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to fit the migrant workers’ characteristics on the basis of their needs and to enhance the basic communicative competence in their daily lives in society and at work.
Following the...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to fit the migrant workers’ characteristics on the basis of their needs and to enhance the basic communicative competence in their daily lives in society and at work.
Following the economic difficulties of their own respective countries and due to the changes they have seen in the Korean labor market, the number of migrant workers who enter Korea through the EPS (Employment Permit System) have been steadily increasing in the recent years. The migrant workers experience various kinds of difficulties in their daily lives, both outside and inside the workplace. These problems are due mainly to the lack of communicative competence. The insufficient communicative competence can be attributed to the type of Korean learning that does not get accomplished systematically and substantially in their own respective countries. That is,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does not reflect their needs and is not accomplished and harmonized with the real circumstances and the situations which they need to face in Korea. The problem is tha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they had is taught by their teachers in an arbitrary manner. This research aims to show that first of all, a suitabl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that reflects the migrant workers’ needs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ha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will be able to effectively accomplish the specific purposes that will benefit the migrant workers. This type of curriculum that will reflect their needs will result in giving the learners more control of the communication process and enhancing their learning efficiency.
This needs research, based on the migrant workers actual life experiences in Korea is urgent in order for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be substantially accomplished in the countries which are sending workers. On the basis of this needs research, we need to implement the development of a systematic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in order tha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migrant workers’ countries be connected with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Korea. For this purpose, I aimed to develop a dissertation using the results gathered from the migrant workers’ needs research, the research materials an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used in this field of research.
Chapter 1 is devoted to the contents and methodologies and the necessities and purpose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migrant workers. This chapter also examines the previous researches on migrant workers and the Korean education researches related to occupational purposes.
Chapter 2 reviews the theories related to the curriculum and syllabus, the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methods and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in order to establish the direction and scope of the dissertation.
Chapter 3 examines how education is accomplished in the countries of the migrant workers and in Korea, how the migrant workers enter Korea and which occupation they take. This chapter is for making effective education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Chapter 4 performs the needs analysis for establishing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of the migrant workers. It is divided into 3 parts: their daily home life, their work life and their cultural life. In this chapter, migrant workers are asked which one they believe is better to learn first with respect to each communicative situation and function. After that the result is analyzed.
Chapter 5 represents the direction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and sets up its objectives and goals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needs analysis of the previous chapter. This chapter shows the suitable teaching plan to be implemented in the workers` respective countries. This chapter also analyzes their needs after the preliminary migrant workers has been taught the Korean language in their countries.
Chapter 6 summarize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nd reveals the its scope and limitations. It ends with a proposal in view of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igrant workers.
본 연구는 이주노동자들의 요구조사를 토대로 그들이 일상생활과 직장생활에서 기초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특성에 맞는 한국어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이주노동자들의 요구조사를 토대로 그들이 일상생활과 직장생활에서 기초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특성에 맞는 한국어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 노동시장의 변화와 이주노동자 송출국가의 경제적 어려움과 맞물려 최근 고용허가제를 통해 한국에 입국하는 이주노동자의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이주노동자들이 한국의 일상생활과 작업현장 안팎에서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그 중에서 주로 의사소통 능력의 부족으로 많은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의사소통 능력의 문제는 이주노동자의 모국에서 한국어 교수·학습이 체계적이고 실질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데에 있다. 즉 이주노동자들의 한국어 교육과정은 한국의 실정과 이주노동자가 처해 있는 한국의 현실 상황에 맞게 그들의 요구를 반영한 교육과정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그렇지 않고 교사에 의해 임의로 교육과정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데에 문제가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주노동자를 위한 특정 목적의 한국어 교육을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이들의 요구를 반영한 적합한 교육과정의 개발이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이렇게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한 교육과정은 학습자들 스스로 자기 통제와 학습의 능률을 올려 줄 수 있는 효과를 가져 올 것이다.
이에 송출국가에서 실질적인 한국어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현재 한국에 입국해서 생활하고 있는 이주노동자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요구조사가 무엇보다도 절실하다고 하겠다. 이 요구조사를 토대로 해서 송출국가 현지에서의 한국어 교육이 한국에서의 한국어 교육과 연계될 수 있도록 하는 체계적인 한국어 교육과정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한국에 입국해서 생활하고 있는 이주노동자의 요구조사 결과와 이와 관련한 연구 자료, 현지의 한국어 교육 사례 등을 통해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1장에서는 이주노동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밝히고 이 연구의 내용과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이주노동자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와 그밖에 직업 목적의 한국어 교육과 관련한 연구 자료 등을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논의의 방향과 범위를 설정하기 위해 교육과정 개발과 교수요목 설계와 관련된 이론, 의사소통 능력과 학습자 중심 교육과 관련된 이론들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효과적인 교육 내용과 교수 방법 등을 위해 이주노동자들이 얼마나 어떻게 한국에 유입되고 어느 직종에서 얼마나 취업하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교육이 송출국가 현지와 한국에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이주노동자 대상 한국어 교육과정 수립을 위한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크게 일상생활, 직장생활, 문화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의 의사소통 상황 및 기능에 대해 무엇을 먼저 배우는 것이 좋은지를 조사해서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5장에서는 앞장의 요구분석을 바탕으로 이주노동자의 한국어 교육과정의 목표와 목적을 설정하고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한 송출국가 현지의 예비 이주노동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교육을 실시하고 요구조사를 분석한 후 현지 실정에 맞는 교수 방안을 제시하였다.
6장에서는 앞의 연구를 통해 얻은 소중한 결과를 요약하면서 연구의 한계를 밝히고 이주노동자 대상 한국어 교육에 관한 제언을 하면서 마무리 지었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