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어교육에서의 표현문형의 항목을 체계화하고, 문형 선정 및 형태ㆍ의미ㆍ기능을 통합적으로 고려한 문법 교육 내용을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표현문형의...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에서의 표현문형의 항목을 체계화하고, 문형 선정 및 형태ㆍ의미ㆍ기능을 통합적으로 고려한 문법 교육 내용을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표현문형의 대표적인 유형 중 의존명사 {수} 문형을 연구 대상으로 한정하여 다음의 세 가지 세부 목표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첫째, 표현문형의 항목들을 체계화하기 위하여 기존의 문형들을 통합ㆍ분리할 수 있는 기준과 방안을 제시한다. 둘째, 이 기준과 방안을 적용하여 의존명사 {수} 구성의 문형을 검토하고, 변별적인 개별 문형으로 다뤄질 수 있는 의존명사 {수} 표현문형을 선정한다. 셋째, 선정된 문형을 대상으로 하여 의미에 따른 구체적인 형태ㆍ통사적 특성과 담화 기능을 밝히어 형태와 의미, 화용의 세 측면을 모두 아우를 수 있는 문법 교육 내용을 마련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1장에서는 표현문형 연구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하여 의존명사 구성의 표현문형 선정 및 기술 방안 연구의 필요성을 고찰하고 본 연구의 목적과 세부 목표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연구들을 검토하여 문제점을 제기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모색하였다.
2장에서는 본 연구의 바탕이 되는 이론적 배경들을 살펴보고, 표현문형을 체계화하고 선정할 수 있는 방안 및 기준을 마련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표현문형에 대한 개념 및 특성과 표현문형 유형 중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의존명사 구성의 특성을 함께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의존명사 {수}의 통사ㆍ의미적 특성을 살펴보고, 의존명사 구성의 {수} 표현문형과의 차이점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기존의 문형들을 체계화하는 작업으로 문형을 통합ㆍ분리 및 선정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다음 3장에서는 의존명사 {수} 표현문형 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한국어 교재와 교육용 사전에서 제시하고 있는 의존명사 {수} 관련 표현문형들로 무엇이 있고, 어떠한 방식으로 설명되었는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교재와 사전에서 제시하고 있는 의존명사 {수} 표현문형은 서로 상이하여 항목 수가 일치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등급화에 있어서도 체계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표현문형의 기술 방식에 있어서도 형태, 의미, 화용적으로 균형을 이루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4장에서는 기존의 의존명사 {수} 표현문형 선정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최종 개별 문형으로 다룰 수 있는 의존명사 {수} 표현문형을 선정하였다. 선정 과정에서는 우선 한국어 교재와 사전에서 제시된 의존명사 {수} 포함 문형들과 문ㆍ구어 말뭉치에서 추출한 의존명사 {수} 구성을 합산하여 목록을 작성하였다. 이 목록을 대상으로 하여 의미 기준을 토대로 기본 문형, 변이 문형, 확장 문형으로 통합ㆍ분리하여 목록을 체계화하였다. 그다음, 기본 문형으로 분리된 문형들에 대해서는 의미 기능을 구체적으로 살펴 변별되는 의미를 지니는가에 따라 개별 문형으로 최종 선정하였다.
5장에서는 최종 선정된 의존명사 {수} 표현문형에 대한 기술을 위한 문법 내용을 마련하였다. 표현문형은 결국 문법 교육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교육 내용에 있어서 형태와 의미, 화용의 세 측면을 총체적으로 기술해야 한다. 따라서 의존명사 {수} 표현문형의 문법 내용으로 의미에 따라 달라지는 형태ㆍ통사적 특성과 담화 기능을 중심으로 한 화용 정보를 기술하여 의존명사 {수} 표현문형의 문법 내용을 구축하였다.
마지막으로 6장에서는 앞서 논의한 내용들을 종합하여 결론으로 정리하였고, 한국어교육에서의 표현문형 연구에 있어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를 짚어보고, 추후 연구 방향을 모색해보았다.
이상으로 본 연구는 의존명사 {수} 표현문형을 한 예시로 하여, 기존의 항목을 체계화하고, 개별 문형으로 다룰 수 있는 문형 선정 및 심도 있는 문법 기술 내용을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한국어교육에서의 표현문형에 대한 논의로서, 다양한 표현문형들이 나열되어 있는 현시점에서 이들의 목록을 체계화하고, 개별 문형의 선정 및 문법 내용 기술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어 보다 체계적인 표현문형에 대한 연구로 확장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