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거한 고등학교 교과서 '음악과 생활' 비교·분석 : 국악영역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연구는 2014년부터 적용되어 현재 시행되고 있는 2009 개정 고등학교 음악생활 교육과정에 합하여 편찬된 10종의 음악생활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국악영역중심으로, 각 출판사 ...

본 연구는 2014년부터 적용되어 현재 시행되고 있는 2009 개정 고등학교 음악과 생활 교육과정에 합하여 편찬된 10종의 음악과 생활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국악영역중심으로, 각 출판사 별로 어떠한 구성과 특징으로 교과서를 편찬하였는가와 교과서 내에 국악영역의 비중이 얼마나 되는지 분석하고, 국악영역을 장르별, 내용 영역별로 분류·분석 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0종의 음악과 생활 교과서의 출판사는 ‘경기도교육청’, ‘㈜교학사’, ‘㈜금성출판사’, ‘㈜미래엔’, ‘㈜박영사’, ‘㈜아침나라’, ‘㈜음악과생활’, ‘㈜지학사’, ‘㈜천재교육’, ‘현대음악’으로, 10종의 교과서 중 국악을 가장 많이 수록하고 있는 출판사는 ’현대음악‘이고, 가장 적은 수의 국악곡을 수록하고 있는 출판사는 ’㈜미래엔‘이다. 둘째, 10종의 음악과 생활 교과서에 수록되어있는 국악의 장르는 크게 ‘전통음악’과 ‘창작음악’으로 나뉘며, 하위분류로 ‘전통음악’에 ‘궁정음악’, ‘선비음악(정악)’, ‘민속음악’, ‘종교음악’으로 분류하였고, ‘창작음악’은 ‘성악’과 ‘기악’으로 분류하였다. 가장 많이 수록되어 있는 장르는 ‘민속음악’이고, 그 다음으로 수록된 국악장르 비중의 순은 ‘창작음악’, ‘선비음악(정악)’, ‘궁정음악’, ‘종교음악’이다. 셋째, 2009 개정 고등학교 음악과 생활 교육과정에 따른 10종의 음악과 생활 교과서에 수록되어있는 국악의 영역은 교육과정에 의해 분류하였고, ‘감상영역’, ‘가창영역’, ‘기악영역’, ‘창작영역’, ‘신체표현영역’, ‘음악영향영역’, ‘문화적산물영역’ 총 7개의 영역으로 교과서에 수록되어있는 국악의 영역을 구분하였다. 10종의 교과서에 제시되어있는 영역 중 가장 많이 제시된 영역은 ‘감상영역’이며, 그 다음으로는 ‘가창영역’, ‘기악영역’, ‘문화적산물영역’, ‘음악영향영역’, ‘창작영역’, ‘신체표현영역’ 순으로 제시되어있다. 10종의 교과서의 국악영역을 분류하고 분석한 결과를 보면, 교과서 내의 국악 수록 비중 뿐 아니라, 장르와 영역별 분류·분석 결과를 통해 모든 부분에서 큰 편차를 나타내었음을 보아, 교육과정에서는 다양성을 추구하고 있지만, 실제 교과서에 수록되어있는 국악의 수나 국악의 장르와 영역은 한 쪽으로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향후 효과적인 고등학교의 국악교육에 도움이 되고자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로, 출판사별로 국악 수록에 대한 편차를 줄여 어느 출판사의 교과서를 고르든 국악을 접할 수 있는 기회의 수를 일관성 있게 확보해줘야 한다. 둘째로, 가르치는 자나 배우는 이들이 국악에 대한 관심과 국악교육에 대한 흥미로움을 느끼게 하기 위해 수록된 국악의 장르와 영역이 균형적으로 제시되거나, 새로운 영역을 개발하여 다양화를 이루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정체되어있는 국악의 지식이 아닌 점점 더 심화되어 국악에 대한 깊은 지식을 쌓을 수 있도록 학교급별 국악 수준의 차이를 두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고등학교 음악과 생활 교과서를 선택 할 때와 국악교육을 진행하기에 앞서 계획 할 때, 이 연구의 자료가 활용되어 보다 효율적이고 유익한 국악수업의 진행에 도움이 되길 기대하는 바이다.

This research is a compilation of ten types of high school 'music and life' curriculum that was revised in 2009, which was applied in 2014 and is still used today. It is centered around Korean traditional music, that analyzes on how each publisher com...

This research is a compilation of ten types of high school 'music and life' curriculum that was revised in 2009, which was applied in 2014 and is still used today. It is centered around Korean traditional music, that analyzes on how each publisher compiled composition and characterization. the percentag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he curriculum,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genre. Each field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and the results are as shown. First, the ten types of music and life curriculum publishers were "Kyeong-Gi province Educational Office," "Gyohakssa Co.," Geum-Sung Publisher," "Mirae N Co., Ltd," 'Park YoungSa Co.," "AhChim Nara Co.," "Music and Life Co.," "Jihak Publishing Co., Ltd.," "Chunjae Co," and "Modern Music". Out of the ten publishers, the one publisher that contained the most Korean traditional music was "Modern Music,“ and the publisher that contained least was "Mirae N Co., Ltd,." Second, out of ten types of Music and Life Curriculum that included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two biggest genre were 'traditional music' and 'creative music.' Subclassification for 'traditional music' are 'court music,' 'literati music,' 'folk music,' and "religious music.' For 'creative music' it was sub divided into 'vocal music' and 'instrumental music.' The genre that was included the most was 'folk music,' then the percentage in order are followed 'creative music,' 'literati music,' 'court music,' then 'religious music." Third, the ten types of high school music and life curriculum was analyzed according to how much Korean traditional music was contained. 'Impression' 'vocal,' 'instrumental,' 'creativity,' 'body expression,' 'music influence,' 'culture integration,' were the seven fields that were contained in the curriculum and that were classified. From the ten types of curriculum that were presented, the field that contained the most was "impression,' then in order are followed 'vocal,' 'instrumental,' 'culture integration,' 'music influence,' 'creativity,' and 'body expression.' As the ten types of curriculum of Korean traditional music field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not only the percentage of the music included, but from the classification and analyzation of each genre and field, big variation were shown. Therefore, the curriculums were trying be diverse, but in reality it is inclining towards one genre and field. Therefore, for a effective high school korean tradition music education, few suggestions were made. First, each publisher needs to decrease the diversity so that no matter which publisher is chosen, the chance of encountering Korean traditional music needs to be consistent Second, to increase interest to those who are learning about Korean traditional music, genre and field of Korean traditional music needs to balanced, or new fields needs to be developed to increase diversity. Lastly, rather than learning about stagnant Korean traditional music, Korean traditional music that is developing needs to be learned by making sur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tandard of Korean traditional musics at each school level. Rather than being used for practical use, it is hoped that this research will be effective and useful for choosing or planning high school music and life curriculum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