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형 마을의 공동육아어린이집과 대안학교에서의 언어문화 연구 : 삼각산재미난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study draws on an urban-style village, where linguistic practices are dissimilar to those employed in traditional educational institutes in Korea, to explore linguistic practices unique to the community, focusing on the use of the informal speech...

This study draws on an urban-style village, where linguistic practices are dissimilar to those employed in traditional educational institutes in Korea, to explore linguistic practices unique to the community, focusing on the use of the informal speech and nicknames. In detail, this study investigates how such educational systems or linguistic practices are being adopted, how they are perceived by members of the community (i.e.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and the impact they have on the composition of the community and the lifestyle of its members. Such a study, which expands from simply addressing the pattern of language use, would be conducive to understanding the social relationship and elements of an ideal society sought after by urban-style villages. The study observes Samgaksan Jaeminan Maeul through the methodology of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of teachers, parents, students and children in nurseries and schools in the urban-style village, along with literature review.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polite expressions and linguistic theories, as well as the origin, philosophy, etc. of parent cooperative childcare, were carefully examined. The actual discourse of villagers revealed that honorifics and the informal speech were used in a ratio of 4:6, and that there were no such rigorous standards as prohibiting the use of honorifics or on the use of the informal speech. The most frequently spoken honorific style was ‘Haeyo-che’. Meanwhile, teachers and students frequently employed the informal speech in their conversations but with polite expressions that helped mitigate the impoliteness of the informal speech. Teachers, while educating students on when and to whom to use the honorifics, set examples themselves in the use of speech levels, preparing the students for socialization. The linguistic culture of Samgaksan Jaeminan Maeul, characterized by the use of the informal speech and nicknames, was found to be contributing to the cohesiveness and intimacy of the community. The use of the informal speech for equal relationships, nature-friendly nicknames and family lexicons, which fosters intimacy and closeness, suggested social and educational values. Also, the community members did not rule out the use of honorifics while talking informally, thereby learning respect for the elderly (i.e. the positive function of honorifics) and preparing students and children for their future life outside the community, which was quite meaningful in terms of language education. Moreover, it was found that the informal speech used by the villagers had contained a number of polite expressions, and that infants identified when to use honorifics as they reach the age of five, or six to seven at most. Also, it was suggested that children, as they reach year 3 in elementary schools, set up their own rule mandating themselves to use honorifics to adults including teachers. In addition, it could be concluded that honorifics may not necessarily be polite and the informal speech could be justifiably polite at times.

연구는 한국의 전통적인 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언어문화의 모습과는 다른 언어문화를 볼 수 있는 도시형 마을 공동체를 대상으로 그곳에서 형성되는 특유의 언어문화인 반말과 별칭...

연구는 한국의 전통적인 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언어문화의 모습과는 다른 언어문화를 볼 수 있는 도시형 마을 공동체를 대상으로 그곳에서 형성되는 특유의 언어문화인 반말과 별칭의 사용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이런 교육방식 또는 문화가 어떻게 실천되고 있고, 공동체의 구성원들(교사, 학생, 부모)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공동체 구성과 공동체 구성원의 생활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본다. 이와 같은 연구는 단순히 언어의 사용 양상에 대한 조사를 넘어 교육기관으로서 도시형 마을에서 추구하는 사람과의 관계와 이상적인 사회의 모습을 이해하는 데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관찰대상은 삼각산재미난마을이며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함께 도시형 마을인 삼각산재미난마을에 있는 어린이집과 학교의 교사, 학부모, 학생을 대상으로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병행하였다. 연구를 위해 공손표현과 언어이론들을 살펴보고 공동육아의 유래와 이념 등에 대한 것을 알아보았다. 실제적인 언어표현을 통해 존댓말과 반말의 사용 비율이 4:6으로, 존댓말 사용을 금한다거나 반말 사용에 대한 엄격한 기준이 있는 것은 아니었으며 존댓말 사용은 비격식체인 ‘해요체’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한편, 교사와 학생들이 반말을 많이 사용하고 있지만 공손한 표현을 사용함으로 반말의 무례함을 완화시켜주며, 교사는 존댓말 사용의 상황과 대상에 대한 교육과 더불어 먼저 시범을 보임으로써 사회화를 위한 준비를 도와주고 있었다. 삼각산재미난마을의 반말과 별칭의 언어문화는 공동체의 내부 결속력과 친밀성에 도움이 되는 것을 알게 되었다. 평등한 인간관계를 위한 반말과 자연친화적인 별칭, 친족어 호칭 사용이 친밀한 인간관계를 만들어준다는 것은 사회 교육적 가치가 있으며, 반말을 사용하면서도 존댓말을 배제하지 않음으로써 존댓말의 순기능인 윗사람에 대한 공경을 배우게 되고 학생들에게 공동체 밖에서의 삶을 위한 준비를 시키고 있다는 것이 언어 교육적으로도 가치 있는 것이다. 또한 반말에는 많은 공손표현이 포함되어있으며, 영유아의 경우는 빠르면 5세 늦어도 6~7세면 존댓말을 사용해야하는 상황을 판단하며, 초등3학년을 기점으로 교사를 포함한 어른에게는 존댓말을 사용해야한다는 아이 스스로의 기준이 생기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었다. 그와 더불어 존댓말이 꼭 공손한 표현이 되지 않을 수 있고 반말이지만 충분히 공손한 표현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