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9품사 중 하나인 감탄사를 정립하고, 감탄사의 형태 구조와 통사 특성을 규명하는 데 있다. 감탄사 설정 기준에 따라 감탄사를 설정하고,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9품사 중 하나인 감탄사를 정립하고, 감탄사의 형태 구조와 통사 특성을 규명하는 데 있다. 감탄사 설정 기준에 따라 감탄사를 설정하고,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Ⅰ장에서는 감탄사에 관한 연구 목적 및 필요성과 연구 대상 및 방법을 밝히고,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를 하였다. 그 동안 한․중 감탄사의 대조 연구나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감탄사 교육방안 연구 등도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감탄사에 관하여 형태 구조나 통사 특성에 관한 연구는 그다지 많은 편은 아니다. Ⅱ장에서는 감탄사의 정의 및 종류에 대한 검토 및 분석을 시도하고, 이를 바탕으로 감탄사의 기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III장에서는 감탄사의 형태 구조에 대해 규명하였다. 형태소 수에 따라 단일어와 복합어로 나뉘었다. 이 중에서 단일어 감탄사는 음절수에 따라 구분하고 이에 관하여 자세히 설명하였다. 복합어는 그 직접 구성 요소 중 하나가 파생접사인가 아닌가에 따라 파생어와 합성어로 나뉘었다. 파생 감탄사는 접사 파생감탄사, 내적 파생감탄사 그리고 영변화 파생감탄사로 나눠 분석하였다. 합성감탄사는 통사적 합성감탄사와 비통사적 합성감탄사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Ⅳ에서는 감탄사의 통사 특성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감탄사가 영향을 미치는 문법범주로 의향법, 청자높임법, 시제법, 부정법을 들고, 감탄사가 이들 문법범주에 어떤 제약을 일으키는가를 살폈다. 또한 문장 구조에서 감탄사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였다. 감탄사는 의향법 중 주로 서술문(감탄 포함)에 쓰이고 의문문과, 청유문, 명령문에서는 쓰이지 않았다. 감탄사에 따라 청자높임법에 영향을 미쳐 어떤 감탄사는 청자를 높이는 데에, 다른 감탄사는 청자를 낮추는 데에 사용되었다. 감탄사는 주로 현재 시제와 어울려 시제법에 제약을 일으키기도 한다. 특히 [/지각] 감탄사는 시제와 관련이 없이 화자가 자신의 느낌을 표출한다. 부정법에는 주로 감탄사는 부정형이 드러나면 감탄사의 기능을 잃지만 대답에 관련된 문장에서 질문에 따라 긍정이나 부정 대답이 다르게 쓰일 수 있다. 감탄사가 문장 구조에 미치는 통사적 특성으로는 첫째, 의문문에서의 대답으로 쓰이는 감탄사의 특성 둘째, 감탄적 독사(獨詞)로 이루어진 감탄문에서의 특성 셋째, 감탄사의 소형문 특성으로 나누어 각각의 특징을 밝혔다.
최근에 들어와서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어 교육을 위한 대조 연구들은 1990년대부터 계속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대부분 명사, 형용사, 동사 등 품사에 대한 연구이었다. 감탄사의 형태 구조나 통사 특성 등은 별로 주목받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국말의 품사 분류 체계에서 감탄사로 여겨져 왔던 단어들에 관하여 형태 구조를 규명하고, 문장성분으로서의 자격 여부와 어떤 통사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가, 감탄문에서 다른 성분과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가를 규명해 보았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