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다의동사의 의미 확장 대조 연구: '보다'와 '먹다'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experience and knowledge gained from humans' search for meaning and understanding in this world is reflected through language. It is natural to choose the most economical and rational methods in giving expression to an unlimited world with limited...

The experience and knowledge gained from humans' search for meaning and understanding in this world is reflected through language. It is natural to choose the most economical and rational methods in giving expression to an unlimited world with limited vocabulary. The result is achieved through meaning extension of polysemy. Meaning extension of polysemy does not come about randomly; but, rather, comes about by adding new meaning in semantic items that hold semantic correlations, widening the original scope of usage. Thus, a systematic and connected vocabulary extension can be discover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ings of polysemy and understanding the path of meaning extens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who do not have the linguistic intuition of the target language, this study can help by helping them systematically understand each polysemy’s meaning and understanding the semantic correlations. Moreover, this study can help these students’ linguistic intuition as well as expanding their vocabulary. The purpose of this is to systematically explain the semantic correlation and to reveal the principles of meaning extension through analysis of the semantic systems and paths of meaning extension.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ill be the most basic vision action verb "to see" (보다) and the most basic ingestion action verb "to eat" (먹다). The extended meaning of "to see" can be categorized into semantic types: confirmation, awareness, performance, and acquisition; while "to eat" can be categorized into inhalation, preservation, loss, and consumption semantic types. This categorization serves to aid in the understanding of their respective semantic correlations and reveals the significance of polysemy by using an integrated concept categorization, while also verifying its application in education. Polysemy, a linguistic form that reflects humans’ experiences and formed concepts, contains hints of humans' empirical knowledge as well as their cognitive processes. A contrastive analysis of two languages aids in establishing linguistic generality, as well as revealing one language’s particularity. As such, this analyz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expression methods of cognitive behavior by using contrastive analysis of meaning systems and the meaning extension aspects of the respective Korean/Chinese vision verb “to see” (Korean: ‘보다’; Chinese: ‘看’ [kàn]), and their respective ingestion verb “to eat” (Korean: ‘먹다’; Chinese: ‘吃’ [chī]). Next, the analysis expanded to the semantic domains of vision and ingestion. The meaning extension aspect of other basic verbs that correspond with the basic meaning of the words “to see” and “to eat” in their respected languages were inspected, and the role of their respective semantic domains analyzed. Next, the forms of compound verbs that contain ‘보다/看’ and ‘먹다/吃’ were catalogued, and meaning extension’s role in these compound words’ formation were examined. The contrastive analysis of Korean/Chinese verbs “to see” and “to eat” can reveal the universal principles of meaning extension. Furthermore, through contrastive analysis, there will be a stronger understanding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languages’ modes of recognition. Moreover, the results of the contrastive analysis can resolve any difficulties caused by conceptu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as well as aiding in revealing the cognitive and cultural experiences of Chinese speakers. This will be helpful in the solid understanding and efficient acquiring of Korean polysemy for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인간은 외부 세계를 모색하고 이해하는 과정에서 획득한 경험과 지식을 언어에 반영한다. 한정된 어휘로 무한한 세계를 표현하기 위하여 가장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을 택하게 되는데 ...

인간은 외부 세계를 모색하고 이해하는 과정에서 획득한 경험과 지식을 언어에 반영한다. 한정된 어휘로 무한한 세계를 표현하기 위하여 가장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을 택하게 되는데 다의어의 의미 확장을 통해 실현된다. 다의어의 의미 확장은 무원칙적으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의미 항목 간에 관련성을 지니면서 새롭게 의미가 추가되어 적용 범위가 넓어진다. 따라서 다의어의 의미항목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고 의미 확장 경로를 파악하는 것을 통해 다의어를 체계적이고 연계적으로 교육하는 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언어적 직관이 부족한 외국인 학습자에게 있어 한국어 다의어의 의미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의미 간의 관련성을 이해하게 하는 것은 학습의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언어의 감각 및 어휘 확장 능력을 길러주는 데 적극적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의어 중에서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행위양식인 시각동사 ‘보다’와 섭취동사‘먹다’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각각의 다의의미 및 의미 확장 경로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의미 항목 간의 관련성을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의미 확장의 원리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 다의동사 ‘보다’와 ‘먹다’의 확장의미를 각각 ‘확인, 인식, 수행, 획득’과 ‘흡입, 보존, 잃음, 소모’의 의미 유형으로 범주화하여 의미 간의 연관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통합된 개념 범주를 중심으로 다의어의 의미 제시 및 교육에서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의어의 의미 확장은 인간이 체험을 통해 형성된 개념을 반영한 언어형식으로서 인간의 인식, 인지처리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으로 서로 다른 언어는 의미의 실현방식에서 차이를 나타내기도 하는데, 대조분석의 방법은 언어의 보편적 특징과 개별성을 간파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한·중 시각동사 ‘보다’와 ‘看(kàn)’, 섭취동사 ‘먹다’와 ‘吃(chī)’의 의미 체계 및 의미 확장 양상에 대한 대조분석을 통해 대응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한·중 두 언어에서의 인지구조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시각, 섭취의 의미영역으로 분석을 확대하여 한·중 ‘보다/看(kàn)’류 기타 기본 동사와 ‘먹다/吃(chī)’류 기타 기본 동사의 의미구조를 검토하고 각 의미영역에서의 역할을 검토하였다. 또한 ‘보다/看(kàn)’와 ‘먹다/吃(chī)’를 구성성분으로 하는 복합동사의 의미 유형을 추출하여 각각의 확장의미가 복합어 형성에 어떻게 참여하는지 살펴보았다. 이와 같이 한·중 ‘보다/看(kàn)’류 시각행위동사 및 ‘먹다/吃(chī)’류 섭취행위동사 전반에 대한 검토를 통해 의미 확장의 원리를 밝히고 두 언어에서의 인지구조를 들여다 볼 수 있었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에서 다의동사 ‘보다’와 ‘먹다’의 확장의미를 범주화하고 의미항목 간의 관련성을 밝힘으로써 다의동사의 의미를 순차적으로 제시하고 학습하는 데에 정보를 제공하였다. 또한 대조분석의 결과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인지개념의 불일치에서 초래되는 어려움을 해소하고 중국인 학습자의 내재되어 있는 인지적, 문화적 경험을 깨울 수 있기 때문에 한국어의 다의어를 효율적으로 습득하는 데 도움이 된다.

참고문헌 (Reference)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