement of museum collections operations in a macroscopic museum environment, future research will need to focus on standardizing the

2000년 이후 국민 소득증대와 문화향유 욕구의 상승, 주 5일 근무제의 시행과 문화진흥정책이 맞물려 뮤지엄(미술관 및 박물관)의 수는 지난 10년 간 두 배 이상 증가하였다. 그리고 이제는 뮤...

2000년 이후 국민 소득증대와 문화향유 욕구의 상승, 주 5일 근무제의 시행과 문화진흥정책이 맞물려 뮤지엄(미술관 및 박물관)의 수는 지난 10년 간 두 배 이상 증가하였다. 그리고 이제는 뮤지엄의 양적성장을 넘어 질적 수준 향상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뮤지엄의 질적 수준 제고를 위해 반드시 고려해야 할 것이 바로 뮤지엄의 콘텐츠인 ‘소장품(collections)’이다. 소장품의 관리와 운영은 국내외 모든 뮤지엄의 핵심활동이며, 뮤지엄은 소장품을 통해 문화향유와 교육 증진 등의 공적 가치를 생산한다. 그렇기 때문에 모든 뮤지엄의 소장품은 공공재의 속성을 가지며 공동의 문화유산으로서 보호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소장품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국내 뮤지엄 중 박물관 특히, 사립박물관의 소장품 관리 부실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전의 연구들은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과 박물관 등록 규정 등의 제도 분석과 박물관 인증평가연구 등을 통해 사립박물관을 포함한 국내 박물관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소장품의 운영을 부가적으로 다루고 있다. 그러나 해당 선행연구들은 계속해서 대두되는 사립박물관의 소장품 관리와 운영 문제를 세부적으로 다루고 있지는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거시적인 박물관 환경 속에서 사립박물관이 소장품을 적절하게 관리·운영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할 요건들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사립박물관 소장품에 관련된 실제적인 이슈와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전문가 인터뷰와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AHP를 통해 개선방안 요인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인터뷰 결과 사립박물관의 소장품 운영에 관하여 자원(시설, 인력, 업무 프로세스 등), 제도적 환경, 인식, 기술(지식) 등에 대한 다양한 이슈들이 나타났으며, 소장품 관리·운영 환경의 주요 쟁점으로는 기초 인프라 부족 및 격차, 사립박물관 소장품의 특성 고려와 유지, 소장품의 재화적 속성에 관한 인식이 등장하였다. 이러한 이슈와 쟁점에 대한 개선요인을 도출하고 요인 간의 중요도를 산출한 결과, 상위 서비스 요인은 자금지원(0.330), 인력양성(0.173), 법·제도 개선(0.149), 인프라 조성(0.145), 지식(컨설팅)(0.127), R&D(0.076)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부 개선 방안 요인의 중요도는 1위 고용안정을 위한 인건비 지원 확대(0.192), 2위 기존인력의 보존·관리 교육(0.101), 3위 소장품 유지·보수 비용지원(0.089), 4위 시설 개선 지원(0.075), 5위 투명성 확보를 통한 지원금 확대(0.051) 순이었다. 산출된 요인 별 가중치의 의미를 간략히 살펴보면, 먼저 상위요인 1위가 자금지원으로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세부요인 1,2위가 전문인력의 고용안정과 교육강화에 관한 요인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사립박물관 소장품 운영에 있어서 소장품 운영관리 업무를 직접적으로 수행할 전문적인 인력재원의 확보가 다른 무엇보다도 시급한 문제임을 보여준다. 또한 시설 개선 지원이 세부요인 4위로 나타났는데, 이는 시설 인프라가 결국 관람객의 유입과 박물관의 존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그에 대한 지원이 불가피함을 드러낸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전반적인 사립박물관의 현황을 고려하였을 때, 사립박물관의 소장품 관리 및 운영시설 미흡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박물관의 설립 시 최소한의 시설 인프라와 운영여건을 설립조건으로 규정할 박물관법의 개선과 관리감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또한 5위로 나타난 투명성 확보를 통한 지원금 확대 요인은 사립박물관 소장품의 재화적 속성에 관한 사회의 인식을 제고하고 이를 통해 공적 지원의 기반을 마련할 가능성이 존재함을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는 박물관의 핵심자산인 소장품의 중요성을 제고하고, 사립박물관의 소장품 운영 수준을 개선할 방안들을 일반 사례연구보다 객관적인 방법론을 통해 모색하였다. 아쉬운 점은 사립박물관의 규모, 여건 등 처한 환경이 너무 다양하여 연구의 결과를 모든 사립박물관에 적용하기는 어렵다는 것이며, 상대적으로 좁고 폐쇄적인 사립박물관 네트워크와 소장품이라는 민감한 연구 주제로 인해 전문가 설문의 표본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본 연구는 현황에 맞는 박물관 소장품 운영 개선을 위한 요인을 정립하고 그 중요도를 도출했다는 의미를 가지며, 향후 연구는 이러한 이슈 및 개선방안 요인들을 박물관 연구에 활용 가능하도록 표준화하는데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을 것이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