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인의 많은 사고와 언어 행위가 대중 매체, 그 중에서도 TV를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10대 남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매체 이용률을 조사한 여러 기관의 조사결과를 보면 많은 청... 현대인의 많은 사고와 언어 행위가 대중 매체, 그 중에서도 TV를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10대 남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매체 이용률을 조사한 여러 기관의 조사결과를 보면 많은 청소년들이 여가 활용으로 TV 시청을 하면서 시간을 보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쇼․오락 프로그램을 선호하고 있는데, 영상 세대인 학생들은 방송 매체나 인터넷 매체를 문자 텍스트보다 훨씬 능동적이고, 흥미롭게 받아들이고 있으며 부지불식간에 매체에서 사용하는 언어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 학생들이 주로 시청하는 예능 프로그램에는 시청자를 확보하려는 방송사 간의 경쟁으로 인하여 자막에 바람직하지 않은 요소가 많이 드러나며, 의도적인 활용까지 하여 그 오용이 심화되고 있다. 게다가 최근에는 인터넷상에서의 언어 왜곡이 그대로 방송 자막에까지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학생들은 텔레비전 방송 자막 오류를 그대로 받아들여 일상 생활이나 쓰기에 그대로 이용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심각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매체 언어 교육의 개념을 정리하고, 제7차 교육과정에 나타난 매체 언어교육과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매체 언어교육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현행 맞춤법 교육의 문제점을 밝히고, 방송 매체 자막 활용의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았다. 또한, 방송 자막 오류의 유형 실태를 분석하고, 방송 자막 오류가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아 올바른 언어 교육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그리고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국어 맞춤법 수업에서 방송 매체의 자막을 활용한 맞춤법 교수-학습을 하였을 때, 학습자의 문법 학습 능력과 문법 학습에 대한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학습자의 반응과 수업 관찰을 통해 교육적인 효과 및 교육 현장에서의 적용 방안을 살펴보았다. 실험 연구를 통해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TV 방송 매체를 활용한 국어 맞춤법 수업이 학습자들의 맞춤법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TV 방송 매체를 활용하여 문법 수업을 실시한 실험 집단이나 전통적인 방법으로 문법 수업을 실시한 통제 집단이 모두 맞춤법 능력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실험 집단은 실험 수업 이후 평균 10.14의 유의미한 향상(t=-3.837, p<.001)을 보였고, 통제 집단은 평균이 4.29정도 향상되었으나 향상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이는 TV 방송 매체를 활용한 문법 수업이 학습자들의 문법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둘째, TV 방송 매체를 활용한 국어 맞춤법 수업이 국어 맞춤법 학습 및 국어 문법의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실시한 설문 결과를 살펴보면, 실험 집단에서 전체적으로 정의적 측면에 유의미한 변화(t=-2.367, p<.05)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실험 집단 국어 문법의 동기유발에서 유의미한 변화(t=-2.421, p<.05)를 볼 수 있었는데, 평소에 국어 맞춤법에 대해 큰 관심을 갖지 않았던 학생들이 실험 이후 문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맞춤법 학습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여 국어를 학습할 때 맞춤법을 알면 국어 전반적인 것을 이해하는 데 더 효과적이라고 생각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는 방송 매체를 활용하여 문법 수업을 한 실험 집단 학생들이 전통적인 방법으로 문법 수업을 한 통제 집단의 학습들에 비해 정의적 측면에서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변화를 보여 국어 맞춤법 학습에 대해 더 흥미를 갖게 되고 국어 문법 학습에 대한 자신감이 신장되었고, 국어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도 증가했음을 나타낸다. 셋째, TV 방송 매체를 활용한 국어 맞춤법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 집단을 대상으로 객관식 문항과 주관식 문항으로 구성된 사후 심화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보면, 객관식 10개 문항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826으로 매우 높은 신뢰도를 나타내어 각 문항간의 내적 일치도가 높음을 알 수 있어 학습자들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학습자들은 수업에 방송 매체를 활용함으로써 맞춤법 수업에 대해 흥미를 가질 수 있었으며 맞춤법을 이해하는 데 매우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하였고, TV 방송 매체를 활용한 맞춤법 수업 이후 국어 문법에 대한 관심도가 더욱 높아졌다는 의견을 보여, 앞으로도 계속 다양한 매체가 수업 시간에 활용되기를 원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실험 집단에 대한 연구자의 관찰일지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 학생들은 수업에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맞춤법 학습에 대한 동기가 유발되었으나, 통제 집단 학생들은 대체로 수업을 지루해하거나 흥미를 갖지 못하여 맞춤법 학습에 대한 동기유발이 되지 않았으며 문법 설명을 어려워하여 수업참여도가 낮았다. 따라서 학생들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문법 학습이 재미있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문법 자체의 설명뿐만 아니라 다양하고 재미있는 자료 및 활동이 병행되어 학생들이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V 방송 매체를 활용한 국어 맞춤법 수업에 대해 지금까지 논의한 실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어 문법 교육 현장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TV 방송 매체를 활용한 국어 맞춤법 수업이 학습 효과를 향상시키고, 국어 문법 학습 및 정의적 측면 변화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 만큼, 좀더 적극적인 매체 언어 교수․수업이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매체를 활용한 교수․학습에서 다양하고 창의적인 활동들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무리 좋은 매체나 내용을 선택해도 반복되면 학습자들이 수업에 대해 흥미를 잃게 되고 학습 효과가 감소하기 쉽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TV 방송 매체를 활용한 수업을 국어 맞춤법 이외의 다양한 문법 교수․학습에 활용한다면 맞춤법 수업에서처럼 학습 효과뿐만 아니라 정의적인 부분에까지 유의미한 효과를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