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is thesis, the problems that revealed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content knowledge through a review of variety aspects that Korean learners construct the content knowledge when they are writing. Consequently, they have inaccurate cognitio...
In this thesis, the problems that revealed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content knowledge through a review of variety aspects that Korean learners construct the content knowledge when they are writing. Consequently, they have inaccurate cognition of the contents of writing and are lacking in the content knowledge. Futhermore, they have difficulty constructing the content knowledge efficiently. That, eventually, bring about low quality of the writing output. Therefore, in this study, I designed an educational contents about constructing the content knowledge in Korean writing for improving learner's ability for constructing the content knowledge properly under the correct cognition of the writing contents.
For achieving this purpose I made use of literature research, method of preliminary knowledge test, Stimulated Recall, discourse analysis. At first, I considered discussion about the contents knowledge in writing, after that, examined preceding research. Futhermore, I looked the preliminary knowledge output through the preliminary knowledge test and discourse analysis by learner, and I compared and analyzed learner's output of writing in mother tongue and Korean to look the way how learners construct the content knowledge. I applied 'Stimulated Recall' to analyze the aspect of learner's constructing of the content knowledge in depth.
The contents of this thesis are the following;
In the first chapter, the objective and the necessity of this study are disclosed and also, preceding studies are examined. In the second chapter, the theory of writing is considered and shortage of discussion about content aspect in education of writing is analyzed critically. And through the studies on the content knowledge of writing in mother tongue and a second language, I looked at the role of the content knowledge in writing.
In the third chapter, the content knowledge that is treated in Korean writing is discussed technically. And for looking into the way how can we utilize and realize the content knowledge in the spot of Korean education, I looked the way how the activity for the content knowledge is suggested in the textbook which is used in the spot of education.
In the forth chapter, the aspect of the content knowledge of writing in mother tongue and Korean is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this, the problem that occurred when constructing the content knowledge of Korean writing is disclosed and the reason is analyzed. The aspect of learner's constructing of the content knowledge is the following; At first, learners have an inaccurate cognition about Korean writing. Also, they are lacking in understanding on the content knowledge of writing, and the ability of selecting, creating and organizing is lacking. Therefore they have difficulty constructing the content knowledge efficiently. Fron this cause, the necessity of education for constructing in writing is deducted.
In the fifth chapter, on the basis of preceding discussion, the educational contents for constructing the content knowledge is designed. To solve the problem that occurred during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contents knowledge, I categorized the educational contents as 'attitude', 'knowledge', 'method' and suggested details in according to each category.
Lastly, the sixth chapter concludes the thesis by arranging the contents discussed in all-round and disclosing the significance and limits of this study.
In this thesis, the aspect of learner's constructing the content knowledge in writing, on the basis of it, an educational contents that can help to construct the contents knowledge efficiently is suggested. By focusing on the content knowledge that is treated roughly until now, this study attempted to improve the content aspect's quality. Owing to this fact, the significance of this thesis is revealed. Futhermore, through comparison analysis between learner's writing data in mother tongue and Korean, an analysis of the aspect of constructing the contents knowledge is attempted. It is also the main point of this thesis.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쓰기를 할 때 어떻게 내용 지식을 구성하는가에 대한 여러 양상의 검토를 통해 그 과정에서 드러나는 문제점들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어 학습자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쓰기를 할 때 어떻게 내용 지식을 구성하는가에 대한 여러 양상의 검토를 통해 그 과정에서 드러나는 문제점들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어 학습자들은 쓰기 내용에 대한 인식이 정확하지 못하고 내용 지식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였으며 아울러 내용 지식을 효율적으로 구성하는 것을 어려워하고 있었다. 이는 궁극적으로 쓰기 결과물의 질이 부족한 결과를 가져왔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학습자들이 쓰기 내용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바탕으로 내용 지식을 적절하게 구성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한국어 쓰기에서의 내용 지식 구성에 대한 교육 내용을 설계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 연구, 사전 지식 검사 방법, 회상자극기법, 담화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먼저 쓰기에서 내용 지식에 대한 논의를 고찰한 후,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사전 지식 검사 방법과 담화분석을 통해 학습자가 인출한 사전 지식을 살피고, 학습자들이 내용 지식을 어떻게 구성하는지 살피기 위해 학습자의 모국어와 한국어 쓰기의 결과물을 비교 분석하였다. 학습자들의 내용 지식 구성 양상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회상자극기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각 장에서 논의한 내용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먼저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고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Ⅱ장에서는 쓰기 이론을 고찰하고, 쓰기 교육에서 내용적 측면에 대한 논의가 부족함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모국어 쓰기와 제2언어 쓰기에서의 내용 지식에 관한 연구들을 통해 쓰기에서 내용 지식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한국어 쓰기에서 다루어지는 내용 지식에 대해 기술적으로 논의하였다. 그 다음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내용 지식을 어떻게 활용하고 구현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교육 현장에서 사용되는 주요 교재 안에서 내용 지식에 관한 활동이 어떻게 제시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모국어와 한국어 쓰기에서의 내용 지식 구성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어 쓰기에서 내용 지식을 구성할 때 생기는 문제점을 밝히고 그 원인을 분석하였다. 학습자들이 쓰기에서 내용 지식을 구성하는 양상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학습자들은 한국어 쓰기에 대해 부정확한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쓰기에서 내용 지식에 관한 이해가 부족하였고, 모국어 쓰기에 비해 내용 지식을 선별, 창출하고 조직하는 능력이 부족하여 쓰기에 필요한 내용 지식을 효율적으로 구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로부터 쓰기에서 내용 지식의 구성을 위한 교육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Ⅴ장에서는 앞선 장의 논의를 바탕으로 쓰기에서 내용 지식 구성을 위한 교육 내용을 설계하였다. 교육 내용은 내용 지식 구성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태도’, ‘지식’, ‘방법’으로 범주화하고 각 범주에 따라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하였다. 마지막 Ⅵ장에서는 전반적인 논의에 대해 정리하고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밝히는 것으로 마무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이 쓰기에서의 내용 지식 구성 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내용 지식을 효율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교육 내용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그간 쓰기 교육에서 소홀히 다루어졌던 내용 지식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글의 내용적 측면의 질적 향상을 꾀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그리고 학습자들의 모국어와 한국어 쓰기 자료의 비교 분석을 통해 내용 지식 구성 양상의 분석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도 큰 의의가 있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