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purposed to enhance Korean language teachers’ quality and professionalism through providing substantial reeducation programs. For this purpose, current reeducation was reviewed through analyzing previous studies on the reeducation of Kore...
This study purposed to enhance Korean language teachers’ quality and professionalism through providing substantial reeducation programs. For this purpose, current reeducation was reviewed through analyzing previous studies on the reeducation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reeducation programs for the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were made on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raining for the reeducation of Korean language teachers.
Chapter II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required qualities according to developmental stage, and suggested that the contents and methods of reeducation need to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qualities.
Chapter III analyzed reeducation program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provided currently by seven relevant governmental institutions. From the analysis was found the problem that most of the programs were theoretical or too easy to play the function and role of reeducation. For more specific results, this study surveyed the satisfaction of teachers who had participated in reeducation program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contents of reeducation wanted by in‐service teachers were case presentation applicable in actual classes, contents related to the learners, effective teaching methods apt for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from each country, and discussion on teaching methods and information with colleague teachers or specialists in the field.
Chapter IV proposed reeducation program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at colleges and Korean language institutions in Korea based on the results of research in Chapter II and III. Details of knowledge necessary for reeducation were selected and then highly needed items were chosen among them through a Delphi survey of in‐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In addition, subjects were chosen using the items as keywords, and the contents of education for each developmental stage were extracted through having Korean language teachers choose contents suitable for their developmental stage. Furthermore, education methods fit for the contents were suggested together. In this way, this study proposed programs suitable for the early, middle and late stages of teachers’ development.
This study confirmed each institution’s effort to improv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ts enthusiasm for teacher reeducation. Based on this finding, moreover, substantial reeducation programs were proposed that reflected in‐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needs. These programs are expec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consequently, to upgrade the qual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proposed reeducation programs were not tested in the field.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in order to develop reeducation program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to introduce coaching programs using 1st‐class Korean language teachers, to promote integrated and linked operation with other language teaching areas, and to establish support systems for autonomous reeducation programs.
이 연구는 한국어교원에게 실질적인 재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질적인 성장과 전문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어교원 재교육에 관한 선행연구 및 재교육 프로그램을...
이 연구는 한국어교원에게 실질적인 재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질적인 성장과 전문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어교원 재교육에 관한 선행연구 및 재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현재의 재교육을 점검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교원의 재교육을 위한 교육 내용, 교육 방법과 운영 방안에 대해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한국어교원의 발달 단계에 따른 특징과 갖추어야 할 자질들에 살피고 이에 따라 재교육의 내용과 방식이 달라져야 함을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현재 7개 정부 유관 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한국어교원의 재교육 프로그램들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대부분의 프로그램들이 이론 중심이거나 평이하여 재교육으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이에 대한 자세한 결과를 얻기 위해 재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교원들을 대상으로 만족도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현직 교원들이 원하는 재교육 내용은 ‘실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사례발표, 학습자 관련 교육 내용, 국가별 학습자들의 특성에 따른 효과적인 교수법, 동료 교원이나 현직 교원들의 교육 방법 및 정보, 현직 전문가와의 토의’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4장에서는 2장의 이론과 3장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대학 및 한국어교육기관 한국어교원’을 대상으로 한 재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재교육에 필요한 세부 지식들을 선정하고 현직 한국어교원들에게 델파이 설문 조사를 통해서 필요도가 높은 항목들을 추출하였다. 또한 그 항목들을 중심어로 세부 교과목을 선정하고 한국어교원들에게 교사 발달 단계에 적합한 교육 내용을 선택하게 하여 각 교사의 단계에 필요한 교육 내용도 추출하였다. 그리고 교육 내용에 적합한 교육 방법 또한 함께 제시하여 교사 초기, 중기, 후기 단계에 맞는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한국어교육의 발전을 위해 각 기관들의 노력들을 파악할 수 있었고, 재교육의 의지에 대해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현직 한국어교원들의 요구도를 반영하여 실질적인 재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이는 한국어교원의 질을 향상시켜 한국어교육의 질을 높이는 데 이바지 할 것이다.
이 연구의 한계점은 제시한 재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해 보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앞으로 한국어교원의 재교육을 위해 한국어교원 승급을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1급 한국어교원을 활용한 코칭 프로그램 도입, 타 외국어 교육 분야와의 통합 및 연계 운영 방법 모색하고, 자율적인 재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지원 제도와 같은 더욱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