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수준에 따른 발음 특성 연구 : 비음화와 유음화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study investigated pattern of Korean Learner’s Nasalization and Lateralization as Korean Learner’s of all level. To investigated this, experiment of Nasalization and Lateralization with 30 beginning level · intermediate level · advanced lev...

This study investigated pattern of Korean Learner’s Nasalization and Lateralization as Korean Learner’s of all level. To investigated this, experiment of Nasalization and Lateralization with 30 beginning level · intermediate level · advanced level Chinese Korean Learner’s. And examination their Rate of realization, error and error phasis classify case-by-case consideration.
Preceding studies also experiment of Nasalization and Lateralization with Rate of realization, error but they can not demonstrate that correlation between Learner’s grade and Rate of realization. Thus this study have preliminary interview for perform the formation as Learner’s grade. it’s also find out Learner’s awareness for pronunciation education in Korean and problem in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curriculum. The experiment was divided Nasalization and Lateralization on the basis of <Korean Standard Pronunciation Rules> which is basics of teaching Korean Standard Pronunciation.
In the case of Nasalization, realization of pronunciation ‘obstruent / nasal’ situation was the highest, ‘obstruent / assonance’ was the lowest. and in situation of ‘obstruent / nasal’ and ‘obstruent / assonance’ is direct proportion to Learner’s grade. But in case of ‘nasal / assonance’, study find out that advanced level Learner’s realization was 27%, Intermediate level 32%, beginning level 23%. and study also find out types of error as Learner’s level which is ‘pronunciation error with spelling, drop out error with final consonant, confrontation error with consonant and final consonant, and other’. types of error with nasal is ‘pronunciation error with spelling > drop out error with final consonant > confrontation error with consonant and final consonant’ in the order named.
In the case of Lateralization, realization of pronunciation of ‘conservative Lateralization’ is higher than ‘progressive Lateralization’. study find out that advanced level Learner’s realization was 16%, Intermediate level 43%, beginning level 14% In the condition of ‘conservative Lateralization’. and study also find out types of error as Learner’s level which is pronunciation error with spelling, drop out error with final consonant, confrontation error with consonant and final consonant, and other. types of error with assonance is ‘pronunciation error with spelling > other > drop out error with final consonant > confrontation error with consonant and final consonant’ in the order named.
The detection of this study,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Learner’s level and realization of pronunciation in case of Nasalization and Lateralization. also realization of pronunciation can not reach to 50% irrespective of Learner’s level in case of Nasalization and Lateralization. It verify that Learner’s pronunciation level was not reach to Learner’s universal Korean level. Therefore pronunciation education which Nasalization and Lateralization for Learner’s in all should be read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follow : take individual research with rank of korean in all for Nasalization and Lateralization, therefore find out not only correlation between Rate of realization and Learner’s level also the types of errors and cause of error. There are some limitations to this study. It can not find out every case in Nasalization and Lateralization. and analysis for result of experiment was finished but can not propose a teaching method following result of experiment. the succeeding study without thus limitations is necessary.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비음화 · 유음화의 음운 환경별 발음이 학습 수준에 따라 어떠한 양상을 띠고 있는지 살펴보고, 그 특성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 · 중 · 고급...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비음화 · 유음화의 음운 환경별 발음이 학습 수준에 따라 어떠한 양상을 띠고 있는지 살펴보고, 그 특성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 · 중 · 고급의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30명을 대상으로 비음화 · 유음화의 발음 실험을 하고, 이를 환경별로 나누어 실현율과 오류율, 오류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앞선 연구들에서 학습 수준에 따른 비음화 · 유음화 발음 오류율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져왔지만 이들의 연구는 학습 수준과 발음 실현율의 상관관계를 말하기에 다소 부족함이 있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사전 조사를 통해 단순 비음 및 단순 유음의 발음 실험을 실시하여 학습자들을 균질한 집단으로 구성하고, 한국어 발음 교육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과 한국어 발음 교육 과정의 문제점에 대해 함께 살펴봄으로써 학습 수준과 발음 정확도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표준어의 실제 발음을 가르치기 위해서는 <표준발음법>이 기준이 된다고 판단하여 이를 기준으로 비음화 · 유음화의 환경을 분류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비음화의 경우 ‘장애음/비음’ 환경 발음 실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장애음/유음’ 환경 발음 실현율이 가장 낮았다. 또 ‘장애음/비음’ 환경과 ‘장애음/유음’의 환경에서 초 · 중 · 고급 학습자들의 발음 실현율이 학습 수준과 비례하여 나타났다. 그렇지만 ‘비음/유음’ 환경에서 초급 23%, 중급 32%, 고급 27%의 평균 실현율을 보여 중급 학습자에 비해 고급 학습자의 발음 실현율이 오히려 낮게 나타났다. 또한 학습 수준별 발음 오류 양상은 크게 ‘철자법식 발음 오류, 종성 탈락 오류, 초성 및 종성 대치 오류, 기타 오류’로 나눌 수 있었으며, 비음화의 경우 ‘철자법식 발음 오류 > 종성 탈락 오류 > 초성 및 종성 대치 오류 > 기타 오류’의 순서로 나타났다.
유음화의 경우 ‘순행적 유음화’에 비해 ‘역행적 유음화’의 발음 실현율이 높게 나타났다. 또 ‘역행적 유음화’ 환경에서 초 · 중 · 고급 학습자들의 발음 실현율이 학습 수준과 비례하여 나타났다. 그렇지만 ‘순행적 유음화’ 환경에서 초급 14%, 중급 43%, 고급 16%의 평균 실현율을 보여 중급 학습자에 비해 고급 학습자의 발음 실현율이 오히려 낮게 나타났다. 또한 학습 수준별 발음 오류 양상은 크게 ‘철자법식 발음 오류, 종성 탈락 오류, 초성 및 종성 대치 오류, 기타 오류’로 나눌 수 있었으며, 유음화의 경우 ‘철자법식 발음 오류 > 기타 오류 > 종성 탈락 오류 > 초성 및 종성 대치 오류’의 순서로 나타났다.
본고의 실험 결과, 학습 수준이 높아졌음에도 불구하고 비음화 · 유음화 환경에 따라 학습 수준과 발음 실현율이 비례하지 않았다. 또한 비음화 · 유음화 모든 환경에서 학습 수준에 상관없이 발음 실현율이 50%를 넘지 못했다. 이는 곧 학습 기간이 길어지고, 학습 수준이 높아졌더라도 발음 개선의 속도가 매우 느리기 때문에 학습 수준과 발음의 정확도가 비례하여 영향을 미친다고 보기 어렵다. 따라서 모든 수준의 한국어 학습자들이 비음화 · 유음화의 올바른 발음을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꾸준한 발음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그에 따른 적절한 교육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본고는 모든 수준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비음화와 유음화 발음에 대한 개별 연구를 진행하여, 학습 수준과 발음 실현율의 상관관계에 대해 밝히고 그 오류 양상과 원인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비음화와 유음화가 적용될 수 있는 모든 환경에 대해 살펴보지 못한 한계점이 있다. 또한 실험 결과에 대한 분석은 이루어졌으나, 그에 따른 적절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 점이 본 연구의 한계점이라 할 수 있겠다. 추후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할 것이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