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한국어를 배우려는 외국인 학습자가 늘어나는 시점에 중국인 학습자가 차지한 비율이 매우 높다. 중국과 한국은 언어학적인 면에서는 서로 차이가 많이 있지만 같은 한자권이며 유...
오늘날 한국어를 배우려는 외국인 학습자가 늘어나는 시점에 중국인 학습자가 차지한 비율이 매우 높다. 중국과 한국은 언어학적인 면에서는 서로 차이가 많이 있지만 같은 한자권이며 유교 영향권으로 사상면에서도 비슷한 점이 많다. 역사적인 관련성도 많고 또 바로 이웃나라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관련성으로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에게 한국어 속담 활용한 문화 교육을 위한 수업모형을 만들고자 한다. 속담 활용을 위해서 양국의 속담의 형식을 살펴보아야 한다. 한국 속담과 중국 속담 간에는 형식과 의미가 비슷한 형태, 형태는 유사하지만 의미가 다른, 형태는 다르지만 뜻이 유사한 유형 등이 있다. 그리고 중국어에는 없으면서 한국어로 표현으로만 가능한 한국 속담 유형이 있다. 중국인 학습자는 한국 속담으로만 한국 문화를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모국어 속담을 활용하여 비교 대조 설명을 할 것이므로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속담의 사전적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예로부터 민간에 전하여 오는 쉬운 격언이나 잠언. 2. 속된 이야기≒세언(世諺) · 속설(俗說)이라고 했다. ‘속된 이야기’라고 했다. 속담에는 속담이 속한 사회의 풍습 ·역사 ·지리 ·가치 ·세계관 등이 담겨 있어 그 사회의 문화를 살펴볼 수 있다.
속담 활용 학습은 한국어 학습 정도를 초 · 중 ·고급 단계로 나눠서 수업 방안을 제시하였다. 초급 단계의 학습자는 속담 학습에 특히 어려움이 많다. 아직 한국어에 익숙하지 않아서 속담 의미 파악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많은 한국어 초급 교재에도 속담 제시를 찾아보기가 어렵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초급 학습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뜻도 같고 형식도 같은 속담을 활용하여 수업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하지만 초급자에게 속담 교육을 과도하게 하도록 권하지는 않는다. 중급 학습자부터는 중국어 속담과 유사한 뜻이 같지만 형식이 다른, 또는 형식은 같지만 뜻이 다른 유형의 속담을 활용하는 수업 방안을 제시했다. 고급 단계 학습자에게는 중국어에는 없고 한국어에만 존재하는 속담을 활용하였다. 이 단계는 한국의 사회, 문화, 역사 등을 완전하게 이해하는 것은 아니지만 속담의 이해뿐만 아니라 한국어 이해가 가능 하는 단계이기 때문이다.
중국인 학습자는 속담을 통한 한국어 문화 교육에 흥미를 가질 수 있다. 한국어로 모든 것을 설명하기보다 모국어에 존재하는 속담이기 때문에 이해의 폭이 훨씬 높을 수 있다.
한국어 문화교육을 위한 속담 활용 학습 방안을 만들었다. P-P-P 수업 모형을 활용했다. 곧 ‘P: 제시, P: 연습, P: 생산’모형을 이용한다.
한국어 수업의 목표는 의사소통 향상에 있다.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어휘 의미로만은 매우 어렵다. 화용적인 측면도 있지만 어휘가 품고 있는 문화적 요소의 이해 없이는 원활한 의사소통이 불가능하다. 이론적인 문화 수업이 아니라 양국의 속담 비교 · 대조를 이용하는 수업이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학습효과를 높일 것이다. 이 수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매우 세밀하게 문화적 요소를 설명해야 한다. 예를 들어서 한국의 속담에는 ‘떡’이 자주 등장한다. 한국인에게 ‘떡’의 의미가 어느 정도인가를 분명하게 인지시켜야 ‘떡’이 소재인 속담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수업 모형을 실행하기 위해서 교사의 역할도 중요하다. 교사가 한국과 중국의 문화와 속담의 차이 등을 구분할 수 있어야 중국인 학습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