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 후 50여년 동안 분단의 길을 걸어온 남북한은 서로 다른 사회적, 정치적 체제 속에서 상대적인 문화 이질감이 나타났고, 이러한 이질감은 교육 이념과 교육목적을 통해서 계속 심화...
한국전쟁 후 50여년 동안 분단의 길을 걸어온 남북한은 서로 다른 사회적, 정치적 체제 속에서 상대적인 문화 이질감이 나타났고, 이러한 이질감은 교육 이념과 교육목적을 통해서 계속 심화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남북한의 교육 목표와 교육과정, 현행 세계지리 교과서의 단원 구성과 내용을 비교함으로써 남북한의 세계를 조망하는 시각과 국제관계 이해에서의 차이를 살펴보고, 통일 후 남북한 세계관의 차이를 극복하며 통합적인 시각을 마련하기 위한 교육적 자료로 활용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남한의 지학사에서 출판된 고등학교 세계지리 교과서와 북한의 고등중학교 지리4 교과서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리교육의 이념과 목표에 차이가 있다. 남한 중등학교 지리교육의 이념과 목표는 지리학의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국토와 세계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나아가 다양한 정보를 활용하여 현대 사회의 문제를 창의적이며 합리적으로 해결하며 공동생활에 스스로 참여하는 능력을 기르고, 개인의 발전은 물론, 국가, 사회, 인류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민주 시민의 자질을 기르고자 한다. 반면 북한은 지리교과 역시 정치사상 교육과 권력의 고착화의 한 수단으로 전락시키고 있으며, 주체형 공산주의적 인간으로서의 육성에 중점을 두고 집단구성원으로서의 개인을 만들어 내고자 한다.
둘째, 교육과정 편제면에서 남한은 지리가 선택 중심 교육과정으로 나뉘어 구성된데 반해 북한은 국토지리와 세계지리가 모두 필수로 구성되어 북한에서의 '지리'가 남한의 경우보다 더 비중 있게 다루어지는 주요 교과목임을 알 수 있다.
셋째, 단원별 비중과 지역의 구분방식을 비교하였을 때, 남한은 지역을 문화권과 경제적 발전정도를 중심으로, 북한은 지지적 접근 방식으로 구분하였고, 각 대륙별 비중에 있어서도 서로의 나라와 이해관계가 있는 대륙에 더 많은 분량을 할애하고 있다.
넷째, 대륙별 내용 서술방식의 차이에 있어 남한은 특별히 사상이나 이념이 개입되어 있지 않고 객관적 사실을 설명하고 있는 반면, 북한은 전체적으로 사회주의 우월성을 지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교과서의 시각자료 차이이다. 남한 교과서에는 북한 교과서에 비해 많은 양의 시각자료가 제시되고 있으며, 자료의 질과 자료 제시방법에 있어 큰 차이를 보인다.
여섯째, 교과서에 사용된 용어와 지명의 차이이다. 지리 용어와 지명을 표기하는데 남한의 경우 한문으로 표기한 용어가 많고 외래어는 각 지역 발음에 가깝게 표기하는 반면, 북한은 순수한 우리말 표현이 많고 외래어 표기에는 된소리 표현이 많다.
본 논문은 남북한의 세계지리 교과서 분석을 통하여 북한 사회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며 미력하나마 통일에 대비하여 바람직한 지리 교육을 모색하고, 지리 교육과정 및 내용의 재구성에 참고하여 새로운 교과서 제작에 이바지하고자 하는데 의의를 둔다.
This thesis aims to study the historical change of curriculum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gh school world geography of two Korea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high school world geography textbook ...
This thesis aims to study the historical change of curriculum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gh school world geography of two Korea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high school world geography textbook which was published by Jihak-sa in South Korea and geography 4 of senior-middle school in North Korea were obtained. The data are analyzed statistically.
The result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are differences in idea and purpose of geography education between two Korea. The idea and purpose of South Korea curriculum to understand man and land in this country and over the world and to solve the problems which modern societies have. Further, With education and training, students could be able to lead a communal life successfully, to improve the quality of democratic society and to develope social as well as human life. Textbook of North Korea aims to use textbook as education of ideology and upgrade of ruling class power, to focus on not only upgrading communist ideology but also making people as constituent elements of collective life.
Second, North Korea has appointed national geography and the world geography as required subject while South Korea has appointed it as a elective subject. It means that geography is more important subject in North Korea than in South Korea.
Third, a cultural range and a level of economy are basic subject in South Korea while a topography is a standard one in North Korea.
Forth, there are no ideologically biased opinions in South Korea textbook On the other side, North Korea textbook is inclined to show the superiority of communism.
Fifth, South Korea's text book provide more visual aids than that of North Korea. The quality of stuffs and the way of presentation also have big differences.
Sixth,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choice of subject names and place names. Many Chinese characters and other foreign words are used in South Korea's textbook. If they write foreign place name or subject name, they try to pronounce as nearly native speaker. Meanwhile, only pure Korean characters are used in North Korea's text book. If they need to use foreign words, they should be changed or translated into Korean.
,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