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생애 중 노년기의 삶을 더 오래 살게 된 사회에서 노화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은 중요한 부분이며, 이는 성공적 노화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기 시작했다. 하지만, 노인 빈곤문제가 심각한...
전 생애 중 노년기의 삶을 더 오래 살게 된 사회에서 노화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은 중요한 부분이며, 이는 성공적 노화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기 시작했다. 하지만, 노인 빈곤문제가 심각한 우리나라에서는 성공적으로 노화함에 있어서 경제적인 요인을 간과할 수 없으며, 가족관계 만족 또한 우리나라의 문화적 특성을 고려할 때 노인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요인으로써 자산과 가족관계 만족에 주목하였다. 이론적 검토를 통하여 소득이 불안정한 노년층에게 있어서 자산이 갖는 의미를 성공적 노화의 하위요인 별로 살펴보았고, 가족관계 만족의 매개적인 역할에 대한 연구가설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해 국민노후보장패널 4차 년도(2011)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55세 이상인 3444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산이 성공적 노화의 하위요인인 신체적 건강상태, 심리적 건강상태, 여가활동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가족관계 만족이 자산과 성공적 노화의 하위요인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은 주요 변수들에 대한 기술통계와 변수 간 상관관계를 확인하였으며, 순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한 가설검증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년기의 자산이 성공적 노화의 하위요인 중 신체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년기의 자산이 성공적 노화의 하위요인 중 심리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년기의 자산이 성공적 노화의 하위요인 중 여가활동 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년기의 자산과 신체적 건강상태 간의 관계에서 가족관계 만족은 매개효과를 가질 것이라는 가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지지되었으며, 가족관계 만족이 완전 매개변인으로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노년기의 자산과 심리적 건강상태 간의 관계에서 가족관계 만족은 매개효과를 가질 것이라는 가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지지되었으며, 가족관계 만족이 부분 매개변인으로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노년기의 자산과 여가활동 만족 간의 관계에서 가족관계 만족은 매개효과를 가질 것이라는 가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지지되었으며, 가족관계 만족이 부분 매개변인으로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노후 준비로 강조되고 있는 자산의 개념을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인 별로 살펴봄으로써 자산의 효과를 경제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측면에서도 의미가 있음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자산형성이 노후준비에 있어 왜 중요한지에 대한 당위성을 다차원적으로 확인했다는 점에 함의를 지닌다.
Positive awareness of aging is important in the society characterized by a longer period of old age in whole life and has led to concerns about successful aging. However, the economic factors cannot be neglected in successful aging in South Korea with...
Positive awareness of aging is important in the society characterized by a longer period of old age in whole life and has led to concerns about successful aging. However, the economic factors cannot be neglected in successful aging in South Korea with a serious issue of poverty in old age an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is becoming an important factor that determines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taking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South Korea into account. This study focused on assets an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s factors affecting successful aging. The meaning of assets for the elderly with unstable income was determined in terms of sub-factors of successful aging on the basis of theoretical review and the hypotheses concerning the mediating roles of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were drawn.
The data from the fourth (2011)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were used to test the hypothe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ssets on such sub-factors of successful aging as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status and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in 3,444 persons aged 55 or older and determine if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had any mediating effect on the association between assets and the sub-factors of successful aging. Descriptive statistics of the principal variables and inter-variable correlation were determined and ord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test the hypotheses.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ssets in old ag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ly affected physical health status among the sub-factors of successful aging. Second, assets in old ag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ly affected psychological health status among the sub-factors of successful aging. Third, assets in old ag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ly affected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among the sub-factors of successful aging. Fourth, the hypothesis that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would have mediating effects on the association between assets in old age and physical health status was supported a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with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serving as a complete mediator. Fifth, the hypothesis that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would have mediating effects on the association between assets in old age and psychological health status was supported a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with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serving as a partial mediator. Sixth, the hypothesis that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would have mediating effects on the association between assets in old age and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was supported a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with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serving as a partial mediato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examined the concept of assets emphasized in preparation for old age in terms of the constructs of successful aging and confirmed that the effects of assets are significant in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respects as well as in the economic one. It has also confirmed the importance of assets formation in preparation for old age at multiple levels.
,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