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아트프리마켓의 발전방안 : 울산 '손맛장터'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Abstract Improvement strategy for Art Flea Markets in the Local Society - Focused on the Ulsan ‘Sonmatjangteo’ Boram Lee Since the Hongik University Free Market in 2002, various art flea markets have been established and operated nationwide;...

Abstract Improvement strategy for Art Flea Markets in the Local Society - Focused on the Ulsan ‘Sonmatjangteo’ Boram Lee Since the Hongik University Free Market in 2002, various art flea markets have been established and operated nationwide; in Seoul, Busan, Changwon, etc. An art flea market is a place where people can purchase and sell creative artwork, such as handicrafts, instead of manufactured goods. It is also a place where artists and citizens communicate through pure art skills in all generations·hierarchy·culture and original idea products, living supplies, experience, etc. Art flea markets are securing their status as a place where people can realize their daily culture·art and are also being utilized as a project for urban reproduction and vitalization in local areas. For the ‘2016 Teen Culture and Art Trend’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e (KCTI) chose expansion of artist communication activity, higher desire for classy art consumption, more low-price unique art fairs, daily enculturation of specialized activities, etc. This shows how much the art flea market is a project that reflects the present era. Existing studies written on art flea markets are mostly about the Hongik University Free Mark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kind of cultural·artistic contribution that needs to be made to the Ulsan region by the ‘Ulsan Art Free Market: Sonmatjangteo.’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Sonmatjangteo’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Ulsan region obtain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Sonmatjangteo' and suggested a method to improve these problems for the development of the market. Prior to the analysis, community art, culture·art space, and governance based projects were set as the theoretical outline. Domestic art flea market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host: artist, citizen, and local government. Each category has significance as artist-centered community art, citizen-centered cultural·artistic space, and local government-centered governance project. These significances appear in a complementary or phased manner inside various correlations, and can be used as analytical data for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of art flea markets. The 'Sonmatjangteo' started off as an activity for artists. Then it established its position as a business project for urban reproduction through history·culture·art. The vision of 'Sonmatjangteo' lies in ‘spontaneous growth.’ For the 'Sonmatjangteo' to develop into a regional spontaneous culture·art project, it needs to develop into a communication space for artists, participating space for local citizens, and cooperative space for local governments. As a detailed method, it needs to induce the active participation of participating artists and increase the sense of belonging. To apply these methods, a way to sustain·maintain the quality of artists and artwork in the 'Sonmatjangteo' is required. Also, planning and promotion in various angles is needed to expand the range of citizen participation. Cooperation with local governments are also needed in order to secure fixed places for the operation of the 'Sonmatjangteo'. An operation method that considers local commercial areas and other interest groups is also needed due to the occupation of public spaces. When the 'Sonmatjangteo' secures its position as an open consultative body for local artists and turns the culture streets and its surroundings into a cultural·artistic space, it will become an independent and spontaneous place for cultural·artistic communication. Art flea markets are not a finished outcome – they are a process. Therefore, instead of being operated through one distinct method, art flea markets need to be operated in a flexible manner and the methods need to chang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 market. Art flea markets provide opportunities for cultural·artistic experience in daily lives and help share experiences for a more abundant life. These improvements can contribute to creating an environment where more people can enjoy the cultural ecosystem. Keywords: Sonmatjangteo, Art Flea Market, Free Market, Community Art, Cultural·Artistic Space, Governance

국 문 요 약 지역사회 아트프리마켓의 발전방안 - 울산 ‘손맛장터’를 중심으로 이보람 2002년에 만들어진 홍대프리마켓을 시작으로 전국적으로 다양한 아트프리마켓이 창설·운영되고 ...

국 문 요 약 지역사회 아트프리마켓의 발전방안 - 울산 ‘손맛장터’를 중심으로 이보람 2002년에 만들어진 홍대프리마켓을 시작으로 전국적으로 다양한 아트프리마켓이 창설·운영되고 있다. 아트프리마켓은 대중과 예술의 문화 장벽을 낮추고, 일상 속 예술을 실현할 수 있는 공간이다. 지역에서는 도시재생 및 도시활성화 사업을 위한 프로젝트로도 활용되고 있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은 ‘2016 문화예술 10대 흐름’으로 예술가의 커뮤니티형 활동 확대, 세련된 예술소비 욕구 증대와 낮은 가격대의 색다른 아트페어 증가, 전문가 놀이의 일상문화화 등을 선정했다. 이는 아트프리마켓이 현 시대성을 반영한 프로젝트임을 잘 보여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트프리마켓이 지역사회의 문화적 불모성을 극복하기 위해 어떠한 문화예술적 기여를 해야하는지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손맛장터를 운영하면서 경험한 울산지역문화의 현실을 바탕으로 ‘손맛장터’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여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 손맛장터 분석에 앞서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공동체 예술, 문화예술공간, 거버넌스 기반 프로젝트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의 아트프리마켓의 문화예술적 의미를 새롭게 정리했다. 예술가, 시민, 지자체 세 차원의 참여 주체를 기준으로 예술가가 중심이 된 공동체 예술로서의 의미, 시민이 중심이 된 문화예술공간으로서의 의미, 지차체가 중심이 된 거버넌스 기반 프로젝트로서의 의미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문화예술적 의미를 활용하여 아트프리마켓의 현 위치와 나아가야할 방향을 분석할 수 있다. 손맛장터는 공동체 예술로 출범하여 시민이 참여하는 문화예술공간으로 확산되었고, 문화의 거리 조성사업을 통해 거버넌스 기반 프로젝트로 변모하며 자리매김했다. 손맛장터의 비전은 ‘자생’에 있다. 손맛장터가 지역의 자생적인 문화예술 프로젝트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예술가와 시민의 소통․참여 공간, 지자체의 협력 공간으로 발전해야한다. 구체적인 방안으로, 손맛장터는 시민과 예술가의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소속감을 높여야 한다. 이를 위해 손맛장터에 참여하는 작가와 작품의 수준을 지속·유지할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시민참여를 확대시킬 수 있는 다양한 각도에서의 기획과 홍보가 요구된다. 그리고 손맛장터의 고정된 운영 장소를 확보하기 위한 지자체와의 협력이 필요하다. 공공재 공간점유로 인한 지역상권, 다른 이해집단을 고려한 운영방식 또한 필요하다. 손맛장터가 지역예술가의 열린 협의체로서 자리잡고, 문화의 거리와 그 주변을 문화예술공간으로 바꿀 때, 손맛장터는 지역사회에서 독자적이고 자생적인 문화예술소통의 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 손맛장터, 아트프리마켓, 프리마켓, 공동체 예술, 문화예술공간, 거버넌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