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응 관계를 활용한 한국어 양태부사 교육 방안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국문 초록 호응 관계활용한국어 양태부사 교육 방안 연구연구는 화자의 심리적 태도와 상황에 따라 맥락에 맞게 사용해야 하는 양태부사를 문장 성분과의 호응 관계활용하여...

국문 초록 호응 관계를 활용한 한국어 양태부사 교육 방안 연구 본 연구는 화자의 심리적 태도와 상황에 따라 맥락에 맞게 사용해야 하는 양태부사를 문장 성분과의 호응 관계를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교육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양태부사의 의미적 통사적 특성을 밝히는 학문적인 접근의 양태부사 관련 연구는 국어학 분야에서 이미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의 양태부사 연구는 동일 언어권의 대조분석 연구가 많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언어권이 다양하고 학문 목적이 아닌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하는 양태부사 학습 방안 연구는 찾아보기가 힘들다. 한국에서 가정을 이루어 살고 있는 결혼이민자의 경우는 화자의 심리적 태도가 내포된 양태부사를 빈번하게 듣게 될 것이지만 교실에서의 학습은 원활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라 양태부사의 이해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러한 점에 도움이 되고자 양태부사 교육에 관심을 두게 되었고 양태부사의 의미적, 통사적 특성 때문에 어휘와 문법 교육의 두 측면을 살펴보았다. 이에 ‘입력 중심 기법’과 ‘문맥을 활용한 지도 방법’을 바탕으로 호응 관계를 활용한 양태부사의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연구주제에 대한 진행 과정을 소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 참고한 선행연구를 말뭉치를 이용하여 호응 관계를 분석하거나 개별 어휘를 대상으로 삼은 연구, 대조 분석 등의 세 분류로 나누어 양태부사의 호응관계를 분석한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양태부사의 개념과 정의, 분류와 의미적, 통사적 특성 등의 고찰을 통해 본 연구의 이론에 기초로 삼고 설문과 교재 분석을 위한 조사 대상의 자료로 삼을 어휘 목록을 정리하였다. Ⅲ장에서는 한국어 교사들을 대상으로 양태부사에 관한 인식과 태도, 사용 교재, 교실 상황, 수업 방법 등을 조사하였다. 이 조사 결과에서 주로 사용된 이민자 대상의 교재와 최근의 의사소통의 경향성이 보이는 대학 부속 한국어 교육기관의 교재를 선정하여 양태부사의 제시 단계, 단계에 따른 제시 어휘, 호응 양상과 제시 방법 등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살폈다. Ⅳ장에서는 Ⅲ장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양태부사 교육의 이론적 원리를 기술하고 어휘와 문법과의 호응 관계를 활용하여 ‘입력 중심 기법’과 ‘문맥을 활용한 지도 방법’을 응용하여 적용하고자 하였다.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여 정리하고 연구가 갖는 의의와 후행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양태부사와 관련하여 교사들의 인식과 교수 방법, 이민자들 대상 교재를 분석하여 지금까지 논의되지 않았던 결혼이민자들의 양태부사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양태부사의 출력기법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고 수업 시간의 한계 등을 지니고 있어 다음의 연구에서는 이것을 보완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될 것을 기대한다. 또한 한국어 교재에 양태부사에 대한 제시나 연습문제가 좀 더 명시적이고 다양하게 기술되어 양태부사 교육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핵심어 : 양태부사, 호응 관계, 입력 중심 기법, 문맥을 활용한 지도 방법

A Study on Education Methods of Korean Modal Adverbs using Concord Relation Hee Jung Kim Majo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second languag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

A Study on Education Methods of Korean Modal Adverbs using Concord Relation Hee Jung Kim Majo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second languag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effective education methods of modal adverbs which should be used according to the speaker's psychological behavior and situations using concord relation of sentence components. A lot of studies concerning modal adverbs in term of academic approach already have been made and also many contrastive analysis studies of modal adverb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are being made presently. However, the studies of education methods of modal adverbs for marrigebased immigrants who have different native languages are very hard to find. The marriagebased immigrants living in Korea may listen to modal adverbs frequently, but they have a big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m because the lessons in the classrooms have not been useful. In order for me to be of help to solve this problem, I came to have an interest in education methods of modal adverbs and looked at this subject in two aspects of vocabulary education and gramma education due to semantic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Therefore, based on the input-based approach and the teaching method using context, I tried to suggest the teaching method of moral adverbs using concord relation. In Chapter 1, I tried to present the purpose and the necessity of this study and introduced the progress about subject study. For this, I devided the advanced studies that I referred to into three groups and examined the studies which analyzed the concord relation of modal adverbs. In Chapter 2, I tried to make the concept,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 of modal adverbs as the theoretical basis of this study and made a list of vocabulary with which I used them for the teachers surveys and the analysis of the study materials. In Chapter 3, I conducted a research of Korean teachers about their awareness and attitude concerning modal adverbs, the teaching materials in use, the condition and situation of classrooms and the teaching process etc.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I selected the mainly used study materials for immigrants and the materials of Korean Language Institute which show the tendency of communication and are mostly the attachments of University. Then I analysed and studied the implications of the stages of using modal adverbs, response condition and presentation methods of modal adverbs. In Chapter 4, I explained the theoretical principles of modal adverbs education and tried to apply the input-based approach and the teaching method using context using concord relation between vocabulary and grammar. In Chapter 5, I summarized and organized the content of the study and made a suggestion for the follow-up studies.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he point that suggestions for modal adverbs education methods which have not been discussed until now have been made for marriagebased immigrants after analyzing teacher's awareness, teaching methods and materials for immigrants. However, due to the shortage of discussions about output technique of modal adverbs and the limitation of class hours, I expect the follow-up studies will complement this study. Also the more explicit examples and various types of exercises in the study materials will be of great help in studying Modal adverb in Korean language. Key words: Modal adverb, Concord relation, Input-based approach, The Teaching method using contextual approach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