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 자료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어휘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에서는 한국교육 어휘를 의미 범주에 따라 분류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각 자료로 구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모색하였다. 1장에서는 한국교육 어휘를 제시하기 위해 활용하...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육 어휘를 의미 범주에 따라 분류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각 자료로 구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모색하였다. 1장에서는 한국어 교육 어휘를 제시하기 위해 활용하는 시각 자료의 언어적 표현 및 기능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한국어 교육 어휘를 시각 자료로 제시할 때 어휘가 지니고 있는 의미를 효율적으로 시각화하여 제시해야 할 필요성에 대해 피력하였다.
2장에서는 한국어 어휘를 교육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시각 자료의 개념과 다양한 역할 및 효율성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또한 시각 자료에 내재되어 있는 시각 기호가 어떠한 방법으로 어휘의 의미를 전달하는지 논의하기 위해서 기호학과 시각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앞에서 살펴본 시각 기호의 언어적인 기능을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 어휘를 시각화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 연구와 Lyons(1977)의 개체 순서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조남호(2003)에서 제시하고 있는 어휘를 시각화하기에 적합하도록 의미별로 분류하여 목록으로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어 온‧오프라인 교재에서 어휘를 제시하고 있는 시각 자료의 시각 기호를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먼저 글자, 그림, 사진, 표로 나누고 각각에서 나타난 시각화 양상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는 2장에서 개체별로 분류한 한국어 교육 어휘의 의미가 한국어 온‧오프라인 교재에서 어떻게 시각화하여 제시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어휘가 지니고 있는 의미를 시각화하기 위한 구현 방안을 제시하였다. 논의를 위해 3장에서 분석 대상으로 삼은 한국어 온‧오프라인 교재에서 제시하고 있는 어휘와 조남호(2003)에서 제시하고 있는 어휘를 대상으로 삼았다. 그리고 어휘의 의미 범주를 실체, 과정, 상황, 관계로 나누고 이를 효율적으로 시각화할 수 있는 구현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5장에서는 이 연구의 내용을 요약‧정리하고 그에 따른 결론과 의의 및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한국어 교육 어휘를 의미별로 분류하고 이를 바탕으로 어휘의 의미 범주에 따른 시각화 구현 방안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닐 것이다. 뿐만 아니라 한국어 어휘 교육에서 시각 자료가 갖는 언어적인 표현 양상을 시각 기호를 통해 논의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것이다. 또한 이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도 시각 자료의 표현 양상에 대한 논의를 시도할 수 있으리라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Vocabulary based on semantic category and visualize them. The first chapter points out the lack of discussion about the linguistic expression and function of visual material that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Vocabulary based on semantic category and visualize them.
The first chapter points out the lack of discussion about the linguistic expression and function of visual material that can be used for provid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Vocabulary. The necessity of this study is emphasized that the meaning of the vocabulary should be visualized in the case of provid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Vocabulary.
The second chapter deals with concepts, roles and effectiveness of visual materials that can be used for educating Korean Language Vocabulary. Some concepts of semiotics and visual communication design are also provided to show how the meaning of vocabulary is delivered through the visual sign on visual materials. In addition, the classification framework that can visualize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Vocabulary based on the linguistic function of the visual sign is provided.
The third chapter examines the visual sign of visual materials which are used for educating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Vocabulary on the textbooks. First, the visual aspect on letters, pictures, photos and graphs are explained. Next, the way of visualizing is also provided based on the classification framework identified in chapter two.
The fourth chapter suggests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visualization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Vocabulary. The meaning of vocabulary is categorized as substance, process, circumstances and relationship.
The fifth chapter offers the summary an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nd provides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This study shows the signification of analyzing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Vocabulary based on semantic category and suggesting on the visualization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Vocabulary. In addition, it also has significance of looking into the linguistic expression aspect of the visual materials in Korean Language Vocabulary Education through visual sign. It is hopeful that the expression aspect of visual materials on Korean Grammar Education may be applied based on this study.

韩语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