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 사회과 교사의 다문화교육 연수 경험과 다문화교육 실천 사례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depth and concrete understanding of the practi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secondary social studies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al professional development. This study aims to achieve this throu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depth and concrete understanding of the practi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secondary social studies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al professional development. This study aims to achieve this through an examination of case studies of secondary social studies teachers' experiences. Such an examination focuses on addressing the following three questions. First, how can secondary social studies teachers defin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ir own multicultural educational professional development? Second, what influence does secondary social studies teachers' experie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al professional development have on schooling? Third, what level of support and effort are required to implement multicultural education in an effective manner? It was found that most secondary social studies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an interview, had a good understanding of the core concep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but that some showed assimilative perspectives. Secondary social studies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an interview, also said that they recognized the importance and the nee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his was shown by the fact that they took multicultural educational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fully relayed multiculture related content to classes. Secondary social studies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an interview, agreed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was still insufficient. The teachers pointed out the lack of teachers' awar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difficulty of engaging in voluntary in-class discussion due to the need to perform other tasks and college entrance-exam oriented classes as obstacles to the practi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order to implement multicultural education in a more effective manner, teachers presented ways to: improve awar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supplement textbooks and multicultural educational professional development, invigorate multicultural education outside of the classroom and strengthen multicultural education for students and parents. In this study, multicultural education was reviewed and proposals for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made based on the above mentioned findings.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 현장에서 다문화교육을 수행하는 중등 사회교사다문화교연수실천 경험에 대하여 심층적이고 구체적으로 이해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교사...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 현장에서 다문화교육을 수행하는 중등 사회과 교사의 다문화교육 연수실천 경험에 대하여 심층적이고 구체적으로 이해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과 교사들의 경험에 대한 사례 연구를 통해 다문화교육이 실천되는 현장을 간접적으로 들여다봄으로써 첫째, 중등 사회과 교사들의 다문화교육 및 다문화교육 연수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중등 사회과 교사들의 다문화교육 연수 경험이 학교 교육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셋째, 효과적인 다문화교육 실천을 위해 필요한 지원과 교사들에게 요구되는 노력은 무엇인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인터뷰에 참여한 교사들은 대체로 다문화교육의 핵심 개념에 대해 이해하고 있었다. 그러나 일부 교사들은 여전히 '동화주의'적 관점을 보이기도 하였다. 한편, 교사들은 다문화교육 연수를 수강함으로써 다문화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으면서, 학교 수업에서 다문화 관련 내용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었다. 그러나 다문화교육이 전반적으로 여전히 부족하다는 데에 의견의 일치를 보였다. 교사들은 주변 교사들의 의식 부족, 다른 업무로 인한 자율적인 협의의 어려움, 시험 위주의 학교 수업 등을 다문화교육 실천의 문제점으로 보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 다문화교육의 효과적인 실현을 위해 교사의 의식 개선, 교과서와 교사 직무 연수의 내용적 보완, 교실 밖 다문화교육의 활성화, 학생과 학부모를 위한 전문 연수 강화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교육의 시사점을 검토하고, 다문화교육의 발전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