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화로 인한 상호연결성이 심화되면서 지구 한 모퉁이에서 일어나고 있는 빈곤, 난민, 이상기후, 전염병, 테러, 국제분쟁 등의 문제들이 국경을 허물고 우리의 삶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세계화로 인한 상호연결성이 심화되면서 지구 한 모퉁이에서 일어나고 있는 빈곤, 난민, 이상기후, 전염병, 테러, 국제분쟁 등의 문제들이 국경을 허물고 우리의 삶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시민으로서 갖춰야 할 비판적인 사고와 책임감 있는 실천을 강조하는 세계시민교육이 국제 사회의 주요한 교육 목표로 급부상하고 있다. 이 연구는 최근 국제사회의 주요한 교육 목표로 부상하고 있는 세계시민교육에 대해 학교 현장 교사들의 실천 경험이 갖는 교육적 의미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세계시민교육 선도 교사들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방법 중 하나인 내러티브 탐구를 통하여 이들의 학교 현장에서의 세계시민교육 실천 경험을 살펴보고자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세계시민교육 선도 교사들의 학교 현장 경험을 이해하기 위하여 제기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떠한 교사들이 세계시민교육에 관심을 갖게 되었는가? 둘째,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이 세계시민교육을 어떻게 재구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과정 중에 겪은 어려움은 무엇인가? 셋째,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이 세계시민교육을 하게 되는 동기와 교육적 의미는 무엇인가? 연구자는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세계시민교육에 관한 국내‧외의 문헌을 참고하였으며,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충청도, 경상도에서 세계시민교육 선도 교사로 활동하고 있는 초‧중등 교사 10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내러티브 탐구를 수행하였다. 세계시민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교사들의 경험을 살펴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에 참여한 세계시민교육 선도 교사들이 세계시민교육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다양한 개인의 어린 시절 상황 및 교직생활과 연관되어 있었다. 이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발견할 수 있었던 것은 개인이 처한 상황에 문제의식을 느끼고 비판적 사고를 통한 반성적 성찰을 하였다는 것이다. 교사들은 교육에 대한 문제의식, 교직에 대한 답답함과 회의감, 고정관념과 편견으로 인한 차별 등으로 좌절하고 있을 때 자신의 가치와 신념이 일치하는 세계시민교육을 접하게 되면서 이러한 만남을 우연이 아닌 운명이라 느끼고 있었다. 둘째, 연구에 참여한 세계시민교육 선도 교사들은 학교 현장의 여러 가지 어려움 속에서도 개인이 처한 학교 또는 지역의 상황에 맞게 세계시민교육을 재구성하여 실천하고 있었다. 교사들의 학교급(초‧중‧고), 교직 경력, 과목, 지역은 모두 달랐지만, 이들에게 발견할 수 있었던 공통점은 자신의 관심사‧취미와 연결고리를 만들었다는 점과 내용 중심적인 수업보다는 실천을 통한 경험중심의 체험활동을 지향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교사들이 세계시민교육을 시행하면서 겪은 어려움을 외부요인과 내부요인으로 나눌 수 있었다. 외부 요인으로는 사회․문화적으로 만연한 입시위주 교육, 학교 조직의 관료화, 과중한 행정업무로 여유 없는 학교생활, 세계시민교육 관련 부족한 교수‧학습자료, 관리자와 동료교사들의 무관심과 비협조적인 태도 등이 있었다. 이와 더불어 내부 요인으로는 세계시민교육의 불명확하고 다양한 개념,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상반된 입장인 애국주의와 세계화주의, 교사가 학생들에게 가르친 내용과 다른 실제 삶의 태도, 가정과의 불균형 등으로 인한 딜레마로 인해 혼란스럽다고 하였다. 셋째, 연구에 참여한 각 교사들의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 관심 갖는 주제는 모두 달랐지만, 공통적으로 세계시민교육을 실천하면서 자신의 교육적 신념에 대한 반성적 성찰을 하게 되었고 학생들이 즐겁고 다른 사람 이 행복하면 곧 자신이 행복하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그리고 마음이 맞고 목적이 같은 사람들이 모인 공동체 안에서 서로 관계를 맺고 상호작용하면서 긍정적인 에너지를 얻어 성장하고 있음을 느낀다고 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교사들의 교직경력, 과목, 학교급, 지역에 따른 실증적 분석을 통해 세계시민교육 정책 마련에 보다 정교하고 특수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세계시민교육 선도 교사들의 실질적인 경험적 내러티브는 현장의 모습과 어려움을 대변해줌으로써 세계시민교육의 이론적‧정책적 담론과 학교 현장과의 괴리감을 좁혀주는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셋째, 교사들이 학교 현장의 어려움 속에서도 세계시민교육을 지속적으로 시행할 수 있었던 가장 큰 동기는 자신이 추구하는 교육에 대한 가치와 의미를 발견하였다는 것이다. 세계시민교육이 교사와 학생들에게 올바르고 의미 있는 교육이고, 교육의 본질적 목적을 찾아가는 좋은 통로가 될 것이라는 강한 확신을 갖고 있었다. 이상의 결론과 논의를 바탕으로 세계시민교육이 학교에 정착하고 및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으로는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홍보, 형식적인 관행이 아닌 자발적 실천을 할 수 있는 환경, 유의미하고 실질적인 교류의 장 마련, 외부 기관과의 연계 절차 간소화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세계시민교육 발전을 위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으로 학생들의 관점 반영, 다양한 교사들의 경험 연구, 시‧도 교육청별 세계시민교육 정책 연구 비교를 제시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