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와 한국어 인칭 대명사의 대조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In recent years, a growing body of research is focusing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ersonal pronouns for Korean and Chinese. But most of the studies are concentrated on grammar and few studies on the application research of personal pronouns i...

In recent years, a growing body of research is focusing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ersonal pronouns for Korean and Chinese. But most of the studies are concentrated on grammar and few studies on the application research of personal pronouns in daily life. So in this study, the films from Koreans and Chinese are taken as research object to further study the application of Koreans and Chinese personal pronouns in their daily life. Chinese and Korean both have three person pronouns ( first, second and third-person pronouns). The forms of personal pronouns in Chinese are relatively far less than Korean, but the usage of personal pronouns in Chinese is far higher than Korean, in general, that is caused by the use of respectable words system in Korean. From the angle of translatology, linguistics has the inseparable relations with the translatology. The traditional research object of translatology is mainly focus on the comparison of words or sentences in original and translated text, and too much attention is paid to the analyses of morphology and syntax. So it could not cover the conversion problem for the translation of lengthier sentences. But the appearance of discourse analysis in 1970s gave some new enlightenment to the translation studies. The study of translation could be based on discourse analysis, and discourse is considered to be the highest level of the structural hierarchy of a complete language symbol system. So discourse should be used as the translation unit in translation practice, but not the sentence. It is also the reason for selecting films as research subjects to study the personal pronouns of Korean and Chinese, because that films are mainly made up of colloquial language. Besides that, films are easier to exhibit the language environments and also more close to life. 6 chapters in : Chapter 1, the introduction mainly introduces the object of research, the aim, the method, the significance and the content of research, general achievement of other researchers. Chapter 2, the second chapter briefly studies the first-person pronouns in Korean and Chinese through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usage of first-person pronouns in films from China and Korea. Chapter 3, the second chapter briefly studies the second-person pronouns in Korean and Chinese through the statistical analysis of usage of second-person pronouns in films from China and Korea. Chapter 4, the fourth chapter briefly studies the third-person pronouns in Korean and Chinese through the statistical analysis of usage of third-person pronouns in films from China and Korea. Chapter 5, supplemental instruction of personal pronoun from the angle of grammar. Chapter 6, conclusion and prospect.

최근 몇 년 동안 중국한국의 인칭 대명사에 대한 비교, 분석한 논문이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연구는 문법적 대비 연구에 집중 되었으며, 일상생활 중의 인칭 대명사 사용...

최근 몇 년 동안 중국한국의 인칭 대명사에 대한 비교, 분석한 논문이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연구는 문법적 대비 연구에 집중 되었으며, 일상생활 중의 인칭 대명사 사용에 대한 연구가 비교적 적은 것이 현실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중국과 한국의 영화를 주요 언어 연구 자료로 하고, 일상생활 중 중국어와 한국어의 인칭 대명사의 운용에 대하여 비교적 깊고, 상세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한국어와 중국어에는 모두 1, 2, 3 인칭 대명사가 있다. 두 가지 언어 중의 인칭 대명사를 비교하였을 때 중국어 중의 인칭 대명사 형식은 한국어 중의 인칭 대명사 형식보다 훨씬 적은 반면 중국어의 인칭 대명사 사용율은 한국어의 인칭 대명사보다 훨씬 높다. 이는 한국어 체계 중의 높임말 체계와 관련이 있다. 번역학의 차원으로 보았을 때 번역학은 언어학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번역 업계는 전통 언어학의 영향 때문에 기존의 번역에 관한 연구는 원문과 번역문의 단어 및 문장의 비교에 초점을 맞췄으며, 형태론과 통사론을 지나치게 치중해왔다. 그러므로 이러한 연구는 문장보다 큰 단위의 번역 전환 문제를 포함시키지 못했다. 하지만 1970 년대부터 문단분석이 흥기되면서 번역 연구에 새로운 계시를 제공하였다. 즉 문단분석의 관점으로 번역을 연구함으로써 문단을 한 개의 완정한 언어체계 중 언어의 최고 구조 차원으로 여긴다. 그러므로 번역 실천 중에는 문단을 번역의 단위로 해야 하며, 단순히 문장을 번역 단위로 번역해서는 안 된다. 이는 본 연구가 영화의 방식을 통하여 한국과 중국의 인칭 대명사를 연구하는 원인이기도 하다. 영화 대사는 주로 구어이기 때문에 영화는 언어 환경을 더욱 잘 표현할 수 있고, 실제 생활과 더욱 가깝기 때문이다.   전체 논문은 다섯 장로 구성되었다. 제1장, 서론에서는 주로 연구 목적과 의의, 연구 방법과 연구 범위 및 기존의 연구가 취득한 성과와 부족을 소개하였다. 제2장, 주로 중국어의 1인칭 대명사와 한국어의 1인칭 대명사를 분석하고, 영화 중 1인칭 대명사의 사용율을 통계함으로써 한국어와 중국어의 인칭 대명사에 대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제3장, 주로 중국어의 2인칭 대명사와 한국어의 2인칭 대명사를 분석하고, 영화 중 2인칭 대명사의 사용율을 통계함으로써 한국어와 중국어의 인칭 대명사에 대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제4장, 주로 중국어의 3인칭 대명사와 한국어의 3인칭 대명사를 분석하고, 영화 중 3인칭 대명사의 사용율을 통계함으로써 한국어와 중국어의 인칭 대명사에 대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제5장, 주로 문법의 차원에서 2장, 3장, 4장 중 양국 인칭 대명사의 비교에 대하여 보충설명 하였다. 6장, 결론 부분으로서 본 논문의 연구 성과를 총결하였다.

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