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 문 초 록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배제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우리나라의 국제결혼이주여성은 한국에 거주하면서 부모와 가족에게 경제적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
국 문 초 록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배제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우리나라의 국제결혼이주여성은 한국에 거주하면서 부모와 가족에게 경제적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과 결혼을 통해 한국에서 새로운 삶의 기회를 찾으려는 욕구로 인해 지속적으로 증가 하고 있다. 그러나 문화적 이질성으로 인하여 사회적 다수에 의해 차별적 대우와 인권침해를 받으며 한국 생활에 위협을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충청북도 다문화지원센터(청주시, 증평군, 진천군, 단양군)의 협조를 통해 국제결혼이주여성 중, 중국, 베트남 출신의 204명을 대상으로 사회적․문화적․정치적․경제적 차원의 사회적 배제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으로는 첫째, 국제결혼이주여성의 한국에서의 생활 실태를 파악하고, 또한 사회적 배제 및 생활만족도의 수준(정도)을 알아보고자 한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생활 실태에 따른 사회적 배제, 생활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셋째,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배제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방법으로는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국제결혼이주여성 생활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주요변수의 수준(정도)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국제결혼이주여성 생활 실태에 따른 사회적배제, 생활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와 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셋째,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배제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통계분석 결과, “관계적 배제”(평균 1.76), “문화적 배제”(평균 3.39), “사회적 참여 배제”(평균 4.14), “지역사회 배제”(평균 2.35), “기본 서비스 배제”(평균 1.99), “경제적 배제”(평균 2.46), “생활만족도”(평균 3.28)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배제, 생활만족도의 차이 분석결과 거주 지역에 따른 생활만족도(t=2.631, p<.05)의 차이가 유의미하였다. 국제결혼이주여성의 나이에 따른 관계적 배제(F=2.876, p<.05), 지역사회 배제(F=7.077, p<.05), 기본서비스 배제(F=9.405, p<.05), 생활만족도(F=6.526, p<.05)의 차이가 유의미하였다.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직업에 따른 경제적 배제(F=2.321, p<.05)의 차이가 유의미하였다. 남편의 직업에 따른 관계적 배제(F=2.966, p<.05), 문화적 배제(F=3.441, p<.05), 경제적 배제(F=3.794, p<.05), 생활만족도(F=16.941, p<.05)의 차이가 유의미하였다. 국제결혼이주여성의 학력에 따른 생활만족도(F=9.698, p<.05)의 차이가 유의미하였다. 남편의 학력에 따른 경제적 배제(F=4.523, p<.05), 생활만족도(F=4.946, p<.05)의 차이가 유의미 하였다. 결혼 전 국적에 따른 지역사회 배제(t=-5.164, p<.05), 기본서비스 배제(t=-5.361, p<.05), 생활만족도(t=3.087, p<.05)의 차이가 유의미하였다. 거주기간에 따른 문화적 배제(F=2.239, p<.05), 지역사회 배제(F=2.719, p<.05), 경제적 배제(F=3.030, p<.05)의 차이가 유의미하였다. 한국국적 취득 여부에 따른 기본서비스 배제(t=2.820, p<.05), 생활만족도(t=-2.141, p<.05)의 차이가 유의미하였다. 도움을 청할 사람의 유무에 따른 관계적 배제(t=2.768, p<.05), 문화적 배제(t=2.066, p<.05), 지역사회 배제(t=2.438, p<.05), 기본서비스 배제(t=2.617, p<.05), 경제적 배제(t=1.973, p<.05), 생활만족도(t=-5.427, p<.05)의 차이가 유의미하였다.
셋째, 상관관계분석결과, 생활만족도와 유의미한 변수로는 거주 지역(r=-.183), 나의 나이(r=.147), 나의 학력(r=.299), 남편의 학력(r=.218), 결혼 전 국적(r=-.213), 국적취득 여부(r=.150), 한국어 실력(r=.223), 도움 청할 사람의 유무(r=.287), 관계적 배제 (r=-.213), 문화적 배제(r=-.302), 지역사회배제(r=-.272), 기본서비스배제(r=-.227), 경제적 배제(r=-.403)로 나타났다.
넷째, 중다회귀분석결과, 인구사회학적특성에서는 거주지역(β=-.139), 나의 학력(β=.178), 생활실태에서는 한국국적취득여부(β=.142), 도움을 청할 사람유무(β=.194), 사회적 배제에서는 문화적 배제(β=-.165), 지역사회 배제(β=-.231), 경제적 배제(β=-.257)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근거로 다음과 같이 제언을 제시하였다.
첫째, 지방자치단체와 연계하여 각종 문화행사 및 국제결혼이주여성들의 가족과 그 주변인들에 대한 문화적응 프로그램 필요하다. 둘째, 사회복지 기관 및 다문화센터를 거점으로 지역사회 네트워킹을 구축하여 이중언어서비스체계 및 맞춤형 프로그램 등을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공공근로에 관여하여, 경제적 자립을 할 수 있는 직업교육, 취업알선 등 경제적인 욕구를 해소해 줄 수 있는 적극적인 정책이 필요하다. 넷째, 국제결혼이주여성이 귀화를 할 수 있도록 규정을 완화해야 하며, 일정 기간 동안 다문화센터 및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국제결혼이주여성이 한국국적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 및 체험 학습 프로그램을 강화해야할 것이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