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남미 스페인어권 초급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발음에 집중하여 이들의 발음을 실험음성학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한국어 모어 화자와의 차이를 밝힘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중남미 스페인어권 초급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발음에 집중하여 이들의 발음을 실험음성학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한국어 모어 화자와의 차이를 밝힘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중남미 스페인어권 학습자의 단모음 음성 산출을 통한 청취 실험과 음향음성학적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청취 실험에서는 중남미 스페인어권 학습자 30명이 산출한 단모음 발음을 한국어 모어 화자들에게 들려주어 한국어 단모음과 유사하게 들리는지에 대한 청취 평가를 진행하였다. 이어서 음향음성학적 실험에서는 중남미 스페인어권 학습자 30명과 한국어 모어 화자 30명의 한국어 단모음 발음을 녹음한 후, 음성 분석 프로그램인 프라트(Praat)를 이용하여 집단 별로 각 단모음의 주파수 F1, F2, F3 값을 추출하여 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미한지 살펴보았다. 두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청취 실험의 결과를 살펴보면, 한국어 모어 화자가 들었을 때 중남미 스페인어권 학습자가 산출한 /ㅏ/ 발음이 한국어 단모음 /ㅏ/ 발음과 가장 유사하게 들리는 모음으로 평가되었고, 학습자가 산출한 /ㅓ/ 발음은 가장 유사하지 않은 소리로 들리는 모음으로 평가되었다. 한국어 모어 화자는 중남미 스페인어권 학습자의 단모음 산출이 /ㅏ/, /ㅣ/, /ㅐ/, /ㅔ/, /ㅡ/, /ㅗ/, /ㅜ/, /ㅓ/의 순서로 한국어 단모음의 본래 발음과 유사하다고 평가하였다. 특히, 하위권에 있는 /ㅓ/, /ㅗ/, /ㅜ/의 경우, 세 모음이 서로 큰 차이가 없이 비슷하게 들린다고 평가되었는데 이 결과를 바탕으로 중남미 스페인어권 학습자들이 /ㅓ/, /ㅗ/, /ㅜ/ 모음을 한국어 조음 방법에 맞는 발음으로 산출하지 못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음향음성학적 실험을 통하여 중남미 스페인어권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가 산출한 한국어 단모음 발음을 분석하였다. /ㅏ/의 경우는 여성 학습자의 F2 평균값이 한국어 모어 화자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는데, 이는 학습자의 /ㅏ/가 한국어 모어 화자보다 전설 모음으로 산출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ㅓ/ 발음은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 사이에서 혀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F1 값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하여 중남미 스페인어권 학습자가 /ㅓ/ 발음을 산출할 때 한국어 모어 화자보다 혀를 높은 위치에 두고 고모음으로 발음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ㅗ/ 발음은 여성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 여성 집단에서만 혀의 높낮이와 혀의 위치를 나타내는 F1 값과 F2 값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학습자가 /ㅗ/를 산출할 때 저모음이면서 전설 모음에 가깝게 발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ㅜ/ 발음은 F2 값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기 때문에 여성 학습자들이 /ㅜ/를 발음할 때 한국어 모어 화자에 비해서 혀를 앞쪽에 두고 전설 모음에 가깝게 발음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ㅐ/와 /ㅔ/의 경우, 한국어 모어 화자들은 두 단모음을 동일한 조음 방법으로 산출하고 있었지만 중남미 스페인어권 학습자들은 두 모음을 개별적인 모음으로 인지하고 조음 방법에 차이를 두고 발음하고 있었다. 포먼트 값을 통하여 두 모음의 조음 방법을 기술하면, 여성 학습자는 /ㅐ/와 /ㅔ/를 입술의 모양을 다르게 하여 두 모음의 발음에 차이를 주었고, 남성 학습자의 경우는 혀의 전후위치와 입술의 모양을 다르게 하여 차이를 주면서 /ㅐ/와 /ㅔ/ 발음을 산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음향음성학적 실험을 통하여 단모음에 따라서 학습자들의 발음 산출이 한국어 모어 화자와 비교하였을 때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스페인어에 비슷한 발음으로 존재하는 한국어 단모음 /ㅏ/, /ㅗ/, /ㅜ/, /ㅣ/, /ㅐ/, /ㅔ/에 대한 청취 실험에서 한국어 모어 화자들은 학습자가 산출한 /ㅗ/와 /ㅜ/모음이 정확한 발음으로 산출되지 못한다고 평가하였다. 반면에 음향음성학적 실험에서는 남성 학습자의 /ㅗ/와 /ㅜ/ 발음이 한국어 모어 화자와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고 밝혀져 청취 실험과는 상반된 결과를 나타냈다. 여성 학습자는 음향음성학적 실험에서는 /ㅣ/를 제외한 나머지 단모음에서 한국어 모어 화자의 발음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남성 학습자의 경우는 /ㅐ/ 발음에서만 한국어 모어 화자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음을 음향음성학적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끝으로 스페인어에 존재하지 않는 한국어 단모음 /ㅓ/와 /ㅡ/의 산출에 대한 청취 실험에서 학습자가 산출한 /ㅓ/발음은 한국어 /ㅓ/의 발음과 가장 유사하게 들리지 않은 모음으로 평가되었다. /ㅡ/ 발음의 경우는 청취 실험에서 한국어 /ㅡ/ 발음과 비교하였을 때 유사하지 않게 발음되는 모음 3위로 평가되었다. 음향음성학적 실험에서 /ㅓ/ 발음은 중남미 스페인어권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 사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ㅡ/ 발음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중남미 스페인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한국어 단모음 발음이 어떻게 산출되고 있으며 한국어 모어 화자에게 어떻게 들리는지에 대하여 실험음성학적으로 접근하였다. 결과를 다시 정리하면, 대부분의 학습자들이 한국어 단모음을 한국어 단모음의 조음 방법에 맞게 발음하고 있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학습자들이 산출한 한국어 단모음 발음은 본래의 한국어 단모음 발음과 달랐으며 그로 인하여 한국어 모어 화자들은 학습자가 산출한 단모음을 다른 단모음의 발음과 혼동되게 들린다고 평가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중남미 스페인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학습과 한국어 발음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들의 발음 오류를 이해하고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등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