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와 중국어 재귀사에 대한 대조 연구 : - ‘자기, 자신, 저(제), 당신’과 ‘自己’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中文摘要 慶熙大學 大學院 國際韓國語文化專業 馮筠竹 本文以語言類型論為基礎,主要考察了韓語反身代詞和漢語反身代詞在形態和功能方面的相同點和不同點,旨在為教育中國學...

中文摘要

慶熙大學 大學院
國際韓國語文化專業
馮筠竹


本文以語言類型論為基礎,主要考察了韓語反身代詞和漢語反身代詞在形態和功能方面的相同點和不同點,旨在為教育中國學生打下基礎。與此同時,通過問卷調查的方式,發現中國學生與母語話者(韓國人)之間對於韓語反身代詞的認知差異,希望通過調查略论,教師在教授中國學生韓語反身代詞之時,韩语论文题目,可以給予壹定的幫助並減少學生對於韓語反身代詞的混淆。
關於韓語反身代詞和漢語反身代詞在形態和功能上的差異,具體概括如下。
從形態方面來說,韓語反身代詞有‘자기’, ‘자신’, ‘저(제)’, ‘당신’4個。漢語反身代詞為‘自己’。作為復合形態的反身代詞之時,韓語反身代詞‘자신’,‘당신’和漢語反身代詞‘自己’都在名詞短句之後出現,即‘NP/反身代詞’的形式。相反,韓語反身代詞‘자기’和‘저(제)’都在名詞短句之前出現,即‘反身代詞/NP’的形式。在冠形格形態方面,韓語反身代詞‘자기’與漢語反身代詞‘自己’相同,其之後所跟的冠形格助詞‘의’或‘的’可加可不加。相反,韓語反身代詞‘자신’和‘당신’必須要加上冠形格助詞‘의’。在復數形態方面,韓語反身代詞有兩種形式。壹種是在反身代詞之後加上表示復數形式的助詞‘-들’,即‘자기(들), 자신(들), 저희(들), 당신들’的形式,值得註意的是,反身代詞‘저(제)’在表示復數時,‘저’先變成‘저희’,然後再加上復數形式的助詞‘-들’。除此之外,‘자기, 자신, 저’在表示復數時,復數形式助詞‘-들’可加可不加,但‘당신’在表示復數時,必須加上復數形式助詞‘-들’。漢語反身代詞‘自己’要表示復數形式之時,與韓語反身代詞‘당신’相同,必須要加上復數後綴‘-們’。
從功能方面來說,在回指功能上,韓語反身代詞和漢語反身代詞都可以回指近距離的先行詞,也可以回指遠距離的先行詞。在強調功能上,韓語反身代詞‘자기’, ‘자신’,‘당신’和漢語反身代詞‘自己’具有強調功能,但‘저(제)’不具備強調功能。在泛指功能方面, 只有韓語反身代詞‘자기’, ‘자신’和漢語反身代詞‘自己’具有泛指功能。
本文為了了解中國學生和母語話者之間對於韓語反身代詞的認知差異,進行了問卷調查。問卷通過SPSS統計略论的方式得到了以下的結果。第一,調查問卷中,調查對象的成績與其等級有關,等級越高,韩语论文,分數越高。第二,4級,5級,6級的中國學生和母語話者之間,不管是平均總成績還是每壹類型的問題上,都有較大差異。
最後,本文以上述內容為基礎,針對中國學生,提出了與韓語反身代詞相關的教案。


關鍵詞:反身代詞,語言類型論,回指,泛指,強調,反身代詞的分布,反身代詞的功能,語法判斷測試

국문 요약 한국재귀사와 중국재귀사에 대한 대조 연구 - ‘자기’, ‘자신’, ‘저(제)’, ‘당신’과 ‘自己’ 중심으로 -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국제한국언어문화학과 풍윤...

국문 요약

한국어 재귀사와 중국어 재귀사에 대한 대조 연구
- ‘자기’, ‘자신’, ‘저(제)’, ‘당신’과 ‘自己’ 중심으로 -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국제한국언어문화학과
풍윤주

본고는 언어 유형론을 토대로 한국어 재귀사와 중국어 재귀사의 형태 및 기능을 대조하여 중국인 학습자에 대한 한국어 교육에 토대를 마련하려는 목적에서 작성되었다. 중국인 학습자와 모어 화자 간의 한국어 재귀사에 대한 지식 차이를 밝혀 교사가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교육할 때 중국인 학습자가 재귀사에 대해 겪을 수 있는 혼란을 줄이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한·중 재귀사의 형태를 대조하여 말하면 한국어 재귀사에는 ‘자기’, ‘자신’, ‘저(제)’, ‘당신’이 있고 중국어 재귀사에는 ‘自己’가 있다. 복합 형태로서 한국어 재귀사 ‘자신’, ‘당신’과 중국어 재귀사 ‘自己’는 모두 명사구 뒤에 나타나 ‘NP/재귀사’의 형식이 된다. 반면에 ‘자기’와 ‘저(제)’는 명사구 앞에 나타난다. 즉, ‘재귀사/NP’의 형식이다. 관형격 형태에서는 한국어 재귀사 ‘자기’는 중국어 재귀사 ‘自己’와 마찬가지로 관형격 조사 ‘의’ 혹은 ‘的’가 있어도 되고 없어도 된다. 그러나 ‘자신’과 ‘당신’은 반드시 관형격 조사 ‘의’를 붙여 써야 한다. 재귀사 ‘저’를 관형사로 쓸 때 ‘제’로 써야 한다. 또한 한국어 재귀사 ‘자기’는 존비 관계를 표현할 수 있는 형태가 있다. 즉, ‘자기’의 존대 형태는 ‘당신’이고 낮춤 형태는 ‘저(제)’이다.
복수 형태에는 복수 접미사 ‘-들’을 붙여 쓰는 경우와 ‘- 들’을 붙여 쓰지 않는 경우가 있다. 한국어 재귀사 ‘자기’, ‘자신’, ‘저(제)’와 ‘당신’을 복수로 표현할 때에는 뒤에 복수 접미사 ‘-들’을 붙여 써야 하지만, 붙여 쓰지 않는 경우도 존재한다. 그러나 재귀사 ‘당신’을 복수로 표현할 때 반드시 복수 접미사 ‘-들’을 붙여 써야 한다. 중국어 재귀사 ‘自己’를 복수 형태로 표현할 때에는 한국어 재귀사 ‘당신’과 마찬가지로 반드시 복수 접미사 ‘-們’을 써야 한다.
한·중 재귀사의 기능을 대조하여 말하면 재귀 지시에서는 한·중 재귀사가 모두 장거리 선행사와 근거리 선행사를 지시할 수 있다. 한국어 재귀사 ‘자기’, ‘자신’, ‘당신’과 중국어 ‘自己’는 강조 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저(제)’는 강조 기능이 없다. 그리고 두루 가리킴의 기능은 한국어 재귀사 ‘자기’, ‘자신’과 중국어 재귀사 ‘自己’만 가지고 있다.
본고는 중국인 학습자와 모어 화자가 한국어 재귀사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는지를 측정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SPSS통계 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테스트에서 문제 유형별에 따라 학습자의 점수와 등급은 서로 상관관계를 보이며 등급이 올라갈수록 점수도 높아졌다. 둘째, 4, 5, 6급 중국인 학습자와 모어 화자 사이에 평균 총점과 문항 유형별의 평균 점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한중 재귀사 대조의 내용과 설문조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인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재귀사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핵심어: 재귀사, 언어 유형론, 재귀 지시, 두루 가리킴, 강조, 재귀사의 분포, 재귀사의 기능, 문법성 판단 테스트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