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인과관계 연결어미인 ‘-어서’, ‘-니까’를 담화적 특성들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여 모어 화자들의 실제 사용 양상 및 특징을 담화적 차원에서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 본 연구는 인과관계 연결어미인 ‘-어서’, ‘-니까’를 담화적 특성들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여 모어 화자들의 실제 사용 양상 및 특징을 담화적 차원에서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어서’, ‘-니까’는 실제 모어 화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인과관계 연결어미이지만 의미적 유사성 때문에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것을 어려워하고 문법적으로 올바른 문장을 만들어도 모국어 화자들에게 어색하다고 느껴지는 경우가 있다. 이런 ‘-어서’, ‘-니까’를 기존의 의미론, 통사론 관점을 넘어 모어 화자가 사용할 때 작용하는 직관을 보다 객관적으로 분석, 검증하기 위해 담화적 차원에서 연구하였다. 본격적인 연구에 앞서 제1장에서는 연구 목적과 의의, 그리고 연구 절차에 대해 소개하였다. 제2장에서는 이번 연구와 관련한 담화 문법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현재 국내의 한국어 교육에서 진행된 담화 문법 분야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리고 지금까지 주로 연구되었던 ‘-어서’, ‘-니까’의 의미적, 통사적 특성들을 정리하여 이번 연구의 담화적 특성과 관련된 개념들을 정리하였다. 제3장에서는 연구 절차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연구 절차는 크게 3단계로 드라마 준구어 자료 분석, 모어 화자의 담화인식테스트를 통한 가설 검증, 그리고 한국어 학습자의 담화인식테스트를 통한 오류 확인을 거쳤다. 제4장에서는 드라마 준구어 자료를 담화 맥락 요소와 후행절의 의사소통 기능에 따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의미·담화적 특성과 의사소통 기능에 따른 연결어미 사용 양상을 도출하였다. 먼저, 담화 맥락 요소의 분석 결과, ‘-어서’, ‘-니까’는 화·청자의 지위 관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 연결어미지만 선·후행절의 의미 관계를 넘어서 담화적 차원의 화·청자 지위 관계도 고려되는 것을 찾아냈다. 그리고 전체적인 의미·담화적 특성은 5가지로 ‘공손성과 화·청자 지위 관계에 따른 ‘-어서’’, ‘화자에게 부담이 되는 화행에서의 ‘-어서’’, ‘분명한 근거의 강조에 따른 ‘-니까’’, ‘화·청자 정보 공유에 따른 ‘-니까’’, ‘객관적·주관적 판단에 따른 ‘-어서’, ‘-니까’’로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후행절의 의사소통 기능별로 선호하는 인과관계 연결어미를 정리하였는데 공손성이 필요한 인사, 양해, 걱정의 의사소통 기능들은 ‘-어서’를 선호하고 명령, 청유, 조언, 격려와 같은 지시의 의사소통 기능들은 ‘-니까’를 선호하는 것을 밝혔다. 그리고 위의 준구어 자료 분석 결과와 한국어 교재를 비교하여 현재 한국어 교육에서 ‘-어서’, ‘-니까’를 어느 단계까지 교육하는지를 살피고 초급 교재에서 개선점들을 제안하였다. 제5장에서는 제4장에서 정리한 ‘-어서’, ‘-니까’의 의미·담화적 특성들과 후행절의 의사소통 기능 유형들을 바탕으로 나온 가설들을 모어 화자에게 검증하는 과정을 거쳤다. 설문 결과, 50% 미만의 2문항을 제외하고 총 82.6%로 높은 일치도를 보였는데 여기에서 발견한 특이점은 화·청자 관계에 따라 ‘-어서’의 공손성과 ‘-니까’의 주장에 대한 근거 강조의 강도가 달라지는 것이었다. 공손성이 필요한 인사, 양해, 걱정의 의사소통 기능에서 화자가 청자보다 지위가 낮을 때보다 동등할 때 부담이 낮아져 ‘-어서’의 선택 비율이 떨어졌고 지시의 의사소통 기능에서는 화자의 지위가 높을수록 타인에게 지시를 강하게 하는 ‘-니까’의 사용 부담이 낮아 더 높게 선택되었다. 또한, 검증된 담화인식테스트 문항들을 한국어 학습자들에게도 실시하였는데 54.75% 일치도를 보여 자연스러운 연결어미 사용을 어려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런 모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와 차이가 나는 문항들을 분석하고 학습자에게 오류 응답에 대한 인터뷰를 실시하여 교육이 필요한 항목을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인과관계 연결어미의 ‘-어서’, ‘-니까’를 새로운 담화적 관점과 후행절의 의사소통 기능에 따라 분석 및 유형 정리를 시도하고 또한, 모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의 사용을 비교하여 학습자에게 교육이 필요한 항목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