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관용 표현의 교재 구성 연구 : 한ㆍ중 관용 표현의 번역을 바탕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本探讨以学习韩国语的中国人为对象,目的在于设计灵活应用中文翻译的韩国语惯用语的实际教材,以更加有效地进行韩国语惯用语教育。为此,本文选取9种韩国语教材中出现的惯用语为研...

本探讨以学习韩国语的中国人为对象,目的在于设计灵活应用中文翻译的韩国语惯用语的实际教材,以更加有效地进行韩国语惯用语教育。为此,本文选取9种韩国语教材中出现的惯用语为探讨资料,针对教育的实际情况进行调查和略论,最后落脚于惯用语翻译,与韩国语教育相结合,为有效进行惯用语教育的实践活动奠定基础。
本探讨得出的主要成果如下。
第一,发现了韩国语惯用语教育中存在的问题,并略论研讨了中国学生认为韩国语惯用语较难的原因。首先,教材的问题有两点。一是对惯用语的认识问题,二是提供惯用语措施上的问题。中国学生不了解教材中一般词组和连语、惯用语之间的区别,应该对此进行区分并注明。惯用语应注明其原形,并且教材中同时出现多个惯用语时,惯用语之间需有相互关联性(同义或反义),素材相同,翻译措施相同,这就是统一惯用语难易度的措施。
下面从六个方面略论中国学生认为韩国语惯用语较难的理由。①韩国语惯用语反映韩国的文化、历史和社会百态。由于学习韩国语的外国人的文化、历史、社会背景与韩国人不同,因此可能很多时候无法理解韩国语惯用语。②构成惯用语的词汇方面的问题。由于惯用语中包含许多固有词,因此很多韩国语学习者先入为主地认为学习起来较难。③惯用语不仅表达上下文中的惯用意义,而且根据上下文,惯用意义会发生变化,这也是一个难点。④学习者会受到母语作用。韩国语和中文的惯用语在形态上完全不同,所以难以从上下文中理解惯用语的影响和意义。⑤学习韩语的外国学生主要是在教室较少。⑥韩国语惯用语中有许多形态、句法方面的制约。汉语惯用语和韩国语惯用语在分离、插入、重叠、语序倒置、省略等形态、句法等方面差别较大。
第二,调查、收集了9种韩国语教材中出现的惯用语,进行了韩中翻译的等价状态的具体研讨、分类。首先,对所调查的惯用语的分布进行略论得出,(1)与人相关的惯用语最多,占64.9%,其中,以身体部位为素材的惯用语最多。(2)与事物相关的惯用语占12.3%,韩语论文网站,(3)与自然相关的惯用语占9.8%,(4)与时间、空间相关的占4.9%,(5)与动植物相关的占3.7%。
第三,探究出一个充分从学生角度出发的新的惯用语教育措施。将韩国语惯用语与等价翻译理论相结合,把所有调查收集的惯用语分为4种翻译类型,即完全等价(totale aquivalenz),近似等价(approximative aquivalenz),一对多等价(one-to-many aquivalenz),韩语论文范文,零等价(zero-aquivalenz)。翻译形式的难易度决定了编订韩国语教材时惯用语的等级。根据翻译形式的难易
度,从简单的开始教,这才是真正以学习者为中心的教育,也可以说,这是一种充分考虑学习者理解能力的措施。
本文对9种韩国语教材中出现的325个韩国语惯用语进行翻译形式分类,结果显示:①完全等价(94个, 28.9%), ②近似等价(59个, 18.2%), ③一对多等价(27个, 8.3%), ④零等价(145个, 44.6%)。略论的资料可以为实际韩国语教学和学习、探讨提供基础资料。
第四,韩国语惯用语的汉语翻译通过查询各种词典资料确定,词典中查找不到的,则根据问卷调查确定(调查对象为在韩国取得硕士以上学位的中国人)。这些措施能够确保翻译的准确性和可信性,并将成为以后编纂新的韩·中惯用语词典的基础。
第五,利用韩国语惯用语的翻译形式略论结果,设计了适合各种韩国语阶段的具体的教学、学习活动。这种具体的探讨结果将对中国国内韩国语教材以及韩国国内以中国人学习者为对象的教材编订起到实质性的积极影响。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관용 표현의 효율적인 교육을 위해서 중국어 번역을 활용한 한국어 관용 표현의 실제 교재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관용 표현의 효율적인 교육을 위해서 중국어 번역을 활용한 한국어 관용 표현의 실제 교재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어 교재 9종에 나타난 관용 표현들을 대상 자료로 삼아 교육의 실제에 대하여 조사ㆍ 분석하였으며, 궁극적으로 관용 표현의 번역을 기저에 두고 한국어교육과 접목시킴으로써, 효과적인 관용 표현 교육의 실제 활동을 마련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주요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용 표현 교재 구성상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밝히고,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관용 표현을 어려워하는 이유를 분석ㆍ검토하였다. 먼저, 교재 구성상의 문제점은 두 가지로 파악하였다. 첫째는, 관용 표현에 대한 인식 문제이고, 둘째는 관용 표현의 제시 방법상의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중국인 학습자들은 교재의 일반적인 표현과 연어 표현, 그리고 관용 표현 간의 차이를 잘 알지 못하므로 구분하여 제시해줄 필요가 있다. 관용 표현은 기본형을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관용 표현의 묶음을 제시할 경우에는 상호 연관성(동의 또는 상반)을 보이는 관용 표현을 함께 제시하거나 또는 동일한 주제어이면서 같은 번역 양상을 보이고, 같은 난이도에 속하는 관용 표현은 함께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관용 표현을 어려워하는 이유는 6가지 정도로 분석된다. ① 한국어 관용 표현은 한국의 문화, 역사, 사회상을 반영하고 있다. 한국어 학습자들은 살아온 문화, 역사, 사회가 한국인과 다르기 때문에 한국어 관용 표현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② 관용 표현을 구성하는 어휘적인 문제가 있다. 관용 표현은 고유어가 많이 등장하므로 한국어 학습자들은 어렵다는 부정적인 선입견을 갖는다. ③ 관용 표현은 문맥 속에서 관용 의미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문맥에 따라서도 관용 의미가 달라지기 때문에 어렵다고 여긴다. ④ 관용 표현은 학습자 모국어의 영향을 받는다. 한국어와 중국어의 관용 표현은 형태상 전혀 다른 구성을 보이므로 문맥 속에서 관용 표현의 역할 및 의미를 이해하기가 어렵다. ⑤ 한국어 학습자들은 교실을 중심으로 하는 제한된 생활 반경 내에서만 주로 관용 표현을 접하며, 한국 원어민에 비해 관용 표현에 자주 노출되지 않기 때문이다. ⑥ 한국어 관용 표현에는 여러 가지 형태·통사적인 제약이 따른다. 중국어 관용 표현은 분리 및 삽입, 중첩, 어순 도치, 생략 등 형태·통사적인 제약에 있어서 한국어 관용 표현과 큰 차이를 보인다.
둘째, 9종의 한국어 교재에 출현하는 관용 표현을 모두 조사ㆍ수집하여 이들에 대해 한ㆍ중 번역의 등가 양상을 구체적으로 검토ㆍ분류하였다. 우선, 조사된 관용 표현들의 분포를 검토한 결과, (1) 사람과 관련된 관용 표현이 64.9%로 가장 많았으며, 그 중에서도 신체 부위를 주제어로 하는 관용 표현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그 다음이 (2) 사물 관련 관용 표현으로 12.3%, (3) 자연 관련 관용 표현이 9.8%, (4) 시공간 관련 표현이 4.9%, (5) 동식물 관련 표현이 3.7%와 같은 순위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자의 입장을 고려한 관용 표현 교육의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였다. 한국어 관용 표현과 등가 번역 이론을 접목시켜 전체 조사ㆍ수집한 관용 표현들을 4가지 번역 양상 즉, 完全등가 (totale aquivalenz), 近似등가 (approximative aquivalenz), 一對多등가 (one-to-many aquivalenz), 零등가 (zero-aquivalenz)로 분류하였다. 관용 표현을 모국어로 번역하는 과정의 난이도 기준이 한국어 교재를 구성할 때 위계화를 도모할 수 있는 이론적인 토대를 마련하였다. 번역 양상에 따라 난이도를 정하고 쉬운 것부터 가르치는 것이야말로 진정으로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라 할 수 있으며, 이것이 학습자의 이해 능력을 충분히 배려하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325개의 한국어 관용 표현에 대해 중국어로 대응되는 양상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① 완전등가(94개, 28.9%), ② 근사등가(59개, 18.2%), ③ 일대다등가(27개, 8.3%), ④ 영등가(145개, 44.6%)로 분석되었다. 분석된 자료는 실제 한국어교육에서 교수와 학습 및 연구에 기초 자료가 된다.
넷째, 한국어 관용 표현의 중국어 번역은 공인된 여러 사전(詞典) 자료를 조사해 결정하였으며, 사전에 등재되지 않은 관용 표현의 중국어 번역은 한국에서 석사학위 이상을 취득한 중국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근거하여 이루어졌다. 이러한 작업은 번역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이면서 향후 새로운 한ㆍ중 관용 표현의 사전 편찬을 위한 초석이 될 것이다.
다섯째, 한국어 관용 표현의 번역 양상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한국어교육에서 구체적인 교수ㆍ학습 단계별 학습 활동을 설계해 제시하였다. 이런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중국내 한국어 교재 구성, 또는 한국 내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교재 편찬에 있어서 실질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주제어: 관용 표현, 한국어교육, 한국어 교재, 중국인 학습자, 번역 양상, 등가, 학습 활동, 한·중 관용 표현, 난이도, 교재 구성.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