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르 중심 교수가 한국어 학습자의 석사학위 논문 쓰기에 미치는 효과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n genre-based instruction on writing a master’s thesis in Korean by foreign graduate students. As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are increasing,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n genre-based instruction on writing a master’s thesis in Korean by foreign graduate students. As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are increasing,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learners are required to create a master's thesis in Korean. In order to be admitted by the discourse community, they experience the difficulties of writing qualifications. The effect was confirmed by five foreign graduat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writing of methodology, results and conclusion in Korean. The participants learned the structure and content through moves and steps of the proposed model. After the writing class finished, a researcher provided feedback to the participants. The writing could be obtained by modifying the article. And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s of participants have examin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showed a significant change in the structure and content writing through methodology, results and conclusion experimental class. The structure was equipped with moves and steps in the model and was more suitable through the feedback of the researcher.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ent was reconstructed according to research topics of participants. Second, the score in writing skills of the participant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articipants’ scores changed more sharply through the feedback. Finally, they changed into a positive perception by proceeding the class. Thus, genre-based instruction could apply a positive effect to the writing of a master’s thesis.
The study offered a way that allows learners to easily write a master’s thesis. Furthermore, the model of writing a master’s thesis helped participants to write a thesis easily. In addition, it is able to create writing materials. However, studies remain limited to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majors. Moreover, the number of participants is small. Therefore, I hope to pay attention to these points in a subsequent study.

연구의 목적은 장르 중심 교수한국어 학습자의 석사학위 논문 쓰기미치효과 연구이다. 학문 목적 학습자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인문․사회계열의 학습자들의 경우 석사...

본 연구의 목적은 장르 중심 교수한국어 학습자의 석사학위 논문 쓰기미치효과 연구이다. 학문 목적 학습자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인문․사회계열의 학습자들의 경우 석사학위 논문을 한국어로 작성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담화 공동체가 인정하는 글을 쓰기란 쉽지 않기 때문에 한국어 학습자들은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에 한국어 학습자에게 석사학위 논문 쓰기 수업을 진행함으로써 보다 수월하게 학습자들이 논문을 쓸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그 효과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해서 확인해 보았다. 특히 선행연구에서 분석한 한국어교육 분야 석사학위 논문의 연구방법, 결과, 결론의 일반화된 모형과 정형화된 표현을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교수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려고 한다. Ⅱ장에서는 장르와 장르 중심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통해서 본 연구의 연구 문제를 도출하였다.
Ⅲ장에서는 위와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어교육 전공 석사학위 논문을 쓰는 한국어 학습자 5명을 대상으로 실험 수업을 진행하였다. 첫 실험 수업과 마지막 실험 수업에는 설문지와 면담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의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연구방법, 결과, 결론 수업을 각각 2번씩 진행하면서 모형에 제시된 이동마디와 단계를 배우고, 정형화된 표현을 학습하였다. 두 번의 수업이 끝나면 연구 참여자들에게 연구자의 피드백을 제공하고 글을 수정하여 결과물을 얻을 수 있었다. 이 쓰기 결과물을 통해 장르 중심 교수가 한국어 학습자의 석사학위 논문 쓰기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이를 통해서 분석한 결과에 대해서 보았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방법, 결과, 결론 쓰기 결과물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연구 참여자들의 쓰기 결과물이 구조와 내용에 있어서 큰 변화를 보였다. 실험 수업 전후로 쓰기 결과물의 구조가 모형에 맞게 이동마디와 단계의 구조를 갖추었고, 연구자의 피드백을 통해서 더 적합한 구조로 변화하였다. 내용도 마찬가지로 연구 참여자들의 주제에 맞게 적절하게 재구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서 장르 중심 교수가 석사학위 논문을 쓰는 데에 효과가 있다고 해석해 볼 수 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의 논문 쓰기 능력의 변화를 점수를 통해서 확인한 결과 점수가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수업 전후로 연구 참여자들의 점수가 큰 폭으로 증가하였고, 연구자의 피드백을 통해서도 점수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즉, 장르 중심 교수가 연구 참여자들의 석사학위 논문 쓰기에 대한 지식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실험 수업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의 긍정적인 인식의 변화를 확인해 볼 수 있었다. 실험 수업의 첫 수업과 마지막 수업에 설문지와 면담을 통해서 연구 참여자들의 인식을 확인해 본 결과 장르 중심 교수가 연구 참여자들의 인식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처럼 장르 중심 교수의 필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장르 중심 교수를 연구방법, 결과, 결론 쓰기에 적용해 봄으로써 학습자들이 수월하게 논문을 쓸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하였기에 그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한국어교육 석사학위 논문 쓰기의 구조와 내용을 제공하였기에 추후에 이를 기초 자료로 하여 한국어 학습자들이 논문을 쓸 수 있도록 실질적인 도움을 주었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논문 쓰기 교재를 제작해 볼 수도 있다는 점에서 또 그 의의가 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면에서 몇 가지 제한점을 가진다. 첫째, 연구 대상이 한국어교육 전공 분야에만 국한되어 있다는 점, 둘째, 연구 참여자의 수가 적다는 점, 셋째, 한국어교육 분야 석사학위 논문에 적합한 모형과 정형화된 표현이 모두 있었지만 이를 모두 교수할 수 없었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후속 연구에서는 다른 전공에 대한 장르 분석이 이루어져서 그에 알맞은 모형과 정형화된 표현을 분석하고 각 전공에서 보다 수월하게 한국어 학습자들이 논문을 쓸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또, 더 많은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양적 연구가 진행되어서 연구의 효과를 입증해 보고, 석사학위 논문이라는 장르를 제대로 교수할 수 있는 적합한 교육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고, 이를 진행할 수 있는 실제 수업이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이 모든 제한점과 제언에 주목하여 장르 중심 교수와 그와 관련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서 학문 목적 쓰기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