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의 양태(樣態)부사는 화자(話者)의 태도와 말투, 기세(氣勢) 등을 나타내는 부사어이다. 양태부사 이외의 명칭으로 ‘양상(樣相)부사, 말재어찌씨, 서법부사’ 등 학자별 다르게 사용... 한국어의 양태(樣態)부사는 화자(話者)의 태도와 말투, 기세(氣勢) 등을 나타내는 부사어이다. 양태부사 이외의 명칭으로 ‘양상(樣相)부사, 말재어찌씨, 서법부사’ 등 학자별 다르게 사용하고 있다. 이에 대응하는 중국어에서의 일반적인 명칭은 ‘어기(語氣)부사’이다. 중국어에서 ‘어기부사’는 ‘양태부사’에 포함되어 있다. 이것은 ‘양태부사’의 의미가 통사적 구조에서 주어가 주가 되고 ‘어기부사’는 화자가 주가 되기 때문에 중국어에서 양태부사의 범위가 넓다. 그러므로 李左豊(1998) 등은 ‘양태’와 ‘어기’를 각기 다른 개념으로 구별하여 설명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견해를 따라 중국어 ‘어기부사’에 대응하는 한국어 명칭으로 ‘양태부사’를 사용하였다. 본 논문은 한한(韓寒)의 소설 『三重門』을 대상으로 중국어 원본과 한국어 번역본의 소설 내용에 쓰인 양태부사를 통사・의미론적인 측면에서 비교하여 중국어와 한국어 양태부사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고찰하고 원문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중국어 어기부사를 어떠한 어휘로써 한국어 양태부사로 번역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三重門』을 대상으로 삼은 것은 중국인이 한국어 학습하는데 있어서 소설을 통한 한국어 접근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三重門』이 베스트셀러인데다가 『三重門』의 저자가 젊은 작가임에도 불구하고 고전의 문장을 다수 사용하여 독자의 층이 넓어 그 효과가 적지 않은 데에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중 학자들의 부사에 대한 분류를 참고했다. 우선 양태부사의 개념을 서술하고 기능을 분석하여 양태부사를 부사의 하위유형으로서 정하였다. 그리고 통사(統辭)의 의미론적 유형분류는 ‘강조(强調), 확인(確認), 의외(意外), 추측(推測), 조건(條件), 당위(當爲), 확신(確信), 의지(意志), 희망(希望) 등 9가지로 나누어 논의했다. 1장에서는 연구 목적 및 필요성, 연구 방법 및 대상, 선행연구에 대하여 기술했으며, 주로 본고에서 무엇을 쓸 것인지를 제시하고 논문의 맥락을 논의했다. 2장에서는 한국어 양태부사의 개념과 목록을 제시하고 동시에 중국어 어기부사의 개념과 목록을 제시했고, 이에 따른 하위분류를 같이 제시했다. 3장에서는 크게 한국어 양태부사와 중국어 어기부사로 둘로 나누고, 첫째 한국어 번역판 『三重門』의 양태부사를 조사하고 선정해서 그에 따른 해당 예문을 제시했다. 구체적으로 선정한 한국어 양태부사들의 각각의 문장 제약과 의미적 특성을 분석하고, 한국어 양태부사의 문장 제약과 의미의 차이를 대조하여 살펴보았다. 둘째는 중국어 원본 『三重門』에 나오는 어기부사를 선정하고 그들과 대응하는 한국어 양태부사를 통사적 제약과 의미적인 측면에서 정확하게 번역했는지를 분석할 것이다. 본 논문은 한국어 양태부사와 중국어 어기부사에 대하여 통사론적과 의미론적 관점으로 공통점과 차이점을 파악한 것뿐만 아니라 두 언어가 변역(變易)할 때 자주 나타나는 잘못된 것들도 밝혔다. 그러나 소설 중에 나타나는 자료들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광범위한 언어 상황은 포함되지 않았다.
The Korean aspect adverb represents the attitude, tone and force of the speaker. It can also be called by different scholars as the manner adverb, the modal adverb or the mood adverb, etc. The Chinese equivalent to this is generally called as the tone... The Korean aspect adverb represents the attitude, tone and force of the speaker. It can also be called by different scholars as the manner adverb, the modal adverb or the mood adverb, etc. The Chinese equivalent to this is generally called as the tone adverb. In the Chinese language, the tone adverb is included in the aspect adverb. The aspect adverb is expressed on the basis of the subject in the syntactic context; the tone adverb is expressed on the basis of the speaker, showing that the range of the aspect adverb is wide in the Chinese language. Therefore, Lee Zuofeng, et al. (1998) explains them with the different concepts, distinguishing aspect from tone. According to the general point of view, this study uses the Korean term “aspect adverb,” equivalent to the Chinese term “tone adverb.” As for the novel Sanchongmen written by Han Han, this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study on the aspect adverbs in the original Chinese text and the translated Korean text from the point of syntactic context and semantic concept, determined the common ground of them, made clear the difference between them, and examined what words were used in translating the Chinese tone adverb into the Korean aspect adverb. The reason why Sanchongmen has been selected is that not only the Chinese can easily access to the Korean language through the novel in their learning it, but also the bestseller novel has used lots of classic sentences, securing a wide range of readers and giving a great influences on them, although it has been written by the young author. The classification systems of both Korean and Chinese scholars were used in this study. First, the concept of the aspect adverb was described, its function was analysed and it was determined as one element in the sub-category of the adverb. Then, the semantic category of the syntax was classified into nine, that is, emphasis, confirmation, unexpectedness, supposition, condition, oughtness, conviction, will and hope. The first chapter described the purpose, necessity, method and subject of the study and its precedent studies, suggested what would be written in this study and discussed the context of the study. The second chapter suggested the concepts and lists of both the Korean aspect adverbs and the Chinese tone adverbs, along with their sub-categories. The third chapter largely divided the adverbs into the Korean aspect adverb and the Chinese tone adverb, examined and selected the Korean aspect adverbs from the translated Korean Sanchongmen text, suggesting their equivalent example sentences. To explain more concretely, it analyzed the syntactic restriction and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aspect adverbs, and comparatively examined their syntactic restriction and the semantic difference. In addition, it selected the tone adverbs from the original Chinese novel Sanchongmen, and analyzed their equivalent Korean aspect adverbs if they were concisely translated from the point of syntactic restriction and semantic context. This study not only examined the similarity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Korean aspect adverbs and the Chinese tone adverbs from the point of the syntactic and semantic views, but also discussed the common errors occurring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m. However, more wide-ranging language situation was not introduced, since the data in the novel have been limited.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