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s to compare and contrast Korean double-subject sentences, topicalization constructions and Chiese S-P predicate sentences, using a contrasting method. Concrete examples of Korean double-subject sentences and topicalization constructions a...
This is to compare and contrast Korean double-subject sentences, topicalization constructions and Chiese S-P predicate sentences, using a contrasting method. Concrete examples of Korean double-subject sentences and topicalization constructions are provided first and then corresponding Chinese examples will be found out to give a comparison with those in Korean. And therefore the main prupose of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provide a new and wider perspective to the work dealing with Korean and Chinese double subject sentences and topicalization constructions in future.
This is consisted of six chapters. In chapter 1, by looking at some pre-researches related to this title, we will provide the achievements as well as the remaining problems or limits around this task, based on which we will present the purpose and goal of this , the target we want to achieve and the research method we want to use. And Chapter 2 provides a range of basic concepts of Korean double subject sentences and topicalization constructions, the subdivision and the syntactic structure of Korean double subject sentences. Chapter 3 works on the definition and differences of a given Chinese subject and topic, and will examine the range of Chinese S-P Predicate sentences. And after that, In Chapter 4, Korean double subject sentences are divided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ir predicates and the semantic rel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noun, which are ‘그 차가 속도가 빠르다’ type, quantifier sentences, psychological sentences and the presence sentences. And also the corresponding Chinese S-P Predicate sentences are presented to offer a comparative and contrastive work between the two of them. At last Chapter 5 will be dealing with Korean topicalization sentences and Chinese S-P Predicate sentences in a similar way. Chapter 6 comes to the conclusion and the end of this article.
본고에서는 대조언어학의 방법을 취하여 한국어 이중주어문과 주제화문을 중국어 주술술어문과 대조비교를 하였다. 한국어 이중주어문과 주제화문의 구체적인 예문을 들고 그것은 중국어...
본고에서는 대조언어학의 방법을 취하여 한국어 이중주어문과 주제화문을 중국어 주술술어문과 대조비교를 하였다. 한국어 이중주어문과 주제화문의 구체적인 예문을 들고 그것은 중국어에서의 대응된 구문을 찾아 대조비교를 하였다. 이런 비교대조 연구를 통해서 한국어 이중주어문과 주제화문 현상을 이해하고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본 논문은 여섯 장으로 나누었다. 1장에서는 한국어 이중주어문과 중국어 주술술어문에 관한 선행연구를 먼저 살펴봄으로써 이 과제에 대해 기존연구에서 검토한 성과 또는 보완해야 할 점 등을 정리하였고 이를 토대로 본 논문에서 해결할 문제점, 연구 목적과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한국어 이중주어문과 주제화문에 관한 기초적인 개념과 이중주어문의 범위, 하위분류, 이중주어문의 통사구조 설정을 살펴보았고 3장에서는 주로 중국어 주술술어문에 대해 중국어에서의 주어의 정의 그리고 주어와 주제의 관계, 중국어 주술술어문의 범위를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한국어 이중주어문을 첫 번째 명사구와 두 번째 명사구 간의 의미관계, 서술어의 유형 등에 따라 이중주어문을 ‘그 차가 속도가 빠르다’ 유형, 수량사 구문, 심리 상태 구문과 존재 구문이라는 네 가지 유형별로 나누어 그들의 특징을 살펴보았고 또한 이와 대응되는 중국어 주술술어문을 찾아내서 이중주어문과 주술술어문을 대조비교를 하였다. 5장에서는 한국어 주제화문을 두 가지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즉, ‘-은/는’주제가 뒤에 오는 평언 부분과 일정한 문법관계에 놓이는 경우와 그러지 않은 경우이다. 이 두 가지 경우에 각각 한국어 주제화문과 중국어 주술술어문을 대조비교를 해 보았다. 6장은 결론 부분이다.
,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