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국 대학교 조선어학과의 한국어 쓰기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보다 효과적인 피드백 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교사 피드백과 동료 피드백의 제공 양상 및 ... 본 연구는 중국 대학교 조선어학과의 한국어 쓰기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보다 효과적인 피드백 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교사 피드백과 동료 피드백의 제공 양상 및 수용 양상, 피드백 전·후 학생들의 글쓰기 향상도와 사전·사후 학생들의 글쓰기 능력의 변화 그리고 두 피드백 활동을 통한 학생들의 정의적 요인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는 중국 대학교 조선어학과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TOPIK 성적과 사전 쓰기 능력평가 결과 동질 집단이라고 판단되는 2개 학급 각 15명을 선정하였다. 두 학급에서 4주에 걸쳐 5차의 교사 피드백 활동과 동료 피드백 활동을 진행하였으며, 사전·사후 능력 평가지와 사전·사후 정의적 설문지도 작성하였다. 교사 피드백과 동료 피드백 제공 분류 기준은 초점에 따라서 ‘내용, 구성, 형식’으로 나누었고, 피드백 제공 방식에 따라서는 ‘칭찬하기, 지시하기, 제언하기, 질문하기, 비평하기, 기타’ 등 6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교사 피드백과 동료 피드백에 대한 수용 유형은 ‘완전수용, 수정수용, 거부, 삭제’등 4가지로 설정하여 피드백 양상과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그룹의 피드백 제공 양상은 초점에 따라서 ‘형식>내용>구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학생들의 글에 나타난 어휘, 문법, 맞춤법 등 문장의 형식적 오류에 대한 피드백을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드백 제공방식에 따라서는‘지시하기>비평하기>질문하기>칭찬하기>제언하기’순으로 지시하기가 가장 많았으며 제언하기가 가장 적은 유형으로 나타났다. 내용과 구성에서 교사는 ‘지시하기’나 ‘비평하기’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형식에서는 ‘지시하기’ 피드백이 압도적으로 많이 나타났다. 한편 동료 그룹의 피드백 제공은 초점에 따라서 ‘형식>내용>구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피드백 제공 방식에 따라서는 ‘지시하기>제언하기>질문하기>비평하기>칭찬하기’ 순으로 ‘지시하기’가 가장 많았고, ‘칭찬하기’와 ‘비평하기’가 가장 적었다. 내용과 구성에서 동료들은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는 것보다 내용에 대한 재해석과 판단을 필자에게 위임하는 표현인 ‘제언하기’와‘질문하기’피드백을 많이 사용하였다. 형식에서는 ‘지시하기’피드백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그룹 모두 형식적 피드백이 상당히 많았는데 이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에 관한 언어 지식과 정확한 표현을 구사할 수 있는 스키마가 부족하기 때문에 교사나 동료 모두 형식에 주목하는 경향이 크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둘째, 교사 그룹과 동료 그룹의 초점에 따른 피드백 제공 빈도수를 통계적으로 비교해 보면 내용과 구성 면에서 피드백 제공 빈도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형식 피드백 제공 빈도수는 두 그룹에서 현저한 차이가 보였으며 교사의 형식 피드백 제공 빈도수가 동료에 비해 절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두 그룹의 방식에 따른 피드백 제공 빈도수를 비교해 보면 ‘지시하기’와 ‘제언하기’, ‘비평하기’의 제공 빈도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칭찬하기’와 ‘질문하기’ 피드백의 제공 빈도수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시하기’와 ‘비평하기’피드백 제공 빈도수는 교사 그룹에서 더 많이 나타났으며, ‘제언하기’피드백 제공 빈도수는 동료 그룹에서 더 많았다. 셋째, 두 가지 피드백에 대한 학생들의 피드백 수용 양상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교사그룹의 초점에 따른 학생들 피드백 수용률이 ‘형식>구성>내용’순으로 나타났다. 방식에 따른 피드백 수용률은 형식 영역에서의‘지시하기’가 가장 높았고, 내용과 구성에서의‘제언하기’수용률이 그 뒤를 따랐다. ‘질문하기’와 ‘비평하기’는 빈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료 그룹의 초점에 따른 피드백 수용률은 ‘구성>형식>내용’의 순으로 나타났다. 동료 그룹에서 피드백 제공 방식에 따른 수용률은 ‘제언하기’가 구성과 내용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지시하기’가 의미와 형식에서 비슷한 비율로 나타났다. 이어서 ‘비평하기’와‘질문하기’순으로 나타났는데, 가장 낮은 수용률을 보인‘질문하기’는 형식 영역에서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두 그룹의 초점에 따른 피드백 수용률은 내용과 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형식 영역에서 교사 그룹의 피드백 수용률이 동료 그룹보다 현저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그룹의 방식에 따른 수용률을 보면 교사 그룹에서‘지시하기’수용률이 현저하게 높았고 ‘제언하기’는 동료 그룹의 수용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질문하기’와‘비평하기’수용률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사 피드백 활동에서 5차례의 피드백 활동을 통해 피드백을 받은 후 완성본이 피드백을 받기 전 초본보다 총 점수와 내용, 구성, 어휘, 문법 등 4개 하위 항목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가져왔다. 사 ,韩语论文网站,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