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도요지 지표조사를 위한 사료(史料)에 관한연구 : -조선전기 세종실록지리지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조선시대 일본이 침략한 전쟁을 ‘도자기 전쟁’이라고 부르고 있다. 당시 일본이 남원을 공격한 이유 중에 하나로 일본작가 시바 료타로는 남원의 도자기 기술을 얻기 위한 것이라고 주...

조선시대 일본이 침략한 전쟁을 ‘도자기 전쟁’이라고 부르고 있다. 당시 일본이 남원을 공격한 이유 중에 하나로 일본작가 시바 료타로는 남원의 도자기 기술을 얻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을 한 적이 있다. 본 논문은 선사시대 이래로 문화의 중심이자 교통의 요지인 남원의 도요지 조사를 위한 사료에 관한 연구이다. 사통팔달의 남원은 삼국시대 토기 가마부터 조선의 분청, 백자, 철화백자, 옹기까지 남원시 곳곳에서 발견된다. 지명에 사기, 새터, 신촌, 신기, 점, 가마골 등이 있는 곳은 거의 대부분 도요지가 있다. 남원은 세종 당시에 상품 도자기를 생산하던 고령의 품질을 비교 기준이었고, 광주와 더불어 우수한 도자기를 생산하던 지역이다. 김종직이 지은 『이존록』이 이를 뒷받침한다. 남원부의 역사를 적은『용성지(龍城地)』를 보면 경사기장 22명이 아산에 있었다. 『여지도』등 고지도에도 사옹원 장인 22명에 대하여 표기 되어 있다. 모두 도망하였을 때 역을 타 지역에서 대신할 정도로 가마 및 도공들이 충분하였다. 이를 증명하듯 남원에는 많은 가마터가 있다. 하지만, 남원에 도자기 가마터에 대한 발굴은 이루어지지 않고 단편적인 지표조사가 이루어져 왔다. 각종 연구 서적에서도 조사만 있었다고는 하지만 남원도자기에 대하여는 다루지 않고 있다. 조선시대 남원도호부 아산방(阿山坊)(里, 耳) 지역의 자기소, 남원시에 있는 도요지와 도자기 관련 문헌들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금지면 서매리에서 ‘X’ 표시 있는 분청사기 파편을 발견하였고, 이백면 서동 점앞 도요지에서는 막대 형식의 4줄 그어진 표시와 대강면 사석리 도요지에서는 같은 형태로 5줄이 그어진 도기편을 발견하였으며, 흑백 상감분청, 인화분청 등을 발견하였고, 산동면 중절리에서는 철화백자를 새롭게 찾았다. 조선전기세종실록』「지리지」에는 남원의 자기소와 도기소가 기록되어 있다. 『여지도』,『남원도호부』등의 고지도와 현재 지명을 비교 참조하여 찾았다. 해당 지역의 가마터 유무, 유물과 조선초 가마터 여부를 고려하여 보았다. 그 결과로 남원 북쪽에 있는 아산리(阿山里) 자기소는 사기소로도 불리는 임실 삼계면 학정리로 추정하였다. 초랑리(草狼里) 도기소는 상감분청, 인화분청사기 등이 나오는 남원 대강면 사석리로 추정하였다. 다른 도기소인 은령리(銀嶺里)는 동쪽 백암방 지역에 있는 이백면 서동 점앞 또는 입촌 삭막의 도요지로 추정을 하였다.

During the Joseon Dynasty, Japan invaded Korea, which resulted in a war known as the “Pottery War”. A Japanese author, Ryotaro Shiba, once said that the reason why the Japanese attacked Namwon was mainly to obtain potters and their technology. Thi...

During the Joseon Dynasty, Japan invaded Korea, which resulted in a war known as the “Pottery War”. A Japanese author, Ryotaro Shiba, once said that the reason why the Japanese attacked Namwon was mainly to obtain potters and their technology. This research was on a study of kiln sites that were found in a city called Namwon, which was known for being the center of culture since the prehistoric times. Namwon has good communication networks and traffic networks, which benefitted in trade with different regions. The main Pottery kiln sites were from Chosun Dynasty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to the: Buncheong, white porcelain, Cheolwha, and Namwon. Most of the areas that include Saki, Saeteo, Shinchon, Shinki, Jam, or Gamagol in their name were kiln sites. During a time period when Sejong the Great (in the early chosun) was in control of the potteries that were made in Namwon and Gwangju(廣州), the potteries were such high quality and exquisite that they were used to determine the quality of potteries from Goryeong(高嶺). It is supported by the contents of the book 『Lijohnlok(彝尊錄)』by Jong-jic Kim Referring at the book called 『Youngsungji』 it is recorded that twenty-two Saongwon potters(京砂器匠) were in Asanri. Also 『Yeojido』 includes information of twenty-two Saongwon potters(司饔院匠人). When all of the potters escaped because of forced labor, there were still plenty of kilns and potters from other regions to replace those who have left. .To prove this, Namwon has numerous kiln sites. Even with all the information, the excavations of the Namwon kiln sites have not been fully carried out. There are various books that give general information on ceramics, however none of them specifically address Namwon ceramics. This research about Namwon Dohobu Asanbang region’s Jagiso from the Joseon Dynasty and various literatures on Namwon city’s pottery and kiln. According to the research, in Seomae-Ri Geumji-Myun scientists have found Buncheong pottery fragments that show a ‘X’ mark. Also, scientists discovered four bar shaped signs on potteries in the Seo-Dong Ibaek-Myeon Jeomap kiln site, and the same pattern except with five bar signs in Saseok-Ri, Daegang-Myeon, white porcelain with arabesque pattern in Jungjeolli, Sandong-Myeon Province, and black and white inlaid prints of Buncheong. Research was conducted from 『Sejongsillok』「jiriji」, which was written during the Joseon Dynasty. It has information on Jagiso and pottery workshops(陶器所) of Namwon.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e the actual location of Jagiso, pottery workshop (陶器所) and that the potteries were actually produced in those places. To find the exact location of Jagiso, a comparison of old maps like 『Yeojido』, 『Namwondohobu』 and the latest map was necessary. In order to make sure that the kiln site was actually producing potteries, there were investigations of pottery fragments that were found in that location. From the comparison of those materials shows that Ahsanbang Jagiso’s, which is located in northern side, actual location is Hakjeong-ri, Samgye-myeon Imsil-gun. The location of Choryangri(草狼里) pottery workshop(陶器所) is most likely to be Saseok-Ri, Daegang-Myeon kiln site, where inlaid Buncheong, stamped Buncheong, and potteries were found. Another theory of the location of Eunryeongri(銀嶺里) pottery workshop(陶器所) is assumed to be located on the east side of Baekambang region Seodong Jeomap or Ipchon sakmakkol, Ibaek-myeon kiln site.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