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을 위한 문법 교육 관점에서의 장르 중심 교수 내용으로서 학술 텍스트의 필자 태도 표현 교육이 필요하다는 전제 아래, 한국어 학술 텍스트 필자 태도 표현...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을 위한 문법 교육 관점에서의 장르 중심 교수 내용으로서 학술 텍스트의 필자 태도 표현 교육이 필요하다는 전제 아래, 한국어 학술 텍스트 필자 태도 표현의 범주를 설정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어 모어 화자의 학술 텍스트와 한국어 학습자의 학술 텍스트를 분석하여 학술 텍스트의 필자 태도 표현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연구이다.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의 요구가 점차 확장되는 가운데, 학술 텍스트 쓰기 교육은 학문 목적 학습자들에게 가장 중요하고 어려운 쓰기 과제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학술 텍스트 쓰기에 있어서 장르에 적절한 방식으로 필자 태도를 표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나 지금까지 연구에서는 세부적 표현에 대한 검토에만 그쳐 학술 텍스트 필자 태도 전반에 대한 포괄적인 논의는 부족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그간 체계기능언어학, 말뭉치 언어학, 영어교육의 논의에서 제시되었던 ‘필자 태도(stance)’ 개념을 장르 중심 교수를 위한 내용 범주로서 제안하였다. 학술 텍스트의 필자 태도는 학술 텍스트가 ‘객관적 논증’을 목적으로 하면서 객관적·격식적 문체를 추구함에 따라 객관적인 방식으로 효과적으로 필자의 관점을 논증하여야 하는 어려움을 갖는다. 또한 담화공동체 내에서의 용인이 중요함에 따라 이러한 규약을 갖추어 쓰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내용은 지금까지 문법 범주에서 필자/화자의 태도를 담당했던 ‘양태(modality)’ 범주를 통해 다루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담화 차원의 개념이 설정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체계기능언어학의 이론적 바탕 가운데 ‘특정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필자가 독자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드러내는 필자의 심리’로서 ‘필자 태도’의 개념을 설정한다. 이는 특정 사회문화적 상호작용의 맥락인 장르 가운데서 언어의 메타 기능 중 상호작용적 기능(interpersonal meaning)에 해당하며 언어 층위로는 담화의미론 층위의 개념이다. 또한 이러한 필자 태도를 실현하는 구체적인 어휘·문법 요소들을 ‘필자 태도 표현’으로 정의한다. 한국어에서 필자 태도 표현은 주로 평가적 의미를 갖는 어휘와 문장 종결부의 복합 구성, 담화 표지를 통해 나타난다. 본고에서는 인문사회 전공의 학술 텍스트 말뭉치를 한국어 모어 화자의 학술 논문과 고급 수준의 한국어 학습자가 작성한 학술 텍스트로 각각 수집하여 여기서 나타난 필자 태도 표현을 분석하였다. 먼저 모어 화자의 필자 태도 표현의 사용을 검토한 결과 한국어 필자 태도의 하위 범주는 크게 ‘평가적 태도’, ‘인식적 태도’, ‘상호작용적 태도’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평가적 태도’란 텍스트 내의 여러 대상에 대한 필자의 평가적 내용에 대한 범주이며, ‘인식적 태도’는 명제에 대한 필자의 주관적 위치에 대한 범주이며, ‘상호작용적 태도’는 독자와의 상호작용을 고려하는 데에 대한 범주이다. 이들 세 범주는 필자 태도를 분석하기 위한 제 관점을 제시해 주는 것으로, 각 범주의 기능은 필자 태도를 드러내기 위하여 긴밀히 관련되고 통합적으로 작용한다. 한국어 학술 텍스트에서 평가적 태도는 평가 어휘와 인용 동사, 논리·해석 동사를 통한 직접적인 방식과 정도 조절, 수량 조절, 초점 조절을 통한 간접적인 방식으로 나타나고 있다. 학술 텍스트에서는 정서적이거나 윤리적 판단에 대한 평가보다 대상에 대한 분석적 평가가 주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며, 또 직접적인 표현 외에 ‘필요성이 있다’와 같이 수량 표현을 통한 연어, ‘-지 않다/못하다’와 같은 긴 부정, 논리·해석 동사를 통한 대상 기술 등을 통해 객관적인 방식으로 필자의 평가를 드러내고 있다. 인식적 태도는 주로 문장 종결부에서 투영 구조와 양태 표현, 시상 표현을 통하여 나타났다. ‘-다/라고 볼 수 있다’와 같은 자기 투영 복합 구성은 인용하는 필자와 본래 발화자인 저자를 분리시킴으로써 필자가 다성적인 방식으로 주관적 위치를 드러내게 해 준다. 또한 필자는 양태 표현을 통해서 인식 주체로서, 시상 표현을 통해 사태에 대한 시점으로서의 주관성을 드러낸다. 이러한 표현을 통해 학술 텍스트의 필자는 객관적 태도를 유지하면서도 주관적 판단 주체로서의 위치를 유지하고 있었다. 상호작용적 태도는 독자가 텍스트를 이해하기 쉽게 하도록 필자가 텍스트에 개입하거나, 독자의 예상되는 견해를 고려하여 용인되는 명제의 범위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실현된다. 전자는 텍스트 차원의 상호작용적 태도로 독자에게 텍스트 구조와 목적, 선후 관계를 안내하고 내용 간의 접속을 나타내는 독자 지원과, 공유지식을 확인하고 필자의 해설을 부가하며 독자의 관심을 유도하는 독자 유도의 자원으로 나뉜다. 후자는 논증 차원의 상호작용적 태도로 대립적 관점을 고려하여 이를 인정하거나 필자의 주장을 한정하는 확장과 대립적 관점에 대해 반박하거나 다른 관점과의 차이를 변별적으로 나타내거나 독자의 예상되는 기대에 반하거나 심화시키는 축소로 나뉜다. 이와 같이 한국어 텍스트에서 나타난 필자 태도의 유형과 대비적으로 고급 수준 한국어 학습자의 학술 텍스트 20편에서 필자 태도 사용 양상을 살폈다. 학습자 텍스트에서 나타난 양상을 종합해 보면, 학술 텍스트에 걸맞는 객관적·격식적 표현을 사용하지 못하며, 다양한 필자 태도 표현을 통해 설득력 있는 논증을 구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또한 내용 지식 탐구를 통한 필자의 태도가 확립되지 않음에 따른 필자 태도의 부재 의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독자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여 일방적인 텍스트가 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한국어 텍스트와 학습자 텍스트의 양상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학술 텍스트 쓰기 교육을 위한 문법 교육으로서 필자 태도 표현 교육을 제안하였다. 현재 학문 목적 쓰기 교육의 현황을 검토한 결과 장르적 의사소통을 위한 구체적인 내용이 부족한 양상이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장르 중심 교수의 관점에서 맥락과 언어를 통합하기 위해 담화 의미 중심의 문법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관점에 따라 필자 태도 표현 교육의 목표는 필자 태도 표현에 대한 인식을 기르며 이를 적절히 이해하고 또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필자 태도 표현 교육 내용의 구성 요소로서는 전체 장르나 구성 단계에 대한 ‘맥락 지식’, 주제에 관한 ‘내용 지식’, 담화 의미의 실현을 위한 언어적 자원인 ‘언어 지식’을 선정하였다. 필자 태도 표현을 교수할 때에는 맥락과 내용, 언어에 대해 탐구가 먼저 이루어지고, 이후 재구조화와 선택항의 원리를 통한 언어 초점적인 교수가 이루어져야 한다. 다음으로 학습자 중심적 학술 텍스트 작성을 통한 장르적 의사소통을 경험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학술 텍스트의 장르적 특징이 되는 필자 태도 개념을 제안하고 그 구체적인 양상을 실제 한국어 텍스트 분석을 통해 도출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한국어 학술 텍스트 필자 태도 표현에 대한 분석은 한국어 학술 텍스트의 장르적 특성에 대한 분석으로서 의의가 있을 뿐만 아니라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을 위한 장르 중심 접근의 교육 내용으로서도 의의를 갖는다. 학술 텍스트 필자 태도 표현 교육을 통해 학습자들은 학술 장르에 대한 맥락적 특성에 따른 언어적 특성을 인식하게 되고 문법 항목으로서 이들의 요소의 의미와 기능을 습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