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매체를 활용한 한국어 능력 향상 방안 연구 : 문화를 통한 의사소통 교육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언어의 기본적인 목적은 의사소통에 있다.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언어적, 비언어적 측면과 함께 문화적 측면도 중요하다. 이에, 이 연구는 다양한 언어권의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한국...

언어의 기본적인 목적은 의사소통에 있다.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언어적, 비언어적 측면과 함께 문화적 측면도 중요하다. 이에, 이 연구는 다양한 언어권의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한국문화를 영상매체를 이용하여 좀 더 쉽고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더 나아가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매체 중에서 한 개의 구체적인 영상매체를 선정하여 문화를 통한 의사소통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주변 국가 학습자에 국한되어 있던 학습자층이 인터넷의 발달로 한국의 드라마와 영화, 그리고 음악이 전 세계적으로 퍼져 나가고 한국기업의 인지도가 높아짐에 따라 한국어교육을 원하는 학습자층도 다양하게 늘어났다. 그만큼 한국어교육도 질적, 양적으로 발전해 왔다.
하지만 최근 외국인 유학생 수가 2년 연속으로 감소했다. ‘전 교육인적자원부’에서는 그 원인 중에 하나로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에서 생활하면서 느끼는 문화적 쇼크를 꼽고 있다. 이는 실질적 한국어교육에서 소통을 위한 문화교육의 필요성이 더욱 요구된다는 뜻이다. 문화적 쇼크에서 오는 부작용을 최소화시키며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방안 연구가 시급하다.
최근 학습자 중에는 영상매체를 통한 관심과 호기심으로 시작하여 한국어학습을 시작한 학습자들이 많다. 하지만 본격적인 한국어학습에서는 학습자들의 욕구를 충족할 만한 영상매체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부분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영상매체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그래서 영상 매체 중에서 ‘TV 동화 빨간 자전거’를 선정하여 중급, 고급으로 나눠서 실제 한국어 수업시간에 활용 가능할 수 있도록 한국문화를 통한 소통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1장에서는 한국어교육에서 문화교육에 대한 연구 목적과 방법 및 선행 연구를 고찰하였으며 본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문화교육의 필요성과 문화와 의사소통과의 상관관계를 제시하고 영상매체의 특징과 교육적 효과에 대해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영상매체 선정 기준을 세워 그 기준에 적합한 영상매체인 ‘TV 동화 빨간 자전거’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복합교재에 수록된 문화 관련 내용을 조사하는 한편 이번 연구에서 쓰일 한국문화 교육 항목을 선정하였다. 또한, Allan과 Williams의 수업 모형을 토대로 중급과 고급 수업 모형을 만들고 중급 수업지도안과 고급 수업지도안을 만들고 이를 가지고 실질적 한국어 수업을 해 봤다. 이를 통해 실제 수업에서 중급 학습자와 고급 학습자들에게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이번 연구를 정리하고 연구의 목적, 의의 그리고 제한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한국어를 목표 언어로 학습하고 있는 학습자들에게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해 한국 문화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영상매체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선정한 영상매체를 활용한 수업모형과 실제 수업에서 활용될 수 있는 교수학습방안을 제시하였다. 앞으로 실질적으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영상매체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더 많은 유형의 의사소통을 위한 한국 문화 수업 방안이 개발돼야 할 것이다.

The primary purpose of language is communication. Not only linguistic and nonverbal factors, but also cultural factors are important in carrying out smooth communication. With regard to this, this study uses visual media related to Korean culture to s...

The primary purpose of language is communication. Not only linguistic and nonverbal factors, but also cultural factors are important in carrying out smooth communication. With regard to this, this study uses visual media related to Korean culture to support the understanding of Koreans, specifically for those of various cultural backgrounds who are studying the Korean language.
Moreover, among the various educational videos that focus on improving communication, this study has selected one specific video to present as a concrete example of a visual media culture curriculum. Existing learners of Korean language were previously limited to people of neighboring countries, but the spread of Korean dramas, movies, and music with the help of the internet has increased the number of people around the world who want to learn the Korean language. As a result,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developed in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asures.
However,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coming to Korea has decreased for two consecutive years.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one of the reasons could be the ‘culture shock’ experienced by foreign students living in Korea. This implies that the education of culture is crucial for teaching Korean language to overseas students. It is urgent that we research the solutions that can minimize the side effects generated by culture shock and improve students’ ability to communicate.
Recent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are mostly motivated by their interests and curiosity toward Korean media. Formal edu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however, is still insufficient at using visual media to fulfill the desires of learners. Accordingly, this study has selected the heartwarming TV animation, The Red Bicycle and divided it into three different levels to use in actual Korean language classes.
In Chapter 1, this proposes the direction of research on teaching the Korean language using culture education by considering the purpose of the study, study methods, and the previous research.
In Chapter 2, this emphasizes the necessity of culture education and suggests the correlation between culture and communication, as well as 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media and the effects of its use in education.
In Chapter 3, this study establishes the standards for selecting visual media and justifies the selection of the TV animation The Red Bicycle based on those standards. This study also researches cultural contents found in existing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to select items to be used. Intermediate and advanced class models and corresponding teaching guides were created based on the Allan and Williams class model.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posed curriculum in actual classes, the analyzes the different effects of the visual media-based culture lessons on both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This looks at the selected visual media to see if it matches the standards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established in Chapter 2. Furthermore, this analyzes visual media that contain Korean culture education items that fit the established standards and select broadcasted works that are suitable as culture education media. Like this, the visual media was classified according to cultural content and this presents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class models using the selected visual media.
For this research, actual classes were conducted, targeted toward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students using appropriate level teaching-learning methodologies. This also analyzes and presents the effects on the students of the classes and their reactions to the materials.
In Chapter 4, we arrange and suggest the purpos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the direction of the study. This research has chosen the visual media that can effectively deliver Korean culture to Korean language learners to help them improve their communication skills. In addition, the study proposes that teaching-learning methodologies that can be used in actual classes and proposes a class model using the selected visual media. For the future, a variety of visual media should be developed for use in actual class environments. Furthermore, Korean culture classes should be developed to suit the wide variety of communication scenarios.

免费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