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 도구 개발 방안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현재 학문 목적으로 국내대학 입학을 원하는 외국인 학생은 한국어능력시험(TOPIK)에 응시해 기준등급을 취득해야 한다. 하지만 현재 국내에서 시행되는 한국평가시험들은 응시자의 일반...

현재 학문 목적으로 국내대학 입학을 원하는 외국인 학생은 한국어능력시험(TOPIK)에 응시해 기준등급을 취득해야 한다. 하지만 현재 국내에서 시행되는 한국어 평가시험들은 응시자의 일반적인 한국어 능력을 측정하는데 그치고 있다. 게다가 읽기, 듣기, 쓰기능력 평가는 시행되는 반면에 학습에 필수적인 말하기에 대한 평가는 시행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문적 계발을 목적으로 하는 외국인 학습자에게 적합한 한국어 말하기 평가도구를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2장에서는 학문 목적 말하기의 개념을 정립하고 이에 대한 평가내용으로써 ‘주제’와 ‘기능’을 제시한 후, 이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범주를 구체적으로 설정하였다. 3장에서는 현재 시행되는 학문 목적 외국어 말하기 평가 도구인 TOEFL IBT Speaking과 한국어능력 평가도구인 KPE(한국어능력시험) 말하기 영역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은 두 평가도구의 구성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을 기준으로 실시되었다. 분석결과를 통해 두 평가 도구의 특징, 장점, 그리고 한계점을 파악하였다.
4장에서는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먼저 학문 목적 말하기 평가 도구의 개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어서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의 평가 범주, 평가 주제 및 기능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논의한 내용들을 토대로 평가 문항을 ‘읽기와 말하기’, ‘듣기와 말하기’와 같은 통합유형을 바탕으로 하여 ‘대학 생활 이야기하기’, ‘요약하여 설명하기’, ‘자신의 의견 말하기’, ‘발표하기’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구체적인 평가채점표와 답안 샘플을 제시하였다.
학문 목적에 기반을 둔 한국어 말하기 평가는 단순히 의사소통능력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의 학업 능력을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학문적 목적 말하기 평가 도구는 한국어에 기반을 두면서 외국인 학습자의 학업능력을 적절하게 평가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큰 의의가 있다. 하지만 학습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방법이 부족하다는 것이 한계점으로 지적된다. 이는 후속 연구를 통해 보완될 필요가 있다.

Foreign students who have learning purpose and want to enter a university in KOREA must take the TOPIK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and get some rating as a condition of entrance. However, all the tests of Korean proficiency now only measure genera...

Foreign students who have learning purpose and want to enter a university in KOREA must take the TOPIK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and get some rating as a condition of entrance. However, all the tests of Korean proficiency now only measure general proficiency in Korean and not consider student's learning level and purpose. In addition, the tests do not evaluate speaking proficiency in Korean although other abilities are assessed in the tests. This study proposes an evaluation tool through which many institutions can estimate Korean speaking proficiency of foreign students who have learning purpose.
In chapter 2, after the notion of speaking based on learning purpose is founded, 'Topic' and 'Function' are suggested as the evaluation contents of speaking proficiency in Korean. Then, evaluation categories in the purpose of measuring these evaluation contents are established. In chapter 3, based on composition and contents side as the analysis criteria of evaluation tools, TOEFL IBT Speaking and KPE (Korean Proficiency Examination) are thoroughly analyzed. Through the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these tools are identified.
In chapter 4, a method to evaluate Korean speaking proficiency in learning purpose is proposed. First, it is discussed how evaluation tools to measure Korean speaking proficiency in learning purpose should be developed. Then, evaluation categories, evaluation topics, and functions are suggested. Lastly, overall question types which simultaneously evaluate reading comprehension and speaking proficiency, or simultaneously assess listening comprehension and speaking proficiency are suggested, with question contents including 'talking about university life', 'summarizing and explaining', 'stating one's opinion', and 'presenting'. Also, the grading standard tables and the answer sheet samples are presented.
Korean speaking proficiency assessment in learning purpose should evaluate student's academic ability, not general communication skills in Korean. In this vein,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in that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to concretely evaluate Korean speaking proficiency in learning purpose.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ways to objectively evaluate learning ability are short. Future researches need to consider this limitation.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