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용표현은 한 나라의 생활방식, 역사, 문화적 배경과 민족의 정서가 반영된 특수한 표현이어서 외국어 학습자가 단어 자체의 의미만으로 이해하기가 어려운 표현들이 상당수 차지하고 있... 관용표현은 한 나라의 생활방식, 역사, 문화적 배경과 민족의 정서가 반영된 특수한 표현이어서 외국어 학습자가 단어 자체의 의미만으로 이해하기가 어려운 표현들이 상당수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관용표현은 단어 자체에서 파생되거나 비유적 의미로 사용되기 때문에 외국어 어휘교육에서 중요하게 다뤄져야할 영역 중에 하나이다. 외국어 학습자가 관용표현을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면 능수능란하게 외국어를 구사할 수 있게 되고 또한 그 나라의 문화를 이해하는데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에 본고는 인간의 내적, 심리적면이 함축되어 표현되어 의미를 직접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한.중 신체 관련 관용어의 비교 분석하여 한국어나 중국어 학습자의 신체 관련 관용어에 대한 이해력을 높이고자한다. 본고는 총 5장으로 구성되어졌으며 각 장에서 논의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연구 목적과 연구 방법 및 범위를 제시하고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제2장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에서의 관용어에 대한 개념을 비교 정의하였다. 제3장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 부위별 신체 어휘에 대한 사전적 의미를 정리하고 신체 관련 관용어에 대한 의미적 해석을 통해 한국어와 중국어의 대응표현을 대조 분석하였다. 신체 관련 관용어 대조 분석을 통해 한.중 신체 관련 관용어의 유형과 쓰임에 대해서 설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한.중 신체 관련 관용어 유형에 대한 대조 분석을 통해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리하고 신체 관련 관용어에 내포된 문화적, 역사적, 사회적 배경이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본고에서는 선행 연구와 양국의 사전 등의 자료를 바탕으로 관용어 유형을 제시하였다. 유형을 비교 분석한 결과 한국어와 중국어의 신체 관련 관용어는 기본의미는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으나 파생, 확장된 의미는 다양한 대응 양상을 보였다. 또한 한국어 신체 관련 관용어는 기능어로서의 함축적 의미를 추상적으로 표현한데 반해 중국어에서는 상대적으로 기능적인 면을 강조하여 구체적으로 표현하고 있었다. 본고에서 비교한 한.중 신체 관련 관용어 유형이 한국어나 중국어 학습자에게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어 학습자의 언어 습득 및 활용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As idiomatic expressions are such special expressions reflecting lifestyle, history, cultural background, and ethnic sentiment of a country, they include lots of expressions that are difficult to be understood by learners of foreign language. Because ... As idiomatic expressions are such special expressions reflecting lifestyle, history, cultural background, and ethnic sentiment of a country, they include lots of expressions that are difficult to be understood by learners of foreign language. Because such idiomatic expressions are derived from a word itself or used metaphorically, they are one of the areas that should be emphasized in foreign language vocabulary education. When learners of foreign language can fully understand idiomatic expressions, the foreign language can be fluently used, which largely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culture of the country. Thus, this aims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body-related idioms for learners of Korean or Chinese by comparatively analyzing Korea-China body-related idioms that are hard to be directly understood as human's internal/psychological aspects are implied. This is comprised of total five chapters, and the contents of each chapter could be summarized like below. Chapter1 suggested the objective, methods, and range of study, and examined preceding researches. Chapter2 comparatively defined the concept of idiom in Korean and Chinese. Chapter3 summarized the lexical meaning of body words in each part of Korean and Chinese, and also comparatively analyzed corresponding expressions of Korean and Chinese through the semantic interpretation of body-related idioms.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body-related idioms, the type and use of Korea-China body-related idioms were reviewed. Chapter4 summarized things in common and differences in the type of Korea-China body-related idioms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and also analyzed the implication of cultural, historical, and social background in body-related idioms. This suggested the type of idioms based on data like preceding researches and dictionaries of both countries. In the results of comparatively analyzing the type, body-related idioms of Korea and China showed the similar aspect in the basic meaning while showing diverse corresponding aspects in the derived/extended meaning. Also, Korean body-related idioms abstractly expressed implicative meanings as function word while they were concretely expressed by relatively emphasizing the functional aspect in Chinese. This aims to be helpful to language learning/use as the type of body-related idioms of Korea and China is usefully used by learners of Korean or Chinese. ,韩语论文网站,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