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한국어 고급 단계 읽기 교재의 읽기 후 활동을 분석한 후 그 분석을 토대로 읽기 후 활동을 그 목표에 맞게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지도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
이 연구는 한국어 고급 단계 읽기 교재의 읽기 후 활동을 분석한 후 그 분석을 토대로 읽기 후 활동을 그 목표에 맞게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지도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연구 내용 및 방법을 소개하였다. 아울러 선행 연구를 검토를 통하여 고급 단계 한국어 교재의 읽기 활동과 교육 방안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았고, 이를 통해 대부분 연구가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읽기 교재 분석에 치중되어 있으며, 일반 목적 읽기 교재와 특수 목적 읽기 교재의 읽기 후 활동을 비교한 연구나 고급 단계 읽기 후 활동에 대한 지도 방안을 제시한 연구는 별로 많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2장에서는 읽기 후 활동 분석 기준을 토대로 고급 단계의 한국어 읽기 교재의 읽기 후 활동을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 목적 읽기 교재 6권과 특수 목적 읽기 교재 6권을 선택하였다. 분석 내용을 살펴보면 첫째, 교재별로 나타난 읽기 후 활동 유형의 빈도수와 둘째, 일반 목적과 특수 목적 읽기 교재를 비교 분석하였을 때 각 교재에 주로 제시된 읽기 후 활동 유형이다. 이를 통해 읽기 후 활동에서 비판적 이해활동의 비중이 적음을 알게 되었다.
3장에서는 2장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비판적 이해활동을 보완하기 위한 비판적 읽기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시 방안은 두 단계로 나누어서 제시하였는데, 첫 번째 단계는 현시적 교수법을 바탕으로 한 수업 절차이며, 두 번째 단계는 첫 번째 단계에서 익힌 읽기 후 활동 전략을 실제 글에 적용하고 활용해 보는 활동이다.
4장에서는 이 연구의 내용을 종합적으로 정리하면서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밝히고 후속 연구에 대해 제안하였다.
The dissertation analyzes post-reading activities in advanced Korean reading textbooks and also presents effective teaching methods of post-reading activities that are suitable for the objective of the advanced level.
The composition of this dissert...
The dissertation analyzes post-reading activities in advanced Korean reading textbooks and also presents effective teaching methods of post-reading activities that are suitable for the objective of the advanced level.
The composition of this dissertation is as follows.
In chapter 1, the necessity and the purpose were presented, and precedent studies were reviewed.
Most precedent studies focused on the reading activities and the teaching methods in the textbook for reading of advanced level, and made a comparison between post-reading activities in general reading textbooks and academic purpose reading textbooks. However, the specific teaching methods on post-reading activities of advanced level were barely presented.
In chapter 2, 6 general reading textbooks and 6 academic purpose reading textbook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criteria of post-reading activities. There are 2 types of analysis; the frequency of post-reading activities showed in textbooks and the types of post-reading activities found in comparative research of general reading textbooks and academic purpose reading textbooks.
In chapter 3, teaching methods for critical reading that make up for the lacking of critical reading activities show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chapter 2 were presented. The teaching methods were divided into 2 stages. In the first stage the instruction procedures are presented on the basis of explicit instruction, and in the second stage, the activities that apply and exercise the acquired strategies in the first stage were presented.
In chapter 4, the contents of the discussions were summarized comprehensively, revealing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rounded off with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es.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