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배우는 인도인 한국어 초·중급 학습자의 쓰기 자료를 수집하여 오류 내용을 알아보고 그것을 유형별로 구분한 후 오류의 양상의 차이를 살펴보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해 인도인 학습자가 한국어를 습득하는 과정에서 주로 범하는 오류가 무엇이며 그 원인은 무엇인지, 또한 이러한 오류가 초·중급 인도인 한국어 학습자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점은 무엇인지에 대해서 살펴볼 것이다. 한국과 인도 간의 교류는 1973년도에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최근에는 경제·사회·문화적으로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1995년 네루대학교에서 한국어 전공으로 학사와 석사과정이 개설된 이후 인도인 한국어 학습자를 배출하고 있다. 네루대학교를 비롯하여 최근까지 인도에서 한국어학과와 한국어 강좌를 제공하는 대학교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한국어를 교육하는 기관도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한국어에 대한 관심 및 한국어를 배우고 싶어하는 인도인 한국어 학습자들도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인도인 한국어 학습자가 매년 늘어나고 있지만 학습자 대상으로 한 한국어교육 연구는 많지 않고 선행된 연구들도 주로 문법 교육 방안에 집중되어 이루어졌다. 인도인 한국어 학습자가 학습 과정에서 겪는 문제점을 연구한 자료를 찾아보기가 어렵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인도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인도 학습자의 오류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어서 인도 학습자가 원하는 교육방법을 제대로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오류를 바탕으로 학습자들이 오류를 일으키지 않도록 효율적인 교육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 오류 분석 연구, 문법 오류 연구, 어휘 오류 연구, 인도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교육 연구로 나눠서 살펴봤다. 2장에서는 오류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였다. 먼저 오류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를 하고 제2언어로 배울 때 오류는 왜 중요 한지에 대한 설명을 하였다. 오류와 실수를 분류하는 것이 쉽지 않아서 오류와 실수의 차이점을 알아보고 다른 연구자들의 관점에서 둘이 어떻게 다른지 제시하였다. 또는 대조 분석 가설, 중간 언어 가설과 오류 분석 가설에 대해 설명한 후 오류 분석 연구가 학습자와 교사의 관점에서 유익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오류 분석을 통해서 교사는 학습자의 학습 단계를 알아보고 학습 방안을 모색할 수 있으며, 학습자들은 자기의 오류를 알아보고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도록 노력할 수 있다. 이에 오류 분석 연구는 언어 교육에서 중요한 이론이고 제2언어를 습득하는 데에서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 연구에서 오류를 분리해서 분석하기 위한 오류 체계를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제시하였다. 인도인 한국어 초·중급 학습자의 문어 자료에서 인도인 한국어 학습자가 자주 범한 오류 유형을 분류해서 살펴봤다. 또한 본 연구의 연구 방법 및 연구 대상인 인도 초·중급 학습자의 정보를 제시하였다. 학습자의 쓰기 자료로 학습자의 자유 작문뿐만 아니라 숙제문, 시험지, 일상생활 일기 등이 포함되어 있다. 4장에서는 제시한 오류 체계를 바탕으로 인도인 한국어 초급과 중급 학습자의 오류 유형을 각각 분석하고 오류의 원인을 찾아보았다. 범주별로 초급 학습자들은 어휘 오류보다 문법 오류를 자주 일으켰으며 문법 오류는 전체 자료 내 43.44%로 나타났고 어휘 오류의 경우, 전체 자료 내 39.52%로 나타났다. 초급 학습자의 어휘 오류의 원인은, 초급 학습자이기 때문에 어휘가 부족하여 오류를 자주 범하거나 비슷한 의미가 있는 어휘를 혼동해서 오류를 범하거나 어휘의 표기법을 잘 인식하지 못해서 오류를 범하고 있었다. 또한, 초급 학습자의 쓰기 자료에서 힌디어의 영향으로 인해 어휘 오류를 자주 범했다는 것을 보였다. 문법 오류 중 조사 오류의 경우, 힌디어 조사와 한국어 조사의 쓰임이 다르기 때문에 학습자가 한국어 조사의 의미와 쓰임을 잘못 인식하여 오류가 발생하였다. 어미의 경우, 한국어 어미 중 비슷한 의미의 어미가 많아 학습자가 혼동하여 오류가 자주 발생했다. 초급 학습자는 어미 중에서도 종결어미 오류를 가장 많이 범했다. 힌디어에서 동사와 종결어미나 시제, 전성어미를 결합할 때 동사의 원형을 바꾸지 않은데, 한국어에서 동사의 원형을 바꾸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힌디어의 영향으로 오류를 자주 범하였다. 중급 학습자들도 초급 학습자와 마찬가지로 조사 오류를 제일 많이 범하고 그 다음으로 명사 오류, 어미 오류, 동사 오류 순으로 오류를 일으켰다. 범주 별로 볼 때 중급 학습자들에게 발생하는 문법 오류는 전체 자료 내 47.27%이고 어휘 오류는 44.09%였다. 중급 학습자의 경우, 학습자들이 중급 단계에서 배울 문법이나 어휘가 많아서 서로 혼동할 때가 많다. 어휘 오류의 경우, 학습자들이 초급 학습자와 마찬가지로 표기법을 잘못 인식하거나 문장에 맞는 어휘를 안 써서 오류가 발생했으며 문법 중 조사 오류의 경우, 초급 단계에서 잘못 인식한 조사를 중급 단계에 올라와서도 반복해서 오류를 일으키는 것이다. 초급 학습자와 마찬가지로 중급 학습자의 쓰기 자료에서 학습자가 힌디어 영향으로 어휘 오류를 범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중급 학습자는 초급 학습자와 다르게 어미 중에서 연결어미 오류가 가장 많았다. 중급 단계에서 배울 연결어미도 많은데 이미 배운 연결어미의 의미와 혼동해서 오류가 자주 발생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중급 학습자의 오류 현상을 볼 때 초급 학습자와 마찬가지로 대치 오류가 가장 많이 발생했는데, 중급 학습자들도 한국어 문법과 어휘의 쓰임에서 혼동할 때가 많는 것을 확인할 있다. 5장에서는 인도 학습자가 범한 오류의 원인을 정리해서 제시하였다. 학습자의 문어 자료를 분석하는 대로 학습자가 오류를 범하는 이유도 어휘 오류 원인과 문법 오류 원인으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힌디어권 학습자가 힌디어와 한국어 차이점의 영향으로 오류를 자주 범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인도인 한국어 학습자의 문어 자료에서 나타난 오류를 분석하고 그 원인을 찾아보는 데 목적이 두고 있었다. 앞으로 인도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등급별 쓰기 연구가 더욱 활발히 진행되어 효과적인 교육 방안이 제시되길 기대해 본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 인도 학습자와 교수에게 도움이 되길 기대하며 논의를 미친다. ,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