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의 시작 및 혼란스러운 국내외 정국, 경제의 침체에 따른 노동시장의 급속한 변화에 따라 평생직장과 평생직업의 개념은 무의미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조직 내 우수한 인재의 ... 4차 산업혁명의 시작 및 혼란스러운 국내외 정국, 경제의 침체에 따른 노동시장의 급속한 변화에 따라 평생직장과 평생직업의 개념은 무의미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조직 내 우수한 인재의 자발적 이직은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보유하고 있는 우수한 인적자원을 유지, 관리하기 위한 문제가 기업의 주요 관심사가 됨에 따라, 기업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기혼직장인을 대상으로 인지적 유연성과 직무배태성 간 상관관계 구조에서 네트워킹 행동과 일-가정 향상이 어떻게 매개역할을 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 결과에서 검증된 변수간의 관계를 토대로 설문문항 구성 후,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국내 중소기업 사무직에 종사하는 기혼 남녀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320부의 응답 중 유효설문지 총 281부를 실제 변인간 영향관계 분석에 활용하였다. 첫째, 기혼 직장인의 인지적 유연성은 직무배태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안인식도출능력이 직무배태성에 더 높은 유효성을 나타냈다. 기혼직장인들은 가정에서는 각각 배우자로서, 그리고 아들, 딸로서 또한 부모로서 역할을 하며, 직장에서는 더 나은 조직구성원이 되기 위해 노력하기 때문에 다중역할에 따른 경험사례의 증가와 상황에 맞춘 판단력이 발달되어 이런 결과를 이끌어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모든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특히 네트워킹행동의 경우 본 연구는 외부 네트워킹 행동은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고 했던 일부 연구결과를 뒤집고, 조직 내, 외 네트워킹 모두 직무배태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혀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업무 상황에서 문제 발생 시 본인이 가지고 있는 사회적 자본을 적극 활용하여 대안을 모색하고 상황을 통제하는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셋째, 네트워킹행동과 직무배태성 사이에서 일-가정 향상의 매개효과가 밝혀졌다. 특히 네트워킹행동과 일-가정 향상의 관계는 이 연구를 통해 처음 규명해 냈다는데 의의가 있다. 조직 내 외부 사람들과의 긍정적인 관점에서의 네트워킹 행동이 일-가정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인지적유연성이 네트워킹행동과 일-가정향상을 거쳐 직무배태성에 영향을 미치는 이중매개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두 변인이 직무배태성의 선행변수로서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 색다른 시각을 견지할 수 있게 되었다. 이상의 논의들로부터 인지적유연성이 높을수록, 네트워킹행동을 많이 할수록, 일-가정 향상이 이루어질수록 기혼 직장인의 직무배태성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조직 차원에서 개인의 특성과 행동에 따른 우수 인적자원관리 및 개발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신입사원 채용단계에서부터 인지적유연성을 검증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채용 이후에도 단순주입식의 조직문화교육보다는 멘토링 등을 통해 조직 내 네트워킹을 강화시켜 조기퇴사율을 낮추는 방법을 함께 고민해야 한다. 또한 상대적으로 인색했던 재직 중인 기혼직장인들 대상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과 지원제도를 개선, 보완하여 조직구성원들의 인지적 유연성 향상을 위해 노력한다면 직원들의 장기근속률은 향상될 것이다.
With the beginning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rapid change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tics, the concept of a lifelong job and lifelong career has become meaningless. Therefore outstanding individuals in the organization of vol... With the beginning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rapid change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tics, the concept of a lifelong job and lifelong career has become meaningless. Therefore outstanding individuals in the organization of voluntary turnover are steadily growing. Maintaining existing excellent human resources is becoming a major concern issues to the organizations nowadays. This study is to suggest implications through verifying empirically mediating effects of networking behavior and work-family enrichment in a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lexibility and job embeddedness targeting married workers whom are taking large part of the companie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nown variables in the prior study, questionnaire was made up with credibility.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on-line and off-line by married office workers whom are working at domestic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32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but only 281 questionnaires were valid for the study. In this study, it confirmed that the cognitive flexibility, which can effectively cope with diversification, of the married workers establishes a statistical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networking behavior, work-life enrichment, and the job embeddednes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married worker’s cognitive flexibility appears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embeddedness. Especially the alternatives subscale, which assessed the ability to perceive alternatives to difficult situations, showed higher effectiveness to job embeddedness.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y developed their situational judgement and experiences coping with various different and new environments by playing multiple roles between work and family to be a better worker and family member both. Second, as a result of verification of the effects, it was verified that the path to all paramet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is study revealed internal and external networking both are valid to job embeddedness because it turns upside down some of the former studies which showed that external networking behavior negatively affected on job embeddedness. It seems that married workers use social capital as a way of taking advantage of alternatives and controlling the situation when they confronted with business problems. By this result, it can be seen as evidence of the act of networking behavior as parameter between cognitive flexibility and job embeddedness.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work-family enrichment between networking behavior and job embeddedness has been proved. Especi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networking behavior and work-family enrichment is determined by this research for the first time. It can be interpreted that both internal and external networking behaviors from a positive point of view affect work-family enrichment. Furthermore, cognitive flexibility has also been shown to affect the effectiveness of the job embeddedness, through networking behavior and work-family enrichment. In this sense, it was theoretically possible that two variables could be designated as a precursor to the job embeddedness. Considering that individual personality traits or characteristics cannot be considered because it’s innate, however, cognitive flexibility can be developed through learn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development strategy based o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action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