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 고등학교 기계과 교사의 생애사를 통해 그들의 교사로서 주요한 경험을 반추해 보고 이를 통해 형성된 직업정체 성이 사회적 맥락 속에서 어떻게 변화되었으며, 정... 본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 고등학교 기계과 교사의 생애사를 통해 그들의 교사로서 주요한 경험을 반추해 보고 이를 통해 형성된 직업정체 성이 사회적 맥락 속에서 어떻게 변화되었으며,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쳤던 개인적, 사회적 요인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공업계 고등학교 기계과 교사로서 겪은 주요한 경험은 무엇인가? 둘째, 공업계 고등학교 기계과 교사는 어떤 직업정체성을 형성하였는가? 셋째, 직업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친 개인적, 사회적 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참여자로 공업계 고등학교 기계과 경력교사 2인을 선정하였고 그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심층면담을 통해 얻은 자료를 6단계에 거쳐 분석하였고, 분석 과정에서 연구자의 관찰, 메모, 연구참여자의 교원인사기록카드, 각종 수상기록, 언론기사 등을 보조 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이 기계과 교사로서의 겪은 주요한 경험은 6가지로 나타났다. ①입직 초기 정밀가공기능사 양성을 위해 노력했던 경험, ②기능반 지도교사로서의 경험, ③새로운 산업분야를 도입함으로써 공고 교육의 혁신을 가져왔던 경험, ④새로운 분야에 대해 끊임없이 학습하고 동료 교사와 나누고자 했던 경험, ⑤공업계 고등학교 위상의 급격한 변화에 대한 경험, ⑥실습장을 유지 관리하고 학생들의 안전사고 예방에 노력했던 경험 등이다. 이러한 교육적 경험을 통해 연구참여자들은 기계과 교사로서의 직업정체성을 형성하고 있었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에게 나타난 정체성 형성을 살펴보면 ①교사의 직업정체성을 주체적으로 구성하지 못하고 주변 환경과 상황에 휩쓸려 다니는 정체성 표류 단계 ②주체적으로 학습하고 능력을 축적하고 발휘하는 정체성 안정 단계 ③교사의 역할에 대해 돌아보고 정체성을 재설정 하는 정체성 전환 단계 ④승진을 위하여 기계과 교사로서 정체성을 유보하고 있는 정체성 유보 단계 ⑤승진 좌절 이후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식을 나누고 공유하며 교육의 본질을 추구하는 정체성 승화 단계 ⑥ 교사됨의 참 의미를 알고 자신에게 주어진 교사로서의 삶을 통합하는 정체성 통합 단계 등 6가지 과정을 거치면서 각 단계별로 자신의 정체 성을 형성하고 강화, 변화시키고 있었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의 직업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친 개인적, 사회적 요인을 살펴보면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친 개인적 요인으로 입직 초기의 긍정적-부정적 경험, 개인의 호기심과 배려와 같은 개인의 성향, 교직생활 중에 이룬 성공경험, 동료와 학생간의 인간관계, 삶의 방향을 바꾼 결정적 만남 등이었다. 연구참여자의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친 사회적 요인으로는 직업교육과 공업계 고등학교에 대한 정부의 정책, 공고 학생수준의 변화, 학교별 상이한 학교문화이다. 본 연구의 연구참여자들은 40년 가까이 공업계 고등학교 교사로 근무 하면서 최선을 다해 학생을 교육하고, 학교와 교육발전을 위해 노력하였 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연구참여자들의 삶을 표현하는 핵심 단어는 교육과 학생에 대한‘헌신’이다. 두 연구참여자 가지고 있는 개인적 배경, 관심분야, 삶의 결은 다소 다르지만 일관된 가치가 있었다. 그것은 교육적 행위에 있어서 그 목적을 항상 학생의 성장과 행복에 두었다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학생이 있기에 교사가 있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 연구참여자가 행한 교육적 행위는 학생의 성장과 행복을 위해서 이루어졌다. 연구참여자의 사례를 통하여 공업계 고등학교 교육에 대해 얻을 수있는 시사점은 지금까지 산업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취업률, 자격증 취득률 등과 같은 외재적 가치에 지나치게 경도되었던 공업계 고등학교의 정체성과 존재 이유를 이제는 공업계 고등학교 교육 자체에 녹아있는 내재적 가치에서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공업계 고등학교 교사의 삶에 대한 이해를 더하고 공고 교사 스스로 자신의 교직과 정체성을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 며, 공업계 고등학교 교육의 본질을 찾는 계기가 되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