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에 있어서 정원은 휴식, 여가, 활동 등과 같이 주택 소유주의 취향, 이상향 등과 같은 심리적 표출의 공간이자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을 제공하는 공간이다. 그러나 점점 단독주택이 사라... 주택에 있어서 정원은 휴식, 여가, 활동 등과 같이 주택 소유주의 취향, 이상향 등과 같은 심리적 표출의 공간이자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을 제공하는 공간이다. 그러나 점점 단독주택이 사라지고 공동주택이 급증함에 따라 현대인들은 이러한 기본적인 해택도 제공 받기가 어려워지고 있으며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가족 구성원의 변화, 지구기후변화로 인한 도시 환경 문제와 같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시대적 패러다임에 맞춰 정원이 다시 대두되고 있다. 현재 정원에 관련된 수요가 점차 증가하면서 정원 문화와 산업이 확산 될 것으로 기대되는 시점에서 전원주택 정원의 구성요소들을 세부적으로 분류하고 중요도를 분석한다면 향후 전원주택 정원 조성 시 계획, 설계, 시공 등의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원주택 정원 이용 행태에 관한 분석을 살펴보면 조성 목적은 정신적·육체적 건강이 38.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용 주체와 관리 주체는 대부분 가족이었다. 이용 시간은 평균 1~2시간이었다. 이용활동을 살펴보면 휴식·명상이 40.8%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정원 물주기·가꾸기가 30.6%으로 나타났다. 전원주택 정원의 형태는 'ㅁ'형이 65.3%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전원주택 정원의 기능은 정신치유적 기능이 46.9%, 미관향상 기능이 28.6%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가족들과 함께 평균 1~2시간씩 휴식 및 정원 가꾸기를 하면서 전원주택 정원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원주택에서 정원의 중요도를 살펴보면 79.6%의 응답자가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많은 사람들이 전원주택에서 정원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공간 구성요소의 중요도에서는 ‘동선 > 주변 환경 > 경계부 > 기타 공간 > 수공간’의 순서로 나타났다. 식재 구성요소에서 중요도는 ‘상록교목 > 초화류 = 텃밭작물류 > 낙엽관목 > 상록관목 = 잔디 > 낙엽교목’의 순서로 나타나고 있었다. 시설물 구성요소에서 중요도는 ‘휴식 시설 > 조명 > 담장 > 조형물 > 포장 > 놀이 시설’의 순서로 나타나고 있었다. 응답자 특성에 따라 전원주택 정원 구성요소의 중요도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였다. 성별·연령·직업은 구성요소들의 중요도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학력·연소득도 중요도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가족구성원의 차이도 중요도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전원주택 소유자들의 특성에 따라 전원주택 정원 구성요소에 대한 중요도가 차이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정원 이용자 특성에 따라 중요도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응답자 개개인의 특성과는 관계없이 정원 구성요소들의 중요성에 대해 비슷한 생각을 가지고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게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재 이론적으로 정립되어 있지 않은 전원주택 정원의 구성요소를 도출하고 분류하였다. 또한 전원주택 정원 이용 행태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전원주택 정원 구성요소들의 중요도를 분석하여 향후 전원주택 정원 조성 시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의의가 있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