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mpacts of marital conflict, parenting attitude,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school life adaptation in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To a...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mpacts of marital conflict, parenting attitude,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school life adaptation in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To achieve this purpose, our survey was conducted in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attending elementary schools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from May 20, 2016 to Jul. 6, 2016 and a total 376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Our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arital conflict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elf-resilience in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Martial conflict frequency, subfactor of marital conflict had a negative(-) impact on self-resilience and marital conflict resolu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self-resilience, whereas marital conflict intensi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Second, marital conflict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ocial support in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Marital conflict frequency and intensity, subfactors of marital conflict had a negative(-) impact on social support and marital conflict resolu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social support. Third, marital conflict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chool life adaptation in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Marital conflict frequency, subfactor of marital conflict had a negative(-) impact on school life adaptation and marital conflict resolu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school life adaptation, whereas marital conflict intensi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Fourth, parenting attitude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elf-resilience in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Affection-hostility, autonomy-control, and achievement-nonachievement, subfactors of parenting attitude had a positive(/) impact on self-resilience and rationality-irrationali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Fifth, parenting attitude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ocial support in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Affection-hostility, autonomy-control, and achievement-nonachievement, subfactors of parenting attitude had a positive(/) impact on social support, whereas rationality-irrationali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Sixth, parenting attitude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chool life adaptation in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Affection-hostility and achievement-nonachievement, subfactors of parenting attitude had a positive(/) impact on school life adaptation, whereas autonomy-control and rationality-irrationali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Seventh, parent-child communication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elf-resilience. Open communication, subfactor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self-resilience, whereas problematic communication had a negative(-) impact. Eighth, parent-child communication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ocial support. Open communication, subfactor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social support, whereas problematic communica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Ninth, parent-child communication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chool life adaptation. Open communication, subfactor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school life adaptation, whereas problematic communication had a negative(-) impact. Tenth, self-resilience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chool life adaptation. Interpersonal relation, curiosity, and optimism, subfactors of self-resilience had a positive(/) impact on school life adaptation, whereas vitality and emotional control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Eleventh, social support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chool life adaptation. Family’s support, friend’s support, and teacher’s support,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impact(/) on school life adaptation. Taken together, when looking at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in the impacts of marital conflict, parenting attitude,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school life adaptation in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self-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impact of marital conflict and parenting attitude on school life adaptation only and did not play such a role in the impact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school life adaptation.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부부갈등, 부모양육태도,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정하고자 하였...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부부갈등, 부모양육태도,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2016년 5월 20일부터 2016년 7월 6일까지 대구·경북 지역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376명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부부갈등이 자아탄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부갈등의 하위요인인 부부갈등 빈도는 자아탄력성에 부(-), 부부갈등 해결은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부부갈등 강도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부부갈등이 사회적 지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부갈등의 하위요인인 부부갈등 빈도와 강도는 사회적 지지에 부(-), 부부갈등 해결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부부갈등이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부갈등의 하위요인인 부부갈등 빈도는 학교생활적응에 부(-), 부부갈등 해결은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부부갈등 강도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자아탄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양육태도의 하위요인인 애정-적대, 자율-통제, 성취-비성취는 자아탄력성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합리-비합리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사회적 지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양육태도의 하위요인인 애정-적대, 자율-통제, 성취-비성취는 사회적 지지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합리-비합리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양육태도의 하위요인인 애정-적대, 성취-비성취는 학교생활적응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자율-통제, 합리-비합리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이 자아탄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의 하위요인인 개방형 의사소통은 자아탄력성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문제형 의사소통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이 사회적 지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의 하위요인인 개방형 의사소통은 사회적 지지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문제형 의사소통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이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의 하위요인인 개방형 의사소통은 학교생활적응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문제형 의사소통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째,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인 대인관계, 호기심, 낙관성은 학교생활적응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활력성과 감정통제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한째,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가족지지, 친구지지, 교사지지는 학교생활적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부부갈등, 부모양육태도,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에서는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는 부부갈등, 부모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영향에 있어서만 매개역할을 하고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영향에서는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韩语论文题目,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