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國 漢字語 慣用表現의 類型 硏究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연구는 한국 한자어 관용표현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로, 그 동안 한국어 관용 표현에 대한 연구가 한국 고유어 관용표현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데 대한 반성과 함께 그 여백을 채우는 작업...

본 연구는 한국 한자어 관용표현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로, 그 동안 한국어 관용 표현에 대한 연구가 한국 고유어 관용표현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데 대한 반성과 함께 그 여백을 채우는 작업이다. 한국 한자어 관용표현은 고대에 중국 한자와 한문이 한국어에 차용됨에 따라 한국어 어휘체계 속에 형성되기 시작하였고, 그 역사가 깊고 종류가 다양하며 사용 범위도 넓다. 이러한 한국 한자어 관용표현은 형태, 통사, 의미적 측면에서 고유어나 기타 외래어의 관용표현과는 차별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 한자어 관용표현을 따로 분류하고 그 구조 방식의 내부에서 구성 요소의 특성에 따라 형태, 통사, 의미적 구문 기능, 의미 관계를 고찰하였다. 또한 한국어 어휘 체계의 허용된 범위 내에서 한국 한자어 관용표현에 맞는 개념과 범주를 설정하고 분류 기준과 연구 방법을 제시하고 구조 유형과 의미 특징을 밝혔다. 본고에서 논의된 내용을 장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2장에서는 한국 한자어 관용표현에 대해 본격적으로 살펴보기에 앞서 먼저 한국 한자어의 특성과 구성을 파악한 후 그것의 기원과 조어 방식에 따른 양상을 살펴보았다. 현재 한국어의 절반 이상이 한자어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한자어는 중국어를 차용한 것이기는 하지만 오랜 역사 속에서 한국어 언어 체계의 수요와 선택에 의해 보완, 변화해 왔다. 이러한 한자어는 한국어의 일부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한국 한자어는 옛날 고대 중국에서 차용된 한자어와 많이 달라졌을 뿐만 아니라 현대 중국어와도 차이가 많이 나는 한국식 한자어이다. 그리고 한자어는 고유어와 결합함으로써 한국어 어휘를 풍부하게 하였다.
한국 한자어는 그 결합 성분에 따라 순한자어와 혼용한자어로 나눌 수 있다. 순한자어는 한자어끼리 결합된 것이고, 혼용한자어는 한자어가 고유어와 결합된 경우이다. 또한 그 기원에 따라서 중국어 기원 한자어, 일본어 차용 한자어, 한국어 자성 한자어로 나눌 수 있다. 조어방식에 따라서는 단일어와 합성어로 나눌 수 있다.
제3장에서는 먼저 한자어 관용표현의 개념과 범위를 설정하였다. 한국 한자어 관용표현은 韓國語 母國語 話者들이 의사소통에서 한자어와 고유어의 二重 言語生活을 하면서 慣習的으로 사용되는 心理的 共感을 일으키는 말로, 오랜 세월에 걸쳐 언중들의 의사소통에서 選別과 加減 또는 試鍊을 통해서 점점 고정되고 정형화된 언어표현이다. 한국 한자어 관용표현은 그 구성요소가 순한자어로 이루어지거나 한자어와 고유어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형식적인 정형성과 필연적인 호응 관계를 보이면서 생동감 있고, 함축적인 특징으로 널리 쓰인 것이다.
제4장에서는 韓國 漢字慣用表現을 類槪念으로 설정하고 그것의 형태적 정형성과 의미적 특수성에 따라 하위 분류로 純漢字慣用表現과 漢字語 混用 慣用表現으로 나눴다. 純漢字語 慣用表現의 類型에는 크게 借用 漢字成語와 飜譯 慣用語句 또는 活用 慣用語句의 세 가지가 있다.
먼저 借用 漢字成語는 주로 고대 중국의 漢字와 古書를 매개로 한국어에 傳來된 故事成語를 비롯한 한자성어들이다. 이것은 다시 傳來 故事成語와 變異 慣用語句로 나뉜다. 전래 고사성어는 예나 지금이나 형태와 의미 변화 없이 사용되는 것이다. 變異 慣用語句는 다시 구성요소의 형태 변화에 따라 交替, 倒置 또는 縮約으로 나뉜다. 변화 양상에 따라 한자어 관용어구의 통사적 구조 방식이 달라지고 의미 변화도 일어난다. 경우에 따라 변화 없는 것도 있다.
둘째, 飜譯 慣用語句는 주로 韓國 俗談을 한자로 옮겨 번역한 순한자어 四字成語와 관용어구인데, 이는 한국 한자어 관용표현의 特有한 樣相이다. 이는 다시 同等 意味의 借用과 類似 意味의 改造 또는 韓國 俗談대로의 飜譯으로 나뉜다. 이 중에 특히 韓國 俗談대로의 飜譯 유형은 한국 한자어 관용표현에만 존재하고 있고 중국어 관용표현에 없는 特有한 유형이다.
셋째, 活用 慣用語句는 한자와 한문을 오랫동안 사용하면서 한국 사람들의 認知와 이해 또는 필요에 따라 생성된 한자어 관용표현이다. 이는 다시 再構와 新義 賦與, 新造, 數字의 活用으로 나뉜다. 이 유형의 한자어 관용어구는새로 만든 活用 慣用語句이다. 이런 活用 한자어 관용어구의 형태는 한자어로 구성되어 있지만 사실은 내용과 의미는 다 韓國的이다.
漢字語 混用 慣用表現의 유형에는 混用 慣用語句와 同義 重疊語句, 固定 結合語句가 있다. 형태적으로 구성요소가 한자어와 고유어 또는 외래어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일정한 공기 관계 또는 제약 관계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구성요소의 결합도가 특별히 긴밀하여 다른 것으로 대체할 수 없는 것이 특징이다. 의미적으로 살펴보면 混用 慣用語句는 二重 意味構造를 가지고 있고 구성요소의 축자 의미에서 전체 의미를 파악할 수 없는 제3의 새로운 의미를 가지고 있다. 同義 重疊語句는 구성요소가 동의 또는 유의의 것으로 이루어지고 결합이 긴밀하여 임의로 다른 요소와 바뀔 수 없으며 의미의 투명성을 가진다. 固定 結合語句는 구성 요소 간에 필연적인 호응관계와 제약적인 공기관계가 요구되고 구성요소의 축자 의미에서 전체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의미의 투명성이 특징이다.
혼용 관용구는 통사적으로 주술, 수식, 술목, 병렬 구조 등의 구조 유형이 있고, 결합 양상은 ‘고유어/한자어’, ‘한자어/고유어’와 ‘한자어/외래어’, ‘외래어/한자어’ 등이 있다.
제5장에서는 한국 한자어 관용표현을 의미적 관계에 따라 분류하였는데, 먼저 의미 변화가 확대되거나 축소된 것이 있다. 또한 의미의 비유와 연상,전이와 파생 또는 의미의 동의와 중첩, 의미의 二重性과 認知性으로 나눌 수 있다. 漢字語 慣用表現은 의미구조의 이중성, 즉 구성요소의 축자 의미 이외에 내포되는 융합 의미와 동의 중첩 또는 고정 결합 구조의 의미 투명성의 형성은 언어 자체의 요인 이외에 사회, 문화와 모국어 화자의 사고방식이 중요한 요인으로 관련되어 있다.
제6장에서는 한중 한자어 관용표현를 대비하였는데, 규범성과 정형성, 문어와 구어의 차이점과 문체와 수사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한중 한자어 관용표현의 유형별로 학술 용어와 분류 기준의 대비를 통하여 서로의 차이점과 원인을 분석하였다. 중국어 관용표현이, 특히 고사성어의 정형성과 문어적인 표현 형식의 제한성을 가짐에 비해 한국어 순한자어 관용표현은 형태적 변이성과 융통성, 구어적 표현 형식이 특징적이다. 또는 한국 속담의 번역 관용어구와 활용 관용어구는 한자어의 형태와 한자음을 유지하지만 내용과 의미가 완전히 한국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착각이 되는 정도이다. 또한 한자어 혼용 관용표현은 한국어에만 있는 특수한 관용표현 형식이고 歇后語(헐후어)는 중국어 관용표현에만 있는 특수한 관용표현 형식이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