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recent years, the aging population has caused retirement age to increase. In response to the slowing economic growth, diversification of employment forms has emphasized labor flexibility and self development. With this, convergence of ideas and exp...
In recent years, the aging population has caused retirement age to increase. In response to the slowing economic growth, diversification of employment forms has emphasized labor flexibility and self development. With this, convergence of ideas and experience has become an asset, or resources, in cultural arts.
The area of cultural arts have come to include self accomplishment, internal motivation, and entrepreneurship amongst others that focus on thinking outside of the box and striving towards innovation. However, the existing structure of cultural art institutions weaken labor forces and negatively influence individuals.
Workers should focus especially on internal and external opportunities for career development, but overlook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with standardized resources and ignorance has made career routes to create career development opportunities more difficult.
This study begins with the recognition of this issue regarding workforce in the cultural arts, specifically on individual’s desire for career development through one’s human and social resources. Then, to analyze with the results on its effects on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In this study, the development of virtuous cycles of labor systems and the appropriateness of long term career developmen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different ages.
The research focused on ages between 20 and 49 who are likely young and middle aged workers that are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from education to career development and developing their job specialities. The ages between 50 and over 65 were classified as elderly workers who are facing retirement. The two age groups were selected to analyz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age groups.
Data was derived from the 「Job perception of cultural arts workers」 published on September Twentieth, by the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e, an affiliation of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then analyzed with a new sample chosen by the researcher.
A sample of 1,843 workers were chosen from 16 cities and its cultural arts facilities and organizations (museums, art galleries, cultural centers, libraries, and cultural arts organizations) throughout the nation. To analyze the data, SPSS 21.0 and AMOS 21.0 was used to acquire the following results.
First, human capital develop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both the perceptions on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Also, perceptions on professionalism has a mediator effect on human capital development and job satisfaction.
Second, social capital develop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both the perceptions on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Perceptions on professionalism also has a mediator effect on social capital development and job satisfaction.
Third, young and middle aged workers had a higher job satisfaction with human capital development, while the elderly workers preferred social capital development affecting professionalism than the young and middle aged workers.
Also, the perception on professionalism causing higher job satisfaction was also higher for the elderly workers, which showed that elderly workers perceive professionalism more and feel stronger satisfaction with the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To summarize, by analyzing human and social capital development of cultural arts workers by age groups and furthering the discussion with perceptions on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has provided in-depth theoretical and realistic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study.
고령화로 인간 노동주기가 길어지고 있다. 경제 성장 둔화에 따른 대안으로 고용 형태 다양화는 노동 유연성과 자발적 개인의 개발 노력을 중시한다. 이제는 인간의 아이디어와 경험을 융·...
고령화로 인간 노동주기가 길어지고 있다. 경제 성장 둔화에 따른 대안으로 고용 형태 다양화는 노동 유연성과 자발적 개인의 개발 노력을 중시한다. 이제는 인간의 아이디어와 경험을 융·복합의 창조 가치 자원으로 바라보고 있으며, 자원의 동력을 문화예술로 인지하고 있다.
문화예술 분야는 자아성취, 내적 동기, 기업가 정신 등 독자성이 갖춰져 있고 고정된 틀에서 벗어나 혁신을 선호하는 특성이 있다. 그러나 기존의 경직된 문화예술기관 구조는 인력의 근로 기반을 열악하게 만들어 인력 개인의 부정적 근로 인식을 초래한다.
특히 인력은 조직 내·외부에서 경력 개발 기회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하지만 인력 특성을 간과한 조직의 획일적 지원과 무관심으로 입직 후 경력 경로를 형성하는 문화예술 인력의 자발적 경력 개발이 어렵다.
이러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하는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 인력을 대상으로 인력 개인이 가진 인적, 사회적 자본을 토대로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경력 개발 욕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직업의 전문적 가치를 인지하고 직무 만족감을 높이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특히 종단 차원에서 전(全) 생애단계별 선순환 노동체계 구축과 장기적 경력 개발 당위성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교육-일 전환단계에서 노동시장에 진입하여 자신의 전문분야를 찾아 발전하는 단계인 20세-49세 사이의 청·중년층과 은퇴를 앞둔 50세-65세 이상 장년층 인력을 구분하여 연령층 간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자료 수집은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연구기관인 한국문화관광연구원에서 2012년 9월 20일 발행한 가치와 전망 정책 연구 리포트 「문화기관 근무자의 직무인식 조사」의 원 데이터 표본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직접 표본 추출 후 가공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전국 16개 광역시의 문화시설 및 단체(박물관, 미술관, 문화원, 도서관, 문화예술회관, 문화의 집, 문화예술단체)에 소속된 종사 인력 1,843개 표본을 수집하였으며, 분석 방법은 SPSS 21.0과 AMOS 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알 수 있었다.
첫째, 인적 자본 개발은 전문직업성 인식과 직무 만족에 모두 정(/)의 유의한 영향을 가지며, 전문직업성 인식은 인적 자본 개발과 직무 만족 관계에서 매개 효과가 있다.
둘째, 사회적 자본 개발은 전문직업성 인식과 직무 만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가지며, 전문직업성 인식은 사회적 자본 개발과 직무 만족에 매개 효과가 있다.
셋째, 청·중년 집단이 장년 집단보다 상대적으로 인적 자본 개발에 따른 직무 만족도가 높고, 장년 집단은 사회적 자본 개발을 토대로 전문직업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이 청년 집단에 비해 높다.
또한, 전문직업성 인식을 거쳐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역시 장년 집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전문직업성 인식이 높은 장년 집단일수록 직무 만족을 더욱 강하게 느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문화예술 연령층별 인적 자본 개발, 사회적 자본 개발, 전문직업성 인식, 직무 만족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함의하는 결과에 따르는 이론·실무적 시사점과 제언을 하였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