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매체 분석을 통한 한국어교육용 감탄사 선정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study has an objective to select the exclamations for education which could improve the communic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to suggest exclamation vocabulary list for education. Exclamation is a part of speech which doesn’t rely on...

This study has an objective to select the exclamations for education which could improve the communic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to suggest exclamation vocabulary list for education.
Exclamation is a part of speech which doesn’t rely on specific word but directly expresses the speaker’s feeling or will. In other words, exclamation demonstrates the function like the sentence to describe emotions or feelings because it can express emotions and wills by itself.
Even though exclamation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because it expresses speaker’s feelings more smoothly in communication and enables economic communication, researches about exclamation education are not sufficient with the question whether curr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es definitely need exclamation education.
Accordingly, this asserts the necessity of exclamation education focusing on the economy and efficiency of the exclamation.
Exclamation definitely acts as a material to improve communication and plays a role to increase the economy of communication.
But, exclamations in every language don’t correspond one-to-one and it is unusual that one exclamation has only one meaning.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select the exclamation with multiple meanings for the specific situation to native speakers who know situational contexts and have inherent knowledge, but non-native Korean language learners could show the errors when using exclamations or never use them.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exclamation vocabulary list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extracting the exclamation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education from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and image media and by categorizing extracted exclamations in order that they could have successful communication starting from this difficulty.
Regarding study methods, literature study, teaching material analysis and image analysis were used.
This study identified the current address of exclamation education by studying Korean language exclamations and related communication functions through literature study and examining current situations of Korean language exclamation education through teaching material analysis.
And, this study identified exclamation use aspects of Korean people by analyzing the exclamations which are used in teaching materials and actually used by Korean people in everyday life, and exclamation vocabularies for education were listed by categorizing the exclamations which are used in teaching materials and images.
Composition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in chapter I, exclamations for education and the necessity and purpose about exclamation selection research were discussed and the issues and methods about exclamation research were raised and described.
In chapter Ⅱ, in order to categorize the exclamations as individual communication functions before extracting the exclamations using image analysis, communication functions were discussed first.
Subsequently,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 of the exclamation as a theoretical background were identified and educational values of image media and related image media which would extract the exclamations were discussed.
In chapter Ⅲ, communication contexts and situations which were examined in chapter II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individual functions.
And, this study extracts the exclamations which appear in the conversation and listening texts in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together with front and back contexts of discourse and subsequently is based on the standards of exclamation list which is tried to be suggested in this study.
Chapter Ⅳ includes inartificial and actual articulations of Korean people and the exclamations were extracted through TV human documentary, ‘인간극장’ which is the data the exclamation use situations could be identified and verified, and subsequently, the list was suggested by categorizing the exclamations along with individually extracted exclamations from previously analyzed teaching materials.
In final chapter, this study was completed with conclusions and suggestions.

연구한국어 학습자들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교육용 감탄사를 선정하고 교육용 감탄사 어휘 목록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감탄사는 어떤 특정한 단어에 의지하지 ...

연구한국어 학습자들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교육용 감탄사를 선정하고 교육용 감탄사 어휘 목록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감탄사는 어떤 특정한 단어에 의지하지 않고 화자의 느낌이나 의지를 직접적으로 표시하는 품사이다. 즉 그 자체만으로 감정과 의지가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감탄사는 감정이나 느낌을 서술하는 문장과 같은 기능을 발휘한다.
감탄사가 의사소통 상에서 보다 원활하게 화자의 느낌을 표현하며 경제적인 의사소통을 가능토록 하기 때문에 감탄사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재 한국어교육 연구에서는 감탄사에 대한 교육이 반드시 필요한 지에 대한 의문으로 인해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그리하여 본고에서는 감탄사가 가지는 경제성, 효율성에 초점을 두어 감탄사의 교육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감탄사는 분명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해주는 기제로 작용하며 의사소통의 경제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모든 언어의 감탄사는 일대일 대응이 되지 않고, 하나의 감탄사가 오직 하나의 뜻만을 가지는 경우는 드물다. 그래서 다의적 의미를 가진 감탄사를 특정 상황에서 어떠한 의미로 사용할 지 선택하는 것은 그 상황 맥락과 감탄사에 대한 지식이 내재화되어 있는 모국어 화자들은 쉽게 선택이 가능하지만 한국어 학습자는 감탄사 사용에 있어 오류를 보이거나 아예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에서 출발하여 한국어 학습자들의 성공적인 한국어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학습자 교육용 감탄사를 한국어 교재와 영상 매체에서 추출하고 추출한 감탄사를 범주화하여 한국어교육용 감탄사 어휘 목록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 방법으로 문헌 연구법, 교재 분석법, 영상 분석법을 사용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해 한국어 감탄사와 감탄사의 의사소통 기능에 대해 고찰하고 한국어 교재 분석을 통해서 한국어교육 현장의 감탄사 교육 현황을 살펴 감탄사 교육 현주소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교재에서 사용되고 있는 감탄사와 한국인의 실제적인 언어 사용을 담고 있는 영상을 분석하여 한국인들의 감탄사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 교재와 영상에서 사용된 감탄사를 범주화하여 교육용 감탄사 어휘를 목록화하였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Ⅰ장에서는 교육용 감탄사와 감탄사 선정 연구에 대한 필요성과 목적에 대해 논의하고 감탄사 연구에 대한 본 연구의 문제 제기와 연구 방법에 대해 서술하였다. Ⅱ장에서는 영상 분석을 통해 감탄사를 추출해 내기 전 감탄사를 의사소통 기능 별로 범주화시키기 위해 먼저 의사소통 기능이란 무엇인지에 대해 논하였다. 그 후 이론적 배경으로서의 감탄사의 정의 및 특성을 밝히고 감탄사의 교육적 가치와 감탄사를 추출할 영상 매체의 교육적 가치에 대해 논하였다. Ⅲ장에서는 앞서 Ⅱ장에서 살펴본 의사소통 상황 및 맥락을 기능별로 범주화시켰다. 그리고 한국어 교재의 대화 및 듣기 지문에서 나타나는 감탄사를 담화의 앞뒤 맥락과 함께 추출하여 본고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감탄사 목록의 기준을 삼는다. Ⅳ장에서는 꾸며내지 않은 실제적인 한국인들의 발화를 담고 있으면서 감탄사 사용 실태를 파악 · 검증할 수 있는 자료인 TV 휴먼 다큐멘터리 ‘인간극장’을 통해서 감탄사를 추출하고 앞서 분석한 교재에서 추출한 감탄사와 함께 의미 기능 별로 범주화 하여 목록을 제시하였다. 마지막 Ⅴ장에서 결론 및 제언으로 마무리를 하였다.

韩语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