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세계시민의 일원으로서 유아기부터 더불어 살아가는 태도를 형성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세계시민교육에 기초한 협동 활동을 구성하여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대인문제해결... 본 연구는 세계시민의 일원으로서 유아기부터 더불어 살아가는 태도를 형성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세계시민교육에 기초한 협동 활동을 구성하여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대인문제해결력이 함양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세계시민교육에 기초한 협동 활동을 통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대인문제해결력에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세계시민교육에 기초한 협동 활동을 통한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차이가 있는가? 둘째, 세계시민교육에 기초한 협동 활동을 통한 유아의 대인문제해결력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차이가 있는가? 세계시민교육에 기초한 협동 활동을 구성하기 위해 다양한 자료와 관련 선행연구들을 탐색하여 프로그램의 내용, 목표 및 방향을 설정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유아들이 세계시민교육과 관련하여 관심을 가져야 할 다양한 문제를 선정하고, 그와 연계하여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언어, 미술, 게임, 요리 등 협동 활동을 포함하여 20회로 계획하였다. 예비연구를 통해 본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고, 유아교육 전문가와 유아교육 현장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4인에게 타당성을 검증받아 최종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프로그램은 다문화, 인권, 평화, 환경의 4가지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내용에 대한 각 활동은 세부내용에 적합하도록 계획·실행하였으며, 유네스코(2015)가 제시한 세계시민교육의 세 가지 학습 영역인 인지적 영역, 사회·정서적 영역, 행동적 영역을 반영하여 ‘1단계-세계시민교육과 관련된 문제인식 및 관심 갖기’, ‘2단계-세계시민교육에 기초한 협동 활동하기’, ‘3단계-활동에 대한 공유 및 평가하기’의 과정을 거쳐 유아들이 직접적으로 경험해 볼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충청북도 C시에 위치한 G병설유치원과 K병설유치원의 만 5세 유아 48명이다. 무선 표집을 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어 G병설유치원 24명은 실험집단, K병설유치원 24명은 비교집단으로 임의 배정하여 두 집단의 동질성을 확보하였다. 본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동안 실험집단의 경우 본 연구의 프로그램을 진행하였고, 비교집단의 경우 누리과정 생활주제에 기초한 일상적인 활동만을 실시하였다. 세계시민교육에 기초한 협동 활동을 실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유능감에서 실험집단 유아의 점수가 비교집단 유아의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인문제해결력에서 실험집단 유아의 점수가 비교집단 유아의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세계시민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협동 활동을 통해 타인을 이해하고 공동체 속에서 필요한 규범을 습득함으로써 사회적 유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세계시민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의 원인을 알고 해결책을 모색해 본 후, 집단 안에서 또래들과 상호작용하며 본 활동을 직접 경험해 보는 과정이 대인문제해결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유아들의 협동 활동 경험이 세계시민교육에 일조할 수 있음을 시사해 보고, 실제로 유아교육 현장에서 교사들이 세계시민교육을 적용해 보고자 할 때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aims to develop the social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bility of children by configuring cooperative activities based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s a part of efforts to form an attitude for living in harmony from chil... This aims to develop the social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bility of children by configuring cooperative activities based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s a part of efforts to form an attitude for living in harmony from childhood as a global citizen.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st group and comparison group regarding social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bility through cooperative activity based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lected for research. First, do the test group and comparison group display a difference in the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through cooperative activity based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Next, do the test group and comparison group display a difference in the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bility of children through cooperative activity based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o configure cooperative activities based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 content, goals and directions of the program were established by investigating a variety of data and relevant existing research studies. The program selected a variety of problems in which children needed to be interested related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planned 20 sessions related to cooperative activities including language, arts, games and cooking that had been estimated to be suitable for the program. The final program was completed after the verification of feasibility by four teachers working in the early education field and exper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supplementing and modifying the program through preliminary research. The program was comprised four content areas: multi-culture, human rights, peace and the environment. Each activity per content area was planned and executed to be suited to its details. By reflecting the cognitive area, social and emotional area, and behavioral area, three learning area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s proposed by USCO(2015), the program was planned for children to directly experience ‘Step 1 - Recognize and become interested in problems related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tep 2 - Practice cooperative activity based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Step 3 – Share and evaluate the activity’.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forty-eight children five years of age in G kindergarten and K kindergarten attached to a school in City C, Chungcheongbuk-do. Due to the difficulty in random sampling, twenty-four children in G kindergarten and twenty-four children in K kindergarten were designated as the test group and comparison group, respectively, at the researcher’s discretion, to secure the homogeneity of both groups.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the test group executed the program and the comparison group did only the daily activity based on the themes about living in the Nuri program. The research results found by executing the cooperative activity based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re presented below. First, the children in the test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ocial competence scores than the children in the comparison group. Second, the children in the test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bility than those in the comparison group.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results, sharing a variety of questions related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understanding others through cooperative activity to achieve joint goals, and acquiring the norms required in a community had a positive impact on social competence. Furthermore, identifying the causes of various problems related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solutions for the causes and directly experiencing the activity through interaction with peers in a group had a positive impact on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bility. The results of this seem to show that cooperative activity experiences of children could assis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will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when the program is applied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by teachers in actual early education fields.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