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six‐paramita‐based philosophical activities affect young children’s metacognition, self‐awareness, and divergent thinking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answer research questions as fol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six‐paramita‐based philosophical activities affect young children’s metacognition, self‐awareness, and divergent thinking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answer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1. How do six‐paramita‐based philosophical activities affect young children’s metacognition?
2. How do six‐paramita‐based philosophical activities affect young children’s self‐awareness?
3. How do six‐paramita‐based philosophical activities affect young children’s divergent think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 five‐year‐old children sampled from Y Buddhist Kindergarten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20 from I Buddhist Kindergarten in the same area, and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n=20, male: 9, female: 11) and a control group (n=20, male: 10, female: 10).
For this study, metacognition test, self‐awareness test, and divergent thinking test tools were used. The metacognition test used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Klein (1998), translated into Korean by Shin Seong‐gyun (1999), used by Shim Mi‐jeong (2004) as a metacognition test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by Jo Yeong‐joo (2010) as a metacognition test for kindergarten teachers. The self‐awareness test used the Self‐Awareness Test developed by Fenigstein et al. (1975), revised by Lee Joo‐il (1988) and Eun Hyeok‐gi (2000), and again revised and supplemented by the present researcher for young children with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ed. The divergent thinking test used the Korean Comprehensive Creativity Test for Young Children (K‐CCTYC) developed by Jeon Gyeong‐won (1999) with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ed in 1995.
For six‐paramita‐based philosophical activities, six children’s stories relevant to the six sub‐contents of the six paramitas were selected, and 6 weeks’ program consisting of 18 sessions was designed mainly based on philosophical plays and divergent thinking activities and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In order to test the research questions, ANCOVA was performed using as covariates the pretest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s metacognition was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experienced six‐paramita‐based philosophical activities than in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Second, young children’s self‐awareness was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experienced six‐paramita‐based philosophical activities than in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Third, young children’s divergent thinking was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experienced six‐paramita‐based philosophical activities than in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Summing up,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ix paramita‐based philosophical activities are effective in enhancing young children’s metacognition, which is a higher ability of autonomous thinking, self‐awareness, which is the ability to perceive the self rightly, and divergent thinking, which supports the development of creative thinking.
본 연구는 육바라밀기반 철학활동이 유아의 메타인지 및 자기인식과 확산적 사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
본 연구는 육바라밀기반 철학활동이 유아의 메타인지 및 자기인식과 확산적 사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육바라밀 기반 철학활동이 유아의 메타인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육바라밀기반 철학활동이 유아의 자기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3. 육바라밀기반 철학활동이 유아의 확산적 사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Y 불교유치원과 동일 지역 인근에 위치한 I불교유치원 만 5세 유아 20명으로 실험집단 20명(남: 9명, 여: 11명), 통제집단 20명(남: 10명, 여: 10명)이었다.
연구도구는 메타인지검사, 자기인식검사, 확산적 사고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메타인지검사는 Klein(1998)이 개발한 질문지를 신성균(1999)이 한국어로 번안하였고, 초등학생용 메타인지 검사도구로 사용한 내용(심미정, 2004)을 유치원 교사용 메타인지 검사도구(조영주, 2010)로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기인식 검사도구는 Fenigstein 등(1975)의 자기인식검사(Self-Awareness Tests)를 이주일(1988), 은혁기(2000)가 수정한 검사한 도구를 본 연구자가 유아에게 적합하게 수정·보완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받아 사용하였다. 확산적 사고 검사 도구는 1995년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바 있는 전경원(1999)의 ‘유아 종합창의성 검사(K-CCTYC)’를 연구도구로 사용하였다.
육바라밀기반 철학활동을 실시하기 위하여 육바라밀의 6개 하위내용에 적합한 동화 6편을 선정하였고, 철학놀이와 확산적 사고활동을 토대로 총 6주의 18차시 활동을 구성하여 실험처치 하였다.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한 공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메타인지는 육바라밀기반 철학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에서 육바라밀기반 철학활동을 경험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자기인식은 육바라밀기반 철학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에서 육바라밀기반 철학활동을 경험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확산적 사고는 육바라밀기반 철학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에서 육바라밀기반 철학활동을 경험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육바라밀기반 철학활동은 유아 스스로 사고하는 상위능력인 메타인지와 자기 자신을 바르게 인식하는 자기인식과 창의적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확산적 사고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