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니메이션은 새로운 미디어와 유기적 결합을 위해 부단한 노력을 보이는 예술문화의 한 장르이다. 애니메이션의 탄생 이래로 각국의 애니메이션 교류는 빈번해졌다. 중국 애니메이션도 세...
애니메이션은 새로운 미디어와 유기적 결합을 위해 부단한 노력을 보이는 예술문화의 한 장르이다. 애니메이션의 탄생 이래로 각국의 애니메이션 교류는 빈번해졌다. 중국 애니메이션도 세계 애니메이션의 한 부분으로서 눈부신 빛을 발한다. 중국의 첫 번째 장편 애니메이션<철선공주(铁扇公主)>(1941년)는 국내외에 큰 영향을 끼쳤을 뿐만 아니라,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일본 등으로 수출되었다. 이는 중국 애니메이션 최초로 세계에 수출된 작품이다. 그 후로 중국 애니메이션은 종종 국제적으로 상을 받았다. 이는 중국 애니메이션을 자연스럽게 세계의 궤도에 올렸다. 이로써 세계인의 주목을 받게 되었고, 명성 또한 높아졌다. 그때부터 중국애니메이션은 세계 애니메이션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독특한 매력을 발산했다. 하지만, 현재 중국 애니메이션은 침체기에 빠져있다. 우리 주변의 생활용품 디자인 중 가장 인기 있는 것들은 대부분 가필드, 스누피 등 외국 캐릭터이다. 중국 애니메이션 발전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중국 애니메이션에 대해 많은 희망과 기대를 가지고 있다. 중국 정부도 애니메이션의 발전을 적극적으로 장려하고 있고, 중국 작가들도 애니메이션 발전을 위해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아직은 그 발전 정도가 미미하여 국민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현재 중국애니메이션은 큰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어떻게 국내 시장을 되찾고, 21세기 어떤 발전을 이룩해 세계로 나아갈지는 애니메이션 작업을 하는 사람들이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중국 애니메이션의 발전 속도가 더딘 원인은 무엇인가? 중국 애니메이션 발전에 적합한 방법이 무엇일지 깊이 생각해 봐야 할 것이다.
오래 전부터 애니메이션 캐릭터 창조상의, 민족화 특색을 언급하면, 많은 사람들이 이를 낡고, 시대 발전상황에도 맞지 않다고 여겼다. 이런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은 뚜렷한 한계성을 가지고 있지만, 이런 인식이 현재 애니메이션 창작영역에서는 매우 보편적이다. 20세기 50년대부터 중국은 전통예술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를 진행했다. 예를 들면, 절지(绝纸/剪纸),새해 그림(年画), 자수(刺绣), 그림자 극(皮影戏) 등의 민족특색을 지닌 예술품을 특히 중시했다. 연구의 사고 방향이 조형언어 쪽으로 파고들었지만, 이런 심미적 요소들을 우리 일상생활로 가져온 작품은 많지 않다. 애니메이션을 예로 들자면, 20세기 60년대 이래로 수묵화, 절지,꼭두각시, 그림자 극 등을 참고로 만들었던 애니메이션은 모두 우수했지만 이것이 계속 이어져 나가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것을 창조하지도 않았다. 그래서 오늘날 민족문화 속에서 애니메이션 캐릭터를 찾아야 한다고 하는 말에 더욱 현실적인 의미가 있다. 많은 조사 연구를 통해서, 우리는 민족문화예술이 강한 심미적 의미를 갖는다는 것을 차차 알게 되었다. 그 잠재력은 거대하다. 중국 민족예술 조형언어는 매우 풍부하다. 하지만 어떻게 애니메이션 캐릭터로 전환할 것인지, 전통적인 문화를 어떻게 현대인의 심미적 요구에 맞는 애니메이션으로 전환할 것인지에 대한 연구가 아직 부족하다.
이 연구는 중국 애니메이션의 다양한 장르에 따른 중국 애니메이션의 유형도 작품 분석을 통하여, 작품에서 나타내는 중국 풍격 요소를 설명했는데, 중국 애니메이션의 현황과 문화특징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중국 애니메이션의 캐릭터 창출과 콘텐츠기획에 대해 분석하였다. 각 장을 요약하면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Ⅰ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필요성을 ‘중국 애니메이션의 풍격과 표현기법 및 시장개발’에 대한 필요하다는 현실을 거론하면서 문제를 제기하였다. 연구의 목적인 ‘중국 애니메이션의 민족적 풍격과 캐릭터의 창출’규명을 중국 민족적 풍격을 갖는 애니메이션 작품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해결하겠다고 명시하였다.
제Ⅱ장 ‘중국 애니메이션의 태동과 배경적 상황’에서는 중국 애니메이션의 전개를 통해서 현재 중국 애니메이션은 민족적 풍격이 부족한 실정을 알게 되었다. 풍격은 문예작품이 나타내고자 하는 주요한 사상과 예술적 특징인데, 풍격의 완성은 하나의 예술이 완성되어 가는 표지라고 요약할 수 있다. 동시에 중국 애니메이션의 발전에 관련한 중국 애니메이션의 마케팅문제와 방법론 등을 제시하였다.
제Ⅲ장 ‘20세기 중국 애니메이션의 풍격과 문화특징’에서는 중국 애니메이션 풍격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살펴보았는데, 그 요소들은 중국 민족적 표현방법과 중국 전통예술의 미학사상을 다루었다. 예건데 가장 중국 풍격을 갖는 수묵 애니메이션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그것의 제작기법을 제시하였고, 수묵 애니메이션은 중국화의 ‘비슷한 것 같으면서도 다르다’라는 미학의 깊은 경지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절지, 인형, 접지 애니메이션은 다른 나라도 있지만 중국은 20세기 50년대 중후기에 ‘민족적 풍격을 찾아서’라는 구호아래에서 전통적 예술언어를 중시하였고, 선명한 민족적 풍격을 밝혔다.
중국 애니메이션의 문화특징에서는 중국 애니메이션의 교육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중국 애니메이션은 ‘교육’의미가 과도하게 강조되었는데, 주제 선행의 창작은 오락성을 상실시켜 대중을 잃게 만들었다고 요약할 수 있다. 교육성이 애니메이션 자체와 대체로 큰 모순은 없지만, 시급한 산업화 발전이 요청되는 중국 애니메이션과는 어느 정도의 모순이 존재한다.
여기서 논하는 중국 애니메이션의 교육성은 산업화의 각도에서 교육성을 판단하는 것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중국 애니메이션의 역사와 미학의 각도에서 교육성의 출현과 발전, 그리고 그 것과 사상성의 차이 등을 논하고자 하며, 또 미학 방면에서 방법을 찾아보았다.
제Ⅳ장 ‘중국 애니메이션의 캐릭터와 콘텐츠 기획에 관한 분석’에서는 중국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창출에 대해 분석하였다. ‘캐릭터(character)’는 영어에서 ‘문자’의 뜻을 갖고 있기도 하지만 외래어 ‘캐릭터’로 정착되었고 등장인물, 성격, 창조 등으로 다양하게 쓰인다. 오늘날 중국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창작을 말하자면 중국 민족 문화예술 속에서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필요한 요소들을 찾아야 한다고 요약할 수 있다.
또한, ‘애니메이션 시장의 확장과 다변화’에서는 중국 애니메이션의 체제와 교육 및 이론연구 등 방면을 고찰을 통하여 중국 애니메이션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기해보았다.
결론적으로 애니메이션은 세계적인 새로운 미디어와 유기적 결합을 위해 부단한 노력을 보이는 예술문화의 한 장르이고, 심미와 오락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중국 정부도 크게 장려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중국 애니메이션은 분명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될 것으로 확신한다.
여유로운 시장 경제 상황이 애니메이션 재창작에 더 많은 자금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애니메이션 창작을 더욱 발전시킬 수 있다. 또한 안정된 시장경제의 운영은 애니메이션에 민족문화 특색을 자리매김 시키고, 그 영향을 확대시킬 수 있는 중요한 부분이다. 우리의 민족문화 속에서 애니메이션 자원을 개발하는 동시에 양호한 애니메이션 교육 체계와 시장운영 시스템의 힘을 빌리면, 중국 애니메이션은 멀지 않은 미래에 반드시 아름답고 희망찬 내일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